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 만초천과 주변시가지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Change of Seoul Mancho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김영환-
dc.date.accessioned2019-05-07T04:43:50Z-
dc.date.available2019-05-07T04:43:5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7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71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9. 2.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서울이 지금의 도시 형태를 갖게 된 요소는 다양하다. 그 중 도시형태를 결정 짓는 1차적 조건인 자연환경요소는 도시가 변화하는데 극복하거나 순응해야하는 중요한 대상이다. 본 연구는 서울을 둘러싼 자연환경 중 도시가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서울은 조선시대 약 550년간 인구 20만 내외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경제적 기반을 가진 성곽으로 둘러싸인 수도였다. 한양도성으로 이뤄진 서울이 외연 확장을 하는데 있어 하천은 중요한 자연 환경적 배경이 되었다. 서울에는 총 35개의 하천이 존재한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하천과 도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만초천을 대상으로 하천과 관계된 서울의 도시역사, 문화, 등의 측면과 더불어 서울이 도시 개발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만초천이 직면했던 상황을 정리한다.
만초천을 중심으로 도시 역사와 특성을 살펴보는 배경은 서울이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하천이 가진 지표환경을 바탕으로 중요한 도시 기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기억에서 조차 사라지고 있는 현 상황에 만초천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조성될 용산공원은 만초천 하류 유역의 지형과 지류가 복원될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공원 내 수변공간으로 변모해 서울시민의 휴식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가올 용산공원 조성을 통해 만초천 존재에 대한 위상은 한층 높아 질것이다. 서울시민이 용산공원 내 만초천을 부분적으로 경험하고 체험하는 것을 통해 향후 도시개발이 예고된 서울역과 용산역 일대를 관통하는 만초천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해야할지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초천 유역을 중심으로 도시역사와 문화적 차원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도시하천으로서 하천과 도시와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만초천의 물리적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서울의 시기별 사회·경제·제도적 변화를 동일선상에 놓고 현재까지 기록된 자료를 통해 만초천의 변화양상과 정도를 파악하고 서울이 만초천을 대하는 방식과 태도에 대한 특성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향후 만초천 일대가 맞이할 변화의 향방에 대해 만초천이 지리적 상상력의 대상으로서 접근하도록 유도하고, 해당 지역의 다양한 도시공간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만초천을 중심으로 서울의 도시역사를 재구성하고 정리하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진행했다. 하지만 1960년대부터 이뤄진 만초천 복개에 관한 기록은 파편적이었으며 신문의 기록도 언론사마다 조금씩 다르거나 오류가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지도를 통해 만초천의 물길변화를 추정해 변화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당시 지도의 측도 시점과 기록을 구분해 변화를 관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또한 오류가 발견될 수 있는 점이다. 이점은 추후 정확한 근거자료가 나온다면 수정해야할 부분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서울의 다른 하천과 종합적인 비교를 하지 못한 점과 도시와 하천과의 관계 이외 다양한 관계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야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중후기 서울은 만초천에 별다른 변화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적응했으며 의주를 잇는 역로에서 삼남지방의 물자가 모이는 수운 거점 기능으로 전환했다. 도성과 인접한 만초천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용산에서 숭례문 인근까지 운하를 조성하고자 했지만 계획은 당시 인력문제와 지속적으로 산의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 천의 특성상 실행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기존의 육로와 수운 거점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해 고민할 정도로 도시는 천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도성과 도성 밖을 연결하는 통로로 활용했다. 또한 상업과 유통의 중심지로 확장할 수 있도록 만초천 하류일대는 용산포구와 인접한 곳에 만들어진 창고와 관공서를 중심으로 소규모 촌락을 이루기 시작한다.
일제강점기 전후에는 만초천의 물리적 변화를 통해 활용했다. 물류 거점 기능을 하기 위해 최적의 지리적 조건을 가졌던 하천 옆으로 철도와 전차가 놓였고, 용산역을 중심으로 원효로와 남영동 등 일본인 주거지역은 격자형의 가로망과 광장을 통해 새롭게 조직된 도시구조를 갖추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건축양식에 의해 지어진 건축물들은 공설시장, 관공서, 극장, 박물관 등 근대 도시시설 역할을 했다. 군사기지 조성(1904)과 신·구용산방수공사(1927~1938) 및 경성 하수개수공사(1918~1941)를 계기로 만초천 물길이 직강화 되면서 생겨난 근대 도시구조와 시설은 만초천 일대의 경관을 새롭게 바꿔놓았다.
해방이후 혼란의 시기를 거치면서 생겨난 이주민들은 하천 유역 제방에 무허가주거지를 조성했다. 이들은 홍수피해와 생활하수로 인해 위험하고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었고 도시문제를 야기했는데 서울의 산업화와 도시화가 시작되면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한다. 만초천 유역의 무허가주거지는 하천 복개공사와 한강유역의 제방공사를 통한 강변도로 건설에 의해 해체가 된다. 당시 진행된 만초천 일대 공사는 하천 자체에는 물리적 변화를 가하지 않고 복개 되었으며 하류 유역은 제방건설에 의해 확보된 제내지에 아파트들을 지었다. 팽창된 서울 도심의 공간을 수용해주는 역할로서 만초천 일대는 도시에게는 효율적인 공간 확보가 가능한 대상으로 점유되었음을 확인했다.
이후 만초천 일대는 변화하는 도시개발의 흐름에 따라 수용해 주는 방식에 차이가 생기기 시작했다. 복개공사 이후 천변 상부 공간은 상류에 해당하는 돈의문 뉴타운 재개발부터 하류 유역의 용산전자상가와 두 개의 지류와 인접한 용산공원 조성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의 만초천을 이해하는 태도와 접근 방식에 대해서 살펴봤다. 물길의 흐름을 그대로 간직했던 도시조직을 덮어 대단지의 주거시설을 조성하거나 공원의 수공간을 통해 은유적으로 하천의 존재를 드러내거나 혹은 건축물의 형태 및 배치와 같은 디자인 어휘로 활용해 가시화시켰다. 또한 직강화와 복개로 인해 상실된 본래의 물길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를 계획 지침 혹은 설계자의 자발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나타났다.
각 시기별로 파악한 서울 만초천은 초기 서울의 도시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였지만 근대 도시화가 되면서 하천의 역할과 도시기능의 위계가 변화했다. 또한 도성을 중심으로 도시화가 되었던 서울이 도성 밖 도시와 연결되는 중요한 통로였던 만초천을 통해 도시의 외곽이 한강쪽으로 확장되었으며, 천 유역의 상업과 물류 거점기능은 새로운 시가지를 형성했다. 만초천은 물리적인 형태변화를 통해 서울의 근대도시구조 형성하는데 밑바탕이 되었다. 1960~70년대의 산업화와 도시화의 시기에는 서울의 도시공간이 확장되면서 부족해진 사회기반시설을 수용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만초천을 중심으로 파악한 도시개발의 변화 흐름과 회복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은 만초천을 바라보는 도시의 태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위상을 가진 만초천과 주변시가지가 다양한 켜를 현재까지도 누적시키고 있다는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만초천 일대 다양한 스케일에서 시도된 계획은 앞으로 도시-하천의 경관을 재구성하는데 고민할 거리를 던져준다. 향후 개발 계획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도시-하천과의 관계를 만들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Seoul has become a city in its present urban form. Among these, the natural environment factor, which is the primary condition that determines the urban form, is an important object that the city must overcome or adapt to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urban streams in the process of changing cities in Seoul. There are 35 rivers in Seoul.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treams and c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situation of Seoul, which is related to rivers, with the aspect of urban history, culture, etc.
The background to examin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entered on Mancho Stream is that it has served as an important city based on the surface environment of rivers as Seoul has undergon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Nevertheless, it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recognize the bloom in the present situation, which is disappearing from the memory of the citizens as well as the function. Yongsan Park,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is expected not only to restore the topography and tributaries of the Mancho Stream sub-basin, but also to transform into waterside space in the park, which is expected to become a resting place for Seoul citizens. Through the creation of the Yongsan Park, the status of the Mancho Stream existence will be further elevated. It is necessary for the citizens of Seoul to encounter the experience of the Mancho Stream in Yongsan Park, so as to gi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how Seoul City and Yongsan Station along the Yongsan Station area will be recogniz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urban history and cultural dimension centered on the Mancho Stream basi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urban stream and cities. To this end, I defined the changes and the extent of the changes of the Mancho Stream by the recorded data of the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Seoul in the time period that affected the change of the physical form of the Mancho Stream. This will lead the Mancho Stream to approach the direction of change that will be encountered in the area of Mancho Stream as a target of geographical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o utilize basic data to make various urban spaces in the area.
The main goal of the study was to reconstruct and organize the urban history of Seoul around Mancho Stream. However, the record of the cover-up that was made in the 1960s was fragmented, and the records of the newspapers were slightly different or mistaken for different media. Through the map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ncho Stream estimates changes looked at differences. However, even if I observe the change by distinguishing the time of the map and the record of the map at that time, this error can also be found. This is a part that needs to be corrected if accurate evidence is available in the future.
The Seoul Mancho Stream, which was identified by each period, w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urban form of early Seoul. However, the role of the urban stream and the hierarchy of urban functions changed in the modern urbanization. Seoul, which has been urbanized centering on the walled city, has expanded to the Han River along the Mancho Stream. The commercial and logistics hub of the river basin has formed a new urban center. Through physical changes in its shape, Mancho Stream has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modern city structures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60s and 1970s, Seoul expanded its urban space and became a space for accommodating infrastructure that was lacking. And the flow of changes in urban development and various attempts to recover from the urban planning, which is centered on the Mancho Stream, show the urban attitude toward the Mancho Stre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ancho Stream and surrounding cities, which have an important status in understanding Seoul's urban history, accumulating them to the present day. The urban development plan, which was attempted on various scales from the center of the Mancho Stream, will give us something to think about in rebuilding the landscape of the city and the strea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3절.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의 차별성 6
1. 선행연구 검토 6
2. 연구의 차별성 11
4절. 연구의 구성 13

제2장 서울 만초천의 이해와 도시 기능 변화 15
1절. 만초천 입지 및 지형 15
1. 만초천의 입지와 한양도성과 관계 15
2. 만초천의 지형과 마을 19
2절. 만초천의 시기별 변천 특성 29
1. 역로와 경강(京江)상업 29
2. 공식 처형장의 기능 33
3. 이수치수상의 변천 41
4. 도시개발에 따른 변천 43
3절. 소결 45

제3장 일제강점기 전후 만초천 물류 거점기능 전환 46
1절. 조선 중후기 만초천 수운 거점 기능과 주변 시가지 형성 46
1. 수륙교통의 요충지로서 만초천 46
2. 개항기 만초천 유역 시가지 특성 52

2절. 일제강점기 전후 만초천 일대 근대 도시화와 물길 변화 53
1. 교통(철도전차)군사 요지화 53
2. 제방건설 및 하수개수에 의한 만초천 형태변화 61
3. 새로운 근대 도시시설 등장과 주변 시가지 변화 71
3절. 소결 80

제4장 해방 이후 도시화를 위한 점유 공간으로서 만초천 81
1절. 만초천변의 도시문제 해결 대안으로서 사회기반시설 81
1. 상습침수로 인한 제방 인근 무허가주거지 피해 81
2. 만초천 복개공사와 고가차도 건설 85
3. 한강종합개발계획의 강변도로 건설 95

2절. 복개공사 이후 천변 상부 공간변화 및 특성 98
1. 돈의문 뉴타운 재개발 98
2. 의주로 종합개발계획과 근린공원 조성 101
3. 용산전자상가 일대 변화 110
4. 서대문고가차도 철거와 서울역 고가 재생 116
3절. 만초천 복원 시도 및 향후 계획과 기대 120
1. 서소문 역사문화공원 조성과 만초천 120
2. 서울역 고가 일대 시도된 만초천 물길의 활용 125
3. 용산공원을 통해 마주하게 될 만초천 131
4. 향후 만초천 일대 개발 계획 137

제5장 결론 141
참고문헌 143
Abstract 15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12.3-
dc.title서울 만초천과 주변시가지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Change of Seoul Mancho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oung Hwa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9-02-
dc.contributor.major도시설계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75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75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