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들뢰즈 철학에서 사유의 발생 문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근호

Advisor
김상환
Major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19. 2. 김상환.
Abstract
이번 논문에서는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사유의 문제에 대한 들뢰즈의 철학적 해명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칸트의 철학에 주목하였다. 들뢰즈가 『차이와 반복』에서 자신의 철학을 초월론적 경험론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드러나듯이, 들뢰즈는 칸트의 초월론적 철학과 마찬가지로 사유와 경험의 조건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구했기 때문이다.
물론 칸트는 들뢰즈의 서술에서 많은 경우 비판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우리가 주의해야 하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들뢰즈의 전면적인 대결 상대가 아니라는 점이다. 들뢰즈는 단지 칸트 철학의 특정한 국면에 대해서 불충분한 지점을 발견하고 있는 것이며, 이를 수정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 초월론적 철학을 개진하고자 한다. 요컨대, 들뢰즈는 칸트를 다시 한 번 비판함으로써 초월론적 철학이 가진 가능성을 비로소 완수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차이와 반복』을 독해하는데 있어서 칸트는 여전히 중요한 준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들뢰즈는 칸트와 단지 사유와 경험의 조건 탐구라는 철학적 기획만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들뢰즈는 칸트로부터 많은 개념을 길어오며, 그러한 개념들은 초월론적 경험론에서 핵심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들뢰즈는 『순수이성비판』의 변증론을 적극적으로 참조하면서 이념과 문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며, 『판단력비판』의 숭고론에서 인식능력의 초월적 실행의 모태를 발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초월론적 경험론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들뢰즈가 어떠한 목적에서 칸트 철학의 맥락을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먼저, 들뢰즈가 칸트의 초월론적 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지점이다. 들뢰즈는 칸트의 초월론적 철학에 발생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것이 불충분한 탐구였다고 비판한다. 칸트의 초월론적 철학은 경험의 발생 조건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점적인 비판 대상은 칸트의 초월론적 자아(통각)에 있다. 칸트는 초월론적 자아라는 의식 주체의 능동적인 종합을 통해서 사유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초월론적 영역이 진정한 발생의 조건으로 제시되기 위해서는, 의식을 넘어서 그것의 발생적 기원인 무의식의 영역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들뢰즈는 무의식의 영역을 기술하기 위해서 다시 칸트의 용어들을 끌어들인다. 들뢰즈는 무의식의 대상을 이념이라고 부르는데, 이 때 이념은 칸트의 철학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칸트는 가능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 있는 것을 이념이라고 불렀으며, 감성의 조건에 제약되어 있는 인간은 그것을 인식할 수 없다고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들뢰즈는 이처럼 사유될 수 없는 것을 다시 사유의 조건으로 끌어들이는데, 그는 사유 속의 사유될 수 없는 것을 무의식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처럼 들뢰즈가 칸트의 이념을 무의식으로 전환하여 활용하는 것에는, 살로몬 마이몬과 라이프니츠가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들뢰즈는 인식능력들이 경험의 한계를 구성하는 이념과 관계할 때 비로소 창조적인 사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우리가 해명해야 했던 것은, 인식능력들이 이념과 관계될 때 어떠한 방식으로 활동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일상적인 사유와는 어떻게 다른지에 관한 것이었다. 들뢰즈는 『순수이성비판』의 분석론에서 칸트가 단지 개념들을 전제한 사유만을 보여줬다고 비판하지만, 『판단력비판』의 미와 숭고의 경험에서 창조적인 사유의 모범을 발견하며, 이 논의와 관련해서도 칸트의 용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 논문은 들뢰즈가 칸트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위의 세 가지 지점을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초월론적 경험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crutinize Deleuzes philosophical explanations on the problem of thought, focusing on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this regard we note Kants philosophy. As Deleuze called his philosophy transcendental empiricism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Deleuze continu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ought and experience, just like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Kant, of course, appears to be the object of criticism in many cases in Deleuzes text. But what we have to be careful about is that Kant and Deleuze are not totally opposed to each other. Deleuze just discovered insufficient point in certain aspect of Kants philosophy, and by amending it, he tried to develop transcendental philosophy from a new perspective. In short, By criticizing Kant once again, Deleuze aimed to completely actualize the potential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Therefore Kant could st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in reading Difference and Repetition.
However, Deleuze share with Kant not only the philosophical project of investigating the condition of thought and experience. Deleuze also drew many concepts from Kant, which occupy an important role in transcendental empiricism. For example, Deleuze explained idea and problem, actively referring to dialectic in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ranscendent exercise of faculty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sublimity in Critique of Judgemen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cendental empiricism more clearly,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what purpose Deleuze used the context of Kants philosophy.
Therefore, this thesis tried to specifically explain the following: First, the limitation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which Deleuze tried to overcome. Deleuze criticize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for his insufficient investigation in that it lacks perspective of genesis.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did not go as far as the condition of the genesis of experience. At this point, the main target of his criticism is the transcendental ego(apperception) in Kants philosophy. Kant tried to explain thought through the active synthesis of the consciousness as transcendental ego. However, Deleuze considered that in order for the transcendental area to be properly presented as the condition of the genesis,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consciousness and go back to the area of unconsciousness which is origin of consciousness.
Nevertheless, Deleuze drew Kants term again to describe the area of unconsciousness. Deleuze called the object of unconsciousness idea, which originates from kants philosophy. Kant called it idea what is beyond possibility of experience, and judged that human who cannnot deviate the condition of sensibility cannot recognize idea. But Deleuze brought the unthinkable back to the condition of thought, because he regarded the unthinkable in thought as unconsciousness. Salomon Maïmon and Leibniz play a crucial role in usage of Kants idea as unconsciousness.
Deleuze insisted that creative thought could be made only when faculties are related to the ideas that is beyond the limit of experience. So what we had to explain is how faculties exercise when they are related to ideas and how it is different from ordinary thought. Although Deleuze criticized Kant for only showing thought exercised under concepts in analytic of Critique of Pure Reason, he found examples of creative thought in experience of beauty and sublimity of Critique of Judgement, and used Kants term in this discussion as well.
This thesis aims to provid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transcendental empiricism by clearly determinating the above three points where Deleuze critically used Kants philosoph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