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성장(degrowth) 선택요인에 관한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impact factors to choose 'degrowth'
한국의 사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순진-
dc.contributor.author이동광-
dc.date.accessioned2019-05-07T04:41:05Z-
dc.date.available2019-05-07T04:41:05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90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70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9. 2. 윤순진.-
dc.description.abstract간의 행위가 지구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더 이상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인류는 경제성장이라고 하는 물질적 토대위에서 성장하였으나, 예상치 못한 빈곤, 사회적 차별과 격차, 특히 오늘날에 들어서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위기와 마주하게 되었다. 그동안의 서구중심적인 성장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다양한 제안들이 제시되었으며, 탈성장(degrowth) 담론 역시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인류가 처한 다양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사람들만이 대안적 삶 혹은 성장주의에서 벗어난 생활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탈성장의 가치를 추구하는 소수의 사람들이 어떠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 그러한 실천을 하는 당사자를 면담하면서 어떠한 계기로 소수의, 대안적인, 비주류의 삶에 편입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장애물이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의 분석결과는 탈성장요인으로서 자연보호를 위해 생활수준을 낮출 의향을 종속변수로 하여 위험에 대한 정부의 대응능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자신의 생활수준을 낮출 의향이 높고, 한국의 미래 경제상황을 긍정적으로 예측할수록 높았다. 또한, 국가자긍심이 높고, 정치뉴스에 대한 노출될수록 탈성장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었으며, 종교가 있고, 나이가 많을수록, 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유의표집하여 인터뷰한 결과를 통해서는 비주류의 삶, 혹은 대안적 삶을 규정하는 주체에 대한 질문의 필요성과 동일한 탈성장의 가치를 지향한다하더라도 보통의 평범한 삶으로부터의 탈출과 탈성장으로서 참여를 서로 달리 인지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탈성장으로의 이행과정에 있어서 그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참여자 자신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주위의 환경으로서 특히 부모나 친구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기할 점은 주위의 우려못지 않게 뜻이 많은 동기들을 확보할 경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 탈성장에 부합하는 대안적인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동력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탈성장의 다양한 요소는 단번에 완전된 형체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 혹은 우연적으로 시작하여 보다 탈성장적인 특성으로 변화해간다는 사실이다. 이는 한 응답자의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류 담론의 견고함과 분리에서 오는 불안을 생각해보았을 때 자명한 사실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탈성장에 대한 국내연구의 필요성에 호응하면서, 본격적으로 탈성장 논의를 시도한 첫 번째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도 탈성장에 대한 경험적, 실증적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탈성장의 조작적 정의로서 생활수준을 낮출 의향을 설정함과 동시에 질적방법론을 함께 적용하여, 탈성장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려했다는 도전적 시도에서 또 다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만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는 치명적인 한계가 몇 가지 존재한다.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가 탈성장만을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며, 조사가 이루어진 2014년과 현재(2018년)와의 시차의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종합사회조사의 설문문항 중 탈성장 요인에 부합하는 항목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도 있다. 연구의 어려움은 기초자료의 구축부족이나 개념의 비가시성에도 일정한 원인이 있다.
앞으로도 탈성장 연구가 보다 심화되어 논의되고, 무엇보다 현실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
dc.description.abstractOn the global level, the impact of human historical actions is no longer new. Gaining a material successes from, we face into an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unexpected poverty, social discrimination and gap, especially in climate change issues. Various proposals have been presented in response to western-centered growth-ism. Degrowth is also one of those alternatives. But despite the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cological difficulties facing humanity, few people still pursue alternative lives or lifestyles that deviate from growthism.
This study tried to explore what factors were influencing to the few who pursued the value of degrowth, and how they are led to the alternatives, and non-mainstream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re the government is well handling the problems, the more feeling to vote for willing to lower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more positive it predicts for Korea's future economic conditions. In addition, it shows the national pride has significant o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ata also let know political news and the older are more likely to choose 'degrowth' lifestyle. Plu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statistically confirms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participants who were actually active found that frame to call degrowth as alterantive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 meaning in terms of degrowth. Second, even if there was open to anyone who wish to involve in, it needs to recognize between the motives why the participants were stepping into degrowth life as alternative, which means there might be different between 'exile' and 'participation'.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determining the speed of the transition to the degrowth is strongly influenced not only by the participants themselves but also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specially by their parents or friends. Finally, the various elements of degrowth are not appearing in complete form at once, but rather are beginning in stages or coincidentally and changing into more nongrowth way.
The study will firstly be meaningful,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and experimental study of degrowth in the domestic. It would also be meaningful in that by applying qualitative methods with interview for degrowth itself. Despite this significance, however, there are several fatal limitations to this research. First, the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are not designed solely for degrowth(2014). And secondly the KGSS has relatively few questions to match the factors of degrowth. The difficulties of such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basic data lack or non-visibility of the concept itself. Lastly, I hope the attempt to lift a degrowth is keeping going and make it visible in real worl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3
1. 생태환경적 접근에서의 탈성장 4
2. 개인적 요인으로서의 탈성장 5
3. 가치지향수준에 따른 구분 6
제 3 절. 논문의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9
제 1 절. 이론적 논의 9
1. 성장담론의 역사적 구성 9
2. 사회생태적 한계에 대한 상이한 태도 12
3. 탈물질주의와 탈성장간 비교 15
4. 탈성장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8
제 2 절. 선행연구의 검토 23
1. 정치적 요인 24
2. 경제적 요인 26
3. 사회문화적 요인 28
4. 인구통계학적 요인 30

제 3 장.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33
제 1 절. 연구모형 분석 33
1. 종속변수: 강한 탈성장 지향 33
2. 독립변수 34

제 2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1
1. 자료수집 41
2. 분석방법 41
1) 순서형 로짓분석 41
2) 유의표집을 통한 인터뷰 44

제 4 장. 탈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분석 46
제 1 절. 변수의 기술통계 46
제 2 절. 순서형 로짓모형분석 51
제 3 절. 요인별 분석 53
제 4 절.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 예측 74

제 5 장. 탈성장의 모습과 연구에서의 발견 76
제 1 절. 무엇이 주류인가 76
제 2 절. 탈출로서의 탈성장과 탈성장으로의 참여 78
1. 탈출로서의 탈성장 79
2. 탈성장으로의 참여 80
제 3 절. 탈성장의 속도: 인정의 과정 81
제 4 절. 활동의 확대: 보다 탈성장스럽게 84

제 6 장. 결론 86

참고문헌 88
Abstract 9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11-
dc.title탈성장(degrowth) 선택요인에 관한 탐색-
dc.title.alternativeAn exploratory study on impact factors to choose 'degrowth'-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DONGKWA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9-02-
dc.title.subtitle한국의 사례-
dc.contributor.major환경관리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90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90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