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쟁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소현-
dc.contributor.author성기진-
dc.date.accessioned2019-06-25T15:05:54Z-
dc.date.available2019-06-25T15:05:54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9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44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4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2. 2. 박소현.-
dc.description.abstract정주유산은 선조들의 삶의 정취가 누적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은살아있는 생활유산으로써, 우리나라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새로운 문화재 군으로써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10년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역사마을인 하회·양동마을이 세계적으로 유산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문화유산의 등재과정은 정주유산 보존관리를 위한 현재의 국내 체계가 한계를 가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하회·양동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대한 중요성 및 지속가능한 정주유산 보존관리시스템으로의 변화 또한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주유산 내에서 발생하는거주편의요구와 유산보존 사이에서의 가치충돌이 보존관리에서 발생하는 쟁점의 핵심적 원인으로 보고, 사람이 거주하는 정주유산이 직면한 보존쟁점사안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우리나라 정주유산이 새로운 구도의 보존관리 방향을 모색해야하는 시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세계 정주유산의 공통 쟁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각국의 개선상황과 유네스코 권고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의 한계를 보다 다각적인 시각에서 고찰하여 우리 현실에 맞는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에 있어 현재의 쟁점과 가장 맞닿아 있는 통합적 실행체계, 민간주도형 거버넌스 시스템, 위협요소 관리체계에서의 개선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정주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이다.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주유산인 7개 전통 민속마을안동하회마을, 성읍민속마을, 월성양동마을, 고성왕곡마을, 아산외암마을, 성주한개마을, 낙안읍성마을을 중심으로 하며, 세계유산 역사지구·역사마을의 쟁점 분석을 위해 선별한 유산으로는 유네스코 정기 총회의7B. 세계유산 보존상태안건에서 최근 5년간 보존상태의 시급성이 문제시 되었던 55개 정주유산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7개 전통 민속마을의 근본적인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실질적인 실행수단이 되고 있는 종합정비계획의 한계이다. 현재의 종합정비계획은 지역민의 의견이 반영되기 어려운 구도로 관과 민의 갈등이 쌓여있으며 종합정비계획이 포괄하는 보존관리의 범위가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둘째,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실행과정에서의 한계로써, 주요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보존협의체가 현실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다. 이는 주민들의 마을관리에 대한 참여역량이 부족하고, 종법 질서를 따르던 기존의 의사결정 체제를 민주적이고 투명한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가장 큰 위협요소가 되고 있는 관광압력으로 인한 문제점이다. 현재 7개 전통 민속마을의 관광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관광계획 체계가 부재한 상황이며, 무분별한 관광·상업행위로 지역 내의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있다. 그리고 관광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 낮은 것 또한 정주유산의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쟁점이 아니다. 55개 정주형 세계유산의 쟁점사안에 대한 구체적인 쟁점사안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것을 45개의 정주유산 보존관리 쟁점요소로 일반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전세계적으로 야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유형별로 크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통합적 보존관리 시스템에 조응하지 못하는 전통적 보존관리
둘째, 거주편의요구와 각종 개발압력
셋째, 방치와 보수의 질 저하로 인한 열악한 보존상태
넷째, 지역민의 일상적 보존참여 시스템의 결여
다섯째, 정주유산을 고려한 관광인프라의 부재
정주형 세계유산의 분석은 지역체계에 적합한 보존관리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유산 내 지역민의 역할이 보존관리 내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쟁점이 서로 연쇄작용을 일으키며 복잡성을 띠고, 일상적인 수준의 모니터링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역별 공통 쟁점사안들이 국내의 개선방안에 적용가능성을 가진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정주형 세계유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문제가 특수하고 독특한 지역 문제를 넘어선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나아가 이것은 정주유산이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적합한 보존관리 방안을 제대로 갖추지 못해 생겨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유산 문제로 확장해 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국제적인 공통 쟁점사안을 통해 우리나라 정주유산이 가지는 쟁점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또한 각국의 개선상황으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개선방안은,
첫째, 정주유산 보존관리를 위한 통합적 실행체계가 구축되어 유산가치의 관리, 경관계획, 지역계획과의 통합, 관광계획, 교육과 홍보, 방재와 위기 대비 등 정주유산의 소프트웨어가 추가로 계획되어야 한다.
둘째, 민간주도형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주민의 보존관리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자체, 전문가, 민간단체, 기타 자발적 참여자들의 파트너십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또한 각 의사결정단계에서 민주적이고 투명한 거버넌스 시스템이 운영되기 위한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위협요소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관광을 위협요소가 아닌 유산 보존을 위한 활용의 수단으로 보고, 정주유산 관광을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계획을 체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광인프라의 구축이 시급하다. 또한 일상적인 수준에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요소와 평가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
정주형 세계유산 보존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거주편의와 유산보존 간에 발생하는 쟁점을 파악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의 의의는 7개의 전통 민속마을의 보존관리가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7개의 전통 민속마을이 문화재보호법 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역시 세계유산 못지않게 소중한 지역적 문화자산이라는 의미에서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방식이 차츰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또한 공시적인 차원에서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쟁점을 밝혀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현재 정주유산은 세계유산 등재시 유적지, 문화경관, 역사도시, 도시지구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등재가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산 내에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특성으로 공통적인 보존관리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입장에서 비슷한 쟁점을 공유하고 있는 각국의 유산들이 어떤 방식으로, 어느 지점에서 합의를 이끌어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정주형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의 현실적 접점을 찾는 과정에서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해본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importance of living heritag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concept of world heritages is extended from individual monuments to area-based cultural landscape includ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However, the framework for management still doesn't meet the demands of the new paradigms in heritage conservation.
This study grasps the present conservation issu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and suggests the proposal of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to show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lso, in terms of seeking the advanc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living heritages, this study identifies the main issues on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historic villages which have simultaneously occurred, and looks into the national improvement efforts and UNESCO recommendation for living heritages.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7 villages: ① Andong Hahoe Village; ②Seongup Folk Village; ③Gyeongju Yangdong Village; ④Goseong Wanggok Village; ⑤ Asan Oeam Village; ⑥Seongju Hangae Village; and ⑦ Nagan Eupseong Village. To analyze the issues of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historic villages, the study is based on the UNESCO official agenda documents, '7.b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propertie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and field study, 3 main problems of Korean Living Heritages are as follows:
1) The operational tool: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2) The operational process: conservation councils; and
3) The control for tourism threat.
These issues are not only for Korean living heritages.
Articulating the main issues and their solution efforts related to the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issues on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villages which are common throughout the world, and argues that the alternative management plans need to cover the issues which are currently arising the insid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living heritages.
Through worldwide approaches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domestic frameworks for heritage conservation, this study suggests 3 improvement plans:
1) Establishing the comprehensive operational framework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y including landscape planning, managing of heritage value, integrating with local planning, sustainable tourism, and risk assessment;
2) Constructing collaborative governance framework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y building capacity of stakeholders, especially local residents; and
3) Establishing threat management framework by tourism management and mundane-level monitor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1) by identifying the current issues of Korean living heritages, the study figures out the limit of present state of conservation;
2) by analyzing the current issues and solutions faced by world heritages inhabited, the study emphasises on the situations which are internationally common in terms of the living heritage conditions; and
3)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of alternative solutions to the long-term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local life.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important to find practical solution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for living heritages by consensus building with whole stakeholder.
-
dc.format.extent16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90-
dc.title정주유산의 보존관리 쟁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학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94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