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로운전자의 위험운전 수용모형 연구
A Risk Taking Model of Drivers on the Roa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범철

Advisor
이영인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9. 2. 이영인.
Abstract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을 도로이용자, 차량, 도로환경 요인 등 3가지로 구분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 도로교통 분야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에서 도로이용자에 의한 사고는 약 98.6%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도로이용자에 사고의 원인을 찾아 우선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교통안전 정책의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어느 정도의 위험을 의도적으로 감수하여 발생시키는 경우에 의하여 발생한 사고가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면 이러한 상황에 대해 교통정책을 어떻게 관리해야 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본 연구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위험운전을 수용한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위험운전을 수용하는지의 관계에 대한 설명이 가능한 기초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위험운전 관련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제 위험운전의 행위에 초점을 둔 위험운전 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위험운전 행동기준에 관한 연구, 위험운전 행동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와 같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방법 및 연구결과에 대해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4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는데, 개념제안, 조사분석, 모형구축 및 검증, 활용제안 등으로 구분하였다.

동 연구에서는 위험 선택균형을 제안하고 제시된 개념 하에서 시간편익 및 사고위험 비용의 인지정도로 표현할 수 있는 개인적 운전행태적 특성에 따라 위험을 회피, 수용하는 방식이 최소선택, 최대선택, 경제적 선택 등으로 제안하였다. 도로운전자가 위험을 회피하거나 수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2가지 역설을 제안하였다.

위험운전 수용모형 정립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주일에 3일 이상 자가용 승용차 이용자 중 수도권↔대전(최근 3개월 내 3회 이상 통행자), 수도권↔대구(최근 3개월 내 3회 이상 통행자), 수도권↔부산(최근 3개월 내 1회 이상 통행자) 구간 통행자를 조사 대상으로 패널을 이용한 온라인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총 1,050명에 대한 자료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위험운전 수용에 관한 모형을 제안하고 위험을 수용하는 패턴에 따라 위험수용, 위험중립, 위험회피 등 운전자가 위험을 수용하는 패턴의 그룹을 구분하여 제안하고 군집분석 및 함수추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위험수용 그룹에 따라 운전자의 위험운전 수용 잉여 개념을 제안하고, 조사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볼 때 위험추구형 운전자가 위험중립(추구형) 운전자 대비 32% 수준으로 위험을 체감하고 있으며, 위험회피 운전자 대비해서는 1/10 수준으로 위험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구축하고 운전유형 중 공격운전형에 대한 한계효과를 구하면 값(0.551)의 지수화값인 Odds값(1.734)을 기준으로 해석하면 공격운전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위험중립, 위험추구를 선택할 확률이 1.73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방법으로 경상 사고를 경험한 운전자의 경우 다른 사고를 경험하지 않은 운전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위험중립, 위험추구를 선택할 확률이 0.835배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복운전의 경우, 전혀 보복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과 비교하여 위험추구의 경우에 확률의 증가분은 8.8%p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평상시 운전에서 위험도 인식이 1%p 증가해도 위험추구형 운전을 선택하는 변화분이 1.8%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에 대한 인식이 위험운전 선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정책적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ere are three types of factors that cause traffic accidents: road users, vehicles, and road environment. It is analyzed that 98.6% of accidents that occur in the road transport sector in Korea are caused by road users. Therefore, finding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finding a solution in the first place is the priority of the traffic safety policy. If there is an accident caused by the intentional risk of drivers using the road, it may be the basis of this research to consider how traffic policies should be managed in this situation.

To ensure differentiation from preceding studies on risk driving,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analysis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ree main types, such as the study of risk driving behavioural analysis focusing on actual behaviour of risk driving, the study of risk driving behavioral criteria, and the study on factors of risk driving behaviou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including conceptual, survey,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and utilization proposals.

The study proposed a conceptual choice of risk choices and a variety of ways of avoiding, accommodating, minimising, maximising and economic choi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riving behaviour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expressed in recognition of time benefits and accident risk costs under the concepts presented. Two possible illogicalities were presented that could arise from the avoidance or acceptance of risk by a useful electron.

In order to establish a model for accepting dangerous driving, an online survey of 1,050 people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to survey the users of motor vehicle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ree or more days a week (more than three tolls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eonggye-dong area (more than one pass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eonggyeopsan area (more than onc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model for accommodating risk driving was proposed and, depending on the pattern for accepting risk, the proposed group of patterns for risk expropriation, risk neutralization, and hedging by the driver was separately proposed and ver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function estimation. The risk-taking group proposed the driver's concept of surplus risk-driving,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sed, risk-seeking drivers experienced a risk of 32% compared to risk-neutral (tracking) drivers, and expected a risk of 1/10th the level compared to the risk-tolerant.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if the sequential logit model is constructed and the limit effect is obtained for the attack operation type, the Odds value (1.734), which is the index value of 0.551, is 1.734 times more likely to choose risk neutral or risk pursuit than other types. It was found that drivers who experience current accidents in the same way have a relatively lower chance of choosing risk neutral and risk-seeking than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other accid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30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