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도시 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커뮤니티 형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Green Space and Community Building in a Newtown
세종시 첫마을 주민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우주

Advisor
성종상
Major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19. 2. 성종상.
Abstract
Is a park a daily leisure space for citizens or a social space at the community level?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citizens and are an important plac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ut they are not greatly utilized in fact. As a key resource in a regional area, however, the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lead to community build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can promote the improvement of spac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utiliz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explores the growing social rol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community building that occurs through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newtown settle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creating, managing and operating a community-based park and green spaces. First Village, a residential complex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Sejong, was selected as a subject city. And this study analyzed community building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First, from the spatial perspective, I discussed urban planning factors leading to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are changing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 dealt with the trend of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has sustained community building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 activities. Lastly, I touched on how the development of a newtown and the manag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by the public administration have affec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limitation thereof,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resident activitie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for about 2 year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I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various subjects in a local society, such as residential communities, interested organizations, and park users. For analysis, I drew analysis factors from advance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I analyze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categorized into the conditions for community building, resident activities, and conflicts. Furthermore, I examined the mechanism for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drew its implication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residents have built a community in a daily leisure space through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have changed it into a social space for enhancing such capability. Especially, the participatory activities of residents made a difference in the subject space to enhance regional identities and helped residents settle into a newtown where the stabilization of a community is important. This was possible because, from the aspect of space, natural green areas with great resources and high usability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urban planning. Natural green areas traversing a neighborhood had good accessibility and high usability, as connected to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Green spaces have provided abundant resources and flexible spaces, which facilita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an unfinished state has driven the demands of resident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continuing community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process. From the aspect of resident activities, as native-born residents resettled in a newtow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local resources were high. And young migrants increased their interest in urban spaces and resources with a will to improve poor surroundings at the initial stage. A residential community voluntarily organized based on thes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was the intermediary group facilitating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Resettled native residents have re-identified local resources and built a residential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migrants, while young migrants were able to continue community activities by bonding together and using unused spaces at an early stage of the settlement process. In this process, civil publicness played a critical role in encourag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creating a social network within the region. From the operational aspect,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and social network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newtown where the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did not exist. In particular, residents established neighborhood governance to continuously improve and use parks and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region, enhancing the capability of communitie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came a means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while having been managed and improved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As residents have continuously improved the landscape and maintained a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systematization, facilitie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requests from residents, leading to enhanced convenience. In addition, physical improvement was linked to programs for using parks and green spaces, so as to share the value of participation with general residents.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residential communities significantly activated the use of parks by local residents and helped them recognize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public property, as an important asset for local residents.



As shown in this study, however, in a new urban planning in Korea, resident participation for community building has not been systematically facilitated, contrary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Japan. A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an important public space affecting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rive resident participation. It is also requir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operation and managemen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going from planning to operation. In this regard, I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 plan for creat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include extending the conservation of natural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community to make the most of them. Second, in formulating the plan for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linked between urban planning, creation and oper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have a consultative body between different agents in each stage of newtown development and the existing residents excluded from such stages. Now, look at the operation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irst, residents should be granted enough authority to operate and manage spaces. Seco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awareness of administration for flexible and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governance at the neighborhood level and form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at the city level, which can connect each neighborhood governance and provide integrated support.
공원은 시민들의 일상적 여가공간인가, 그 이상의 커뮤니티 차원의 사회적 공간인가.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도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지만 실상 그 활용수준은 높지 않다. 하지만 지역의 중심자원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할 뿐 아니라 주민 참여를 통해 공간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이용의 질이 향상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확장된 사회적 역할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도시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자발적인 주민참여 사례를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지역 커뮤니티 형성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시범단지인 첫마을을 선정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주민참여를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은 공간적 측면, 주민활동적 측면, 운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공간적 측면은 주민참여를 유도한 도시계획적 요소와 주민참여를 통해 변화하는 공원녹지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민활동 측면에서는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 형성(Community building)을 지속시켰던 자발적 주민참여 양상을 논의 하였다. 운영 측면에서는 공공 행정 중심의 도시 계획 및 운영 관리가 주민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 논의 하였다. 이를 통해 신도시 내 커뮤니티 기반의 공원녹지 조성과 운영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참여관찰방법을 기초로 연구자가 2여년 동안 주민 활동에 참여하여 관찰하였다. 주민공동체, 이해관계기관, 공원이용자 등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형성 과정을 형성 조건, 주민활동, 갈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 기반한 커뮤니티의 형성 기제를 공간적, 주민 활동적, 운영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주민들은 참여활동을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사회적 공간으로 변화시켜나갔다. 특히 커뮤니티 안정화가 중요한 신도시에서 주민참여 활동은 대상공간을 차별화해 지역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주민들이 새로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공원녹지와 주민활동 간의 기제를 살펴보면 먼저 공간적 측면에서 도시계획을 통해 자원성과 활용성이 높은 자연녹지를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생활권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연녹지는 접근성이 높고 주변에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과 지역자원이 연계되어 있어 활용도가 높았다. 특히 녹지 중심 공간은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자원과 공간을 풍부하게 제공하였으며, 덜 손질되고 비완결된 상태는 주민들이 참여하는 개선을 유도해 지속적인 커뮤니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민활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신도시 내에 원주민의 재정착이 이루어지면서 기존 지역자원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은 계층의 새로운 이주민들은 초기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개선의지를 바탕으로 도시공간과 지역자원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주민 특성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조직된 주민공동체는 신도시 내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하였다. 예컨대 원주민들은 참샘이라는 지역자원을 재발굴하면서 이주민들과 연대해 주민공동체를 형성시켜나갔고, 젊은 이주민들은 용도가 없던 생태통로 하부공간과 근린공원 내 방치된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조직들과 연대하며 공동체 활동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민적 공공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는데,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내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운영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주민참여 시스템이 부재한 신도시에서 호의적인 행정태도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주민참여를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동력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민들은 근린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공원녹지를 지역 중심 자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활용하면서 커뮤니티의 역량을 강화시켰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신도시 커뮤니티 형성의 수단이 되는 동시에 주민참여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꾸어지면서 향상되었다. 주민들은 조직화를 통해 지역 경관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하였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시설을 개선하고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 물리적 개선을 이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일반 주민들과 참여 가치를 공유하였다. 그 결과 주민공동체의 활동은 지역주민들의 공원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지역주민들이 공공재인 공원녹지를 중요한 주민자산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주민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시민적 공공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공공공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신도시계획은 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한 주민참여가 시스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민참여 계획과 운영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계획에서 운영으로 이어지는 주민참여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계획 측면에서 첫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 시 커뮤니티를 중심 자원으로 자연녹지 보존을 확대하여 활용성이 높게 계획해야 한다. 둘째, 공원을 커뮤니티 차원에서 점진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유연하고 중장기적인 새로운 주민참여형 조성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에서 주민참여가 신도시 계획부터 조성과 운영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신도시개발 단계별로 다양한 주체들과 기존에 배제된 주민들 간의 협의체가 필요하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운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주민들에게 공간에 대한 충분한 운영관리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둘째, 유연하고 호의적인 행정태도를 위한 행정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근린차원의 거버넌스 구축과 도시차원에서 각 근린 거버넌스를 연대시키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9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