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io-modification of Infected extraction sockets Using hyaluronic acid with carrier: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 성견에서 히알루론산과 운반체를 이용한 감염된 발치와의 생활성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주

Advisor
구기태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2019. 2. 구기태.
Abstract
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실험 동물 모델에서 감염된 발치와의 치유에 대한 히알루론산의 효과를 rh BMP-2와 비교하여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2. 연구 방법

먼저, 6마리 성견들의 양측 3번째, 4번째 하악 소구치에 편측 절단술을 시행하여 원심측을 발치 한다. 그리고, 남아있는 근심측 치근에 근관-치주 복합 병소를 유발시킨다. 4개월의 병소 유발 기간을 가진 후에, 하악 양측 4개의 근심측 치근을 발치하여 감염된 발치와를 만든다. 한 개체당 4개의 발치와를 무작위로 1군은 대조군, 2군은 오직 흡수성 콜라젠 스폰지(운반체)만 적용한 군, 3군은 1% 히알루론산과 흡수성 콜라젠 스폰지 적용한 군 그리고 4군은 rh 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와 흡수성 콜라젠 스폰지 적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3개월의 발치와 치유 기간을 가진 뒤에, 6마리의 성견들을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그리고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위해 희생시켰다. 또한, 윌콕슨-맨-휘트니 검정을 통해 5% 유의수준에서 통계분석을 하였다.



3. 결과

4개월의 병소 유발 기간 후에 남아있는 근심 치관에서 치주병소와 근관병소가 개통된 것을 방사선학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룹 3과 4에서 치조골 과성장이 관찰되었고, 골 부피 밀도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값>0.05). 또한 치조정 부위에서 골화 정도 및 Osteocalcin 발현 정도가 그룹 1과 2에 비해 그룹 3과 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P-값<0.05).



4. 결론

감염된 발치와에 적용된 히알루론산은 rh BMP-2에 상응하는 정도로 골형성 및 창상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다.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yaluronic acid on healing of infected extraction sockets compared with rh BMP-2.



Material and Methods: Both third and fourth mandibular premolars of six beagle dogs were hemisected, and the distal roots were extracted at baseline. Subsequently, combined endodontic-periodontic lesions were induced at the remaining mesial roots. After 4 months, the mesial root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were removed. Four sockets per dog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groups
Group 1: Control, Group 2: only Absorbable Collagen Sponge (ACS: carrier), Group 3: 1% Hyaluronic Acid (HA) gel + ACS, and Group 4: rh 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 ACS. After three months of healing, the dogs were euthanized for micro-CT,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t 5% significance level using Wilcoxon–Mann–Whitney test.



Results: After the lesion induction period (4 month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iodontal lesion and endodontic periapical lesion was observed at all remaining mesial roots. Alveolar bone overgrowth was observed in groups 3 and 4, but bone volume dens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P-value>0.05). At the crestal portion, mineralization and osteocalcin expression were higher in groups 3 and 4 than in groups 1 and 2 (P-value<0.05).



Conclusion: Treatment with HA can promote bone formation and improve the wound healing rate comparable to rh BMP-2 in infected extraction socket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9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