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pacts of the introduction of DSM-5 on the epidemiological estimates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DSM-5 도입이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역학지표 추정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지원

Advisor
김기웅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김기웅.
Abstract
Backgrou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vised diagnostic criteria for neurocognitive disorders (NCDs)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on the prevalence estimates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ethods: Two independent nationwide community random samples: 755 participants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Nationwide Survey on Dementia Epidemiology in Korea (NaSDEK) 2012 and 6,818 participants aged 60 years or older from the community-based prospective elderly cohort nam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 were re-diagnosed according to the DSM-5 criteria.

Results: The estimated age-, gender-, education-, and urbanicity-standardized prevalences of major and mild NCDs (NaSDEK/KLOSCAD) were 8.35%/5.15% and 11.10%/15.99%, respectively, and those of dementia and MCI were 8.74%/ 5.32% and 27.18%/26.64%, respectively. Cohens kappa for dementia and major NCD was 0.988/0.969, and that for MCI and mild NCD was 0.151/0.210. Prevalence of dementia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any age, gender, and educational strata and that of MCI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strata except the strata of those aged 75 years or older, females, and those with seven or more years of education.

Conclusion: Diagnostic discrepancies between major/mild NCDs and dementia/ MCI, which have mainly been due to the operationalization of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criteria, may decrease in prevalence with the introduction of DSM-5. Hierarchical application of each criterion may minimize subjects with diagnostic orphans, which are caused by mismatches between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functional impairment when using DSM-5.
서론: 2013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판(DSM-5)에서 주요신경인지장애 및 경도신경인지장애의 진단 기준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의 신경인지장애 진단 기준이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의 유병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두 개의 독립적인 전국단위 노인 표본인 제2차 전국치매역학조사 (Nationwide Survey on Dementia Epidemiology in Korea
NaSDEK 2012)의 진단 평가에 참여한 65세 이상 755명, 전국단위 지역사회 전향적 코호트 연구인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 기저평가에 참여한 60세 이상 6,818명의 평가 자료를 DSM-5 진단 기준에 따라 재진단하였다.

결과: 2010년 센서스 노인 인구의 연령, 성별, 교육연한, 도농 표준화 주요신경인지장애 유병율은 8.35%/5.15% (NaSDEK/KLOSCAD) 였고, 경도신경인지장애 유병율은 11.10%/15.99% 였다. DSM-IV 진단 기준에 따른 치매 유병율은 8.74%/5.32% 였고,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진단 기준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유병율은 27.18%/26.64% 였다. 주요신경인지장애와 치매의 Cohens kappa 값은 0.988/0.969 였으며, 경도신경 인지장애와 경도인지장애의 Cohens kappa 값은 0.151/0.210 으로 나타났다. 신경인지검사 수행수준에 대한 진단기준 항목이 주요/경도신경인지장애와 치매/경도인지장애의 진단 불일치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연한 계층별 치매 유병율은 각 계층별 주요신경인지장애 유병율과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나, 75세 이상, 여성, 교육연한 7년 이상인 층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경도신경인지장애 유병율은 경도인지장애 유병율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DSM-5 진단 기준을 사용할 경우 치매와 주요신경인지장애의 유병율 수준은 비슷하나, 경도인지장애에 비해 경도신경인지장애의 유병율은 유의 하게 낮아진다. 신경인지검사 수행수준에 대한 진단기준항목과 일상 생활 기 능에서의 독립 수준에 대한 진단기준항목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진단 상실자 (diagnostic orphans)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진단 기준의 위계적 적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6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