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공립 국악관현악단 편성의 통시적 고찰 : A Diachronic Study on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서울 소재 악단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우진-
dc.contributor.author설보라-
dc.date.accessioned2019-05-07T06:35:53Z-
dc.date.available2019-05-07T06:35:53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37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2578-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 2019. 2. 김우진.-
dc.description.abstract국악관현악단의 역사는 70여년 정도이며, 현재 전국에 약 30개의 국공립 국악관현악단이 활동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역사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조선시대 관현악과의 흐름을 연관시켜서 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악현 및 서울 소재 국공립 국악관현악단을 대상으로 국악관현악 편성의 형성과정과 변화양상을 역사적 흐름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관현악의 기원은 조선시대의 등가와 전정헌가의 합주에서 찾을 수 있으며, 현재 국립국악원의 전통 관현합주 편성(향피리 중심의 대편성)은 조선시대 악현 중에서도 등가를 전승한 것이라 볼 수 있다. 15~19세기에는 100여명의 대규모 관현합주 편성으로 연향의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19세기 연향과 종묘제례의 등가는 해금ㆍ당비파ㆍ가야금ㆍ거문고ㆍ아쟁ㆍ양금 등 6종의 현악기, 대금ㆍ피리ㆍ당적ㆍ퉁소 등 4종의 관악기, 장구와 방향 등 2종의 타악기를 기본편성악기로 사용하였다.

둘째, 1940~60년대에는 전통 관현합주 편성이 초기 국악관현악 편성의 기초가 되었으며, 60년대에는 두 갈래의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아쟁이 중앙에 위치하며 그 좌우에 가야금과 거문고를 두고 현악기군과 관악기군의 사이에 해금을 위치시키는 전통 관현합주 편성이 생겨났다. 1950~60년대에는 전통 관현합주 편성을 기본으로 각 악기를 복수로 편성하는 형태를 창작 관현악, 실내악, 합창반주 등에 사용하였다. 또한 1960년대 이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의 정기연주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배치들이 시도되었다. 1965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창단연주회에서 약 50명 규모의 편성을 처음 선보이면서 편성규모의 확대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원금[圓琴, 3현 대해금], 9현 대아쟁 등 국악관현악 편성을 위한 저음 찰현악기를 개량하고, 편성에 활용하였다.

셋째, 1970~80년대에는 저음역 보완을 위해 전통 관현합주 편성을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등장하였으며, 그중에서도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 편성이 등장ㆍ보편화되며 이전 시기의 경향이 유지되었다. 이 편성은 앞쪽에 가야금ㆍ거문고, 뒤쪽에 해금ㆍ아쟁이 위치하는 40~50명 규모로, 가야금ㆍ거문고ㆍ해금은 8명 내외, 아쟁은 그 절반인 4명 내외로 편성하는 형태로 정착한다. 1974~5년경부터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과 국립국악원 한국음악창작발표회를 중심으로 정착하였다. 1986년 KBS국악관현악단은 이 편성에서 중앙에 위치한 해금을 왼편으로 옮기고, 거문고 뒤편의 아쟁이 현악기군의 뒤쪽 오른편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4가지 현악기군들이 동등하게 위치하는 효과를 주었다.

넷째, 1990년대에는 현악기의 개량으로 음량이 증대하고 가야금에서 해금으로 선율의 중심 악기가 이동함에 따라 기존의 연장선상인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 편성 이외에도 찰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 편성이 정착하였다. 이 편성은 앞쪽에 해금ㆍ아쟁, 뒤쪽에 가야금ㆍ거문고가 위치하는 50~60명 규모로,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 편성에 비해 해금과 아쟁의 편성비율이 높다. 찰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단 편성은 1995년 국립국악관현악단의 등장과 함께 정착하였으며, 2000년대부터는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단 편성과 함께 기본 편성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초기에는 현악기군 중 가야금과 해금의 편성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2000년 이후에는 해금의 편성수는 증가하는 반면 가야금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현악기의 저음역을 보완하기 위해 아쟁의 편성수를 늘리는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요컨대, 국악관현악의 기원은 조선시대의 악현에서 찾을 수 있으며, 1960년대 국악관현악단의 등장 이후 현재까지의 국악관현악 편성에 있어 변화의 주요한 원인은 가야금에서 해금으로의 주선율악기 이동과 아쟁을 중심으로 한 저음악기의 보완이라 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In contemporary Korea,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which is called Gugakgwanghyeonakdan(國樂管絃樂團) in Korean is a group of orchestra that performs a piece such as orchestral and concerto forms written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n order to draw up a improvement for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bout the process of how Their orchestration has changed into the present form. In this paper, Therefore, I tried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orchestration through the historical trends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s Akhyeon(樂縣, the arrangement of musical ensemble for ritual music of the royal court) and the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in Seou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could be traced right back to the ensemble of deungga(登歌, upper terrace orchestra) and jeonjeongheon-ga(殿庭軒架, front yard orchestra) for royal banquets in Joseon dynasty.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chestration of Akhyeon in the Joseon Dynasty, it could be seen that the Korean traditional classical instrumental ensemble at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NCKTPA)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deungga. During the 15th and 19th centuries, the deungga and the heon-ga had performed the music for yeohyang(宴享, ) with more than 100 players in ensembles, and in the 19th century, the deunga of yeonhyang and jongmyogerye(宗廟祭禮, ) had fundamentally orchestrated following instruments: the six chordophones such as Haegum(two-stringed fiddle), Dangbipa(Chinese-origin lute with four strings), Gayageum(twelve-stringed plucked zither), Geomun-go(six-stringed plucked zither), Ajaeng(bowed zither), Yanggeum(dulcimer)
-
dc.description.abstractthe four aerophones such as Daegeum(large size bamboo flute), Piri(cylindrical double-reed bamboo oboe), Dangjeok(Chinese-origin small size bamboo flute), Tungso(large notched bamboo oboe)-
dc.description.abstractthe membranophone such as Janggu(hourglass-shaped double-headed drum) and the Idiophone such as Banghyang(metal chime with sixteen bronze slabs).



Second, from the 1940s to the 1960s,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were based on traditional ensemble. Various attempts about the orchestration to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were made centering on the two branches. First branch is NCKTPA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of College of Music Seoul National University(DKMCMSNU)). Second is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Korean Arts(NHSTKA) and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SMTO). The orchestration and arrangement of Korean traditional ensemble was formed by NCKTPA. The ajaeng are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gayageum and geomun-go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haegeum is placed between the string and the wind instruments. In the 1950s and 1960s, each instrument was converted into plural based on the arrangement of Korean traditional ensemble. These orchestrations were used when its performing such as orchestral or chamber pieces and chorus accompaniment. And SMTO contributed to the enlargement of the orchestrations scale by introducing the ensemble with about 50 performers for the first time at the concert held in 1965. In addition, they improved the bass strings for orchestrating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such as the won-geum(large body haegeum with three strings) and nine-stringed ajaeng, and used it for.



Third, in the 1970s and 1980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jaeng which is bass tune bowed chordophones on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they have variously modified the arrangement of instruments. Among them,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focusing of plucked chordophones has become common. It is composed of the number of 40 to 50 performers and the arrangement is in front of gayageum and geomun-go, followed by haegeum and ajaeng in the back. the gayageum, geomun-go and haegeum are orchestrated about 8 each. and the ajaeng is about 4. It has been set by SMTP and NCTPA since 1974-5. In 1986, the KBS Traditional Music Orchestra(KBS TMO) changed this arrangement. They let moved the haegeum in the center to the left and adjusted the ajaeng behind the geomun-go to occupy the right rear seat of the stringed instrument group, so that the effect of four chordophones groups visually equally gave.



Fourth, in the 1990s, with the improvement of chordophones and the changing of instruments in charge of playing main melody from gayageum to haegeum,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focusing on bowed chordophones has been settled in addition to focusing on plucked chordophones. It is composed of the number of 50 to 60 performers and the arrangement is in front of haegeum, ajaeng and in the back of gayageum, geomun-go. The ratio of haegum and ajaeng is higher than that focusing on plucked chordophones.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focusing on bowed chordophones has been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emergence of National Orchestra of Korea(NOK). Since the 2000s, it has become one of the basic orchestration with the orchestration focusing on plucked chordophones. In the early days, the ratio of gayagum and haegeum had been the highest among the chordophones. After 2000, the number of haegeum has a tendency to increase, but gayagum decreases. There is also a tendency to increase the number of ajaeng to complement the bass range of chordophones.



In short, the origins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can be found in the akhyeon of the Joseon dynasty, and since the advent of the Korean music orchestra in the 1960s, the main cause of the change in the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has been the supplementation of bass instruments centering on the ajaeng and the shifting of instruments in charge of playing main melody from gayageum to haegeu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범위 및 방법 10

II. 조선시대 악현 17

1. 15세기의 악현 17

2. 18세기의 악현 24

3. 19세기 이후의 악현 32

4. 소결 43

III. 1940~60년대의 국악관현악단 편성 45

1. 시대적 배경 45

2. 전통 관현합주를 토대로 한 국악관현악단 편성 55

3. 소결 112

IV. 1970~80년대의 국악관현악단 편성 115

1. 시대적 배경 115

2.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단 편성 124

3. 국악관현악단 편성의 새로운 시도 146

4. 소결 163

V. 1990년대 이후 국악관현악단 편성 165

1. 시대적 배경 165

2. 발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단 편성 175

3. 찰현악기 중심의 국악관현악단 편성 182

4. 기타 217

5. 소결 223

VI. 국악관현악단 편성의 제언 225

1. 편성규모와 현악기 비율 확대 225

2. 표준화된 편성법 마련 228

3. 악기의 개량과 수용 234

4. 전용공연장 237

5. 소결 240

VII. 결론 243

참고문헌 247

부록 257

Abstract 31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K780-
dc.title국공립 국악관현악단 편성의 통시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Diachronic Study on Orchestra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l, Bola-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
dc.date.awarded2019-02-
dc.title.subtitle서울 소재 악단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37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37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