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건강행태 연구 : A study of friendship and health behavior among adolesc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병희-
dc.contributor.author장사랑-
dc.date.accessioned2019-05-07T06:06:10Z-
dc.date.available2019-05-07T06:06:1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39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2285-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9. 2. 조병희.-
dc.description.abstract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is that health risk behaviors increase but health promotion behaviors decrease. While the age at onset of smoking and drinking increases with age and increases with age, the rate of physical activity and sleep time decrease with age (KCDC, 2017).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form health lifestyles and health behaviors that are formed during adolescence have a continuing impact on adult health. Soci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is achieved through constant interactions with the social context, among which friendship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development. Friendship in adolescence has both sides in the influence on health behavior. Friendship helps improve health by sharing and spreading health life, but it may cause unhealthy behaviors due to the fact that unique norms formed by friends are not in line with health - oriented norm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dolescent health behavior and establish an effective health poli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adolescent individual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endship and the health behavior.

In this study, homophily and receiver effect (popularity) were examined in various health behaviors (smoking, drinking, motorcycle helmet non-use, smartphone time, game time, physical activity, sleeping time) We will examine the diffusion tendency in which effects occur at the same time. We also want to explore how isolated friendships affect health behaviors. In order to formulate this, we examine what type of health behaviors have similar effects and network status. We als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isolation types (socially avoidant, socially disinterested, actively isolated) on health behaviors in the network structure.

To do this, I reconstructed the friendship data in the class of '2016 Korea Childhood Happiness Index' and used network data for 3,70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ERGM analysis method based on interdependency in the network was applied to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on isolation typ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gmenting isolation type based on degree of connection obtained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riendship and health behaviors. In addition, a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disaggregating the type of isolation based on the degree of connection (degree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twork to determine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s resulting from the type of isolation.

The diffusion tendency in which the homophily and the receiver effect (popularity) occur simultaneously in the formation of the friendship is found in the following health behavior. In the whole friendship network, there is motorcycle helmet non-use. In boys' network, they are smoking, drinking, sleeping time, sleeping time in girls' networks, in boys' - girls' In the grade network, the spreading tendency was observed in game time and in non - isolated network in smartphone use time.

The effect of isolation type on health behavior is as follows. Socially avoidant isolation increased the game time for all, boy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creased the tendency to sleep for 7 hours only for boys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ly disinterested isolation was decreased in the number of physical activity only for female students, and for all high school students, weekday sleep time increased. Actively isolation increased the experience of not wearing motorcycle helmets in all, boys,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lonelines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subgroups, but increased smoking, physical activity, sleeping time, and decreased motorcycle helmet non-us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groups, it has been shown that friends in the same clas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ertain health behaviors such as drinking, smartphone use time, game time, and physical activity. Also,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of health risk behaviors to increase as the friendships with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the same school are increase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health behaviors diffused throughout the adolescent 's friendship network were not consistently health-oriented when the homophily and receiver effect were examin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health behavior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solated yout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not clearly distinguish whether it was influenced by health behaviors before friendship formation or was influenced by health behavior after relationship formation because it is cross sectional study data.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only study in Korea that has representative on the relation of friendship and health behavior on the basis of nationwide friendship network data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it help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using isolation with mixed emotional loneliness or limited isolation,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isolation and health behavior by applying network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 of health behaviors at the level of relationship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of friends and adolescents with isolated friendship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priorities and strategies of health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s using friendships to provide.
-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기 건강행태의 특징 중 하나는 건강위험행동은 증가하지만 건강증진행동은 감소한다는 것이다. 청소년기에 흡연과 음주의 시작 연령이 점차 빨라지고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신체활동 실천율과 수면시간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든다(질병관리본부, 2017). 청소년기는 더 주체적으로 건강생활양식을 형성하고 청소년기에 형성된 건강행태는 성인기 건강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보건학적 관심이 요구된다. 청소년기 사회적 발달은 사회맥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 친구관계가 발달의 주요 원천 중 하나로 작용한다. 청소년기 친구관계는 건강행태에 주는 영향에 있어서 양면성을 갖는다. 친구관계는 건강생활의 공유와 확산 등으로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친구 집단에서 형성된 독특한 규범이 건강 지향적 규범과 어긋나는 경우도 있어 오히려 불건강행동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보건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뿐 아니라 친구관계와 건강행태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우선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친구관계 수준에서 다양한 건강행태(흡연, 음주, 오토바이 헬멧미착용, 스마트폰시간, 게임시간, 신체활동, 수면시간)에서 동종효과(Homophily)와 수신자효과(인기)를 파악하고, 이 두 효과가 동시에 발생하는 확산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립된 친구관계가 건강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어떤 건강행태에서 동종효과와 네트워크 지위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다차원적 고립 유형(사회 회피, 사회 무관심, 활동적 고립)이 건강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가 2016년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조사의 학급 내 친구관계 자료를 재구성하여 전국 중고등학생 3,703명에 대한 네트워크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의 상호의존성을 전제로 한 ERGM 분석 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또한 고립유형에 따른 건강행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획득한 연결정도(degree)를 바탕으로 고립 유형을 세분화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친구관계 형성에 있어 동종효과와 수신자효과(인기)가 동시에 발생하는 확산경향은 다음과 같은 건강행태에서 나타난다. 청소년 전체 네트워크에서는 오토바이 헬멧미착용에서, 남학생 네트워크에서는 흡연, 음주, 수면시간에서, 여학생 네트워크에서는 수면시간에서, 남학생-여학생(이성) 네트워크에서는 헬멧미착용에서, 중학교 2학년 네트워크에서는 신체활동에서, 고등학교 1학년 네트워크에서는 게임시간에서, 비고립 네트워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 확산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립유형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사회회피형 고립은 전체, 남학생, 고등학생만 게임시간이 늘어났고, 남학생과 고등학생만 7시간 이상 수면하는 경향이 증가했다. 사회무관심 고립은 여학생만 신체활동 횟수가 감소하였고, 전체와 고등학생의 경우 평일 수면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적 고립은 전체, 남학생, 중학생에 있어 오토바이 헬멧미착용 경험이 증가하였다. 반면 정서적 외로움은 하부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흡연과 신체활동, 수면시간을 증가시켰고, 오토바이 헬멧미착용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집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같은 학급에서 친구들이 음주, 스마트폰 사용시간, 게임시간, 신체활동과 같은 특정 건강행태를 할 경우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 청소년과 친구관계를 형성할수록 건강위험행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친구관계 수준에서 건강행태별 동종효과와 수신자효과를 볼 때, 청소년의 친구 네트워크 전반에 확산한 건강행태가 일관되게 건강지향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고립된 청소년의 경우에는 고립되지 않은 청소년과는 다른 건강행태 동기가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 자료이기 때문에 친구관계 형성 전부터 건강행태의 영향을 받았는지, 아니면 반대로 관계 형성 이후에 건강행태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학급 내 청소년 친구 네트워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친구관계와 건강행태의 관련성에 있어 대표성을 갖춘 국내 유일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고립을 정서적 외로움과 혼재되어 사용하거나 제한된 고립의미를 사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 구조를 적용하여 다차원적인 고립과 건강행태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친구관계가 형성된 청소년과 고립된 청소년에 대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관계 수준에서 건강행태의 동기를 파악하고, 친구관계를 활용한 건강행태 중재 프로그램의 우선순위와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문헌 고찰

1. 청소년 건강

1) 청소년 건강

2) 청소년기 건강행태

2.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건강

1) 청소년기 친구관계

2) 청소년기 동종효과와 건강행태

3) 청소년기 사회네트워크

4) 혁신확산

3. 청소년기 사회적 고립과 건강



Ⅲ. 연구 모형 및 방법

1. 연구 모형

1) 연구 모형

2) 세부연구 모형

2. 연구방법

1) 세부연구Ⅰ. 청소년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의 연관성 분석

2) 세부연구Ⅱ. 고립된 친구관계가 청소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Ⅳ. 청소년의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에 관한 분석

1. 일반적 특성

2.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

1)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

2)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 : 성별효과

3)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 : 학년효과

4)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 : 고립효과

3. 친구관계 형성과 건강행태 연관성에 대한 고찰



Ⅴ. 청소년의 친구관계 고립과 건강에 관한 분석

1. 일반적 특성

2. 친구관계 고립이 청소년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고립유형이 청소년기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2) 성별에 따른 고립유형이 청소년기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3) 교급에 따른 고립유형이 청소년기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3. 고립이 청소년기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Ⅵ. 결론 및 고찰

1. 연구 결과 종합

2. 이론적 함의

3. 방법론적 함의

4. 보건 정책적 함의

5. 연구의 한계와 의의

1) 연구의 한계

2) 연구의 의의



-

Abstract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4-
dc.title청소년의 친구관계와 건강행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friendship and health behavior among adolescent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arang Ja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dc.date.awarded2019-02-
dc.contributor.major보건사회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39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39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