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lassroom Communication in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위한 교실 내 의사소통에 대한 사례연구 - 위탁형 다문화 학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 Multicultural Alternative Middle Schoo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정철-
dc.contributor.author느고하탄-
dc.date.accessioned2019-06-25T15:17:41Z-
dc.date.available2019-06-25T15:17:41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5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46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6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12. 2. 신정철.-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classroom communication in the supportive learning climate of a multicultural school.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faces Korean educators, particularly teachers, who directly work with those students in daily school life with challenges and difficulties. One of the educational goals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emphasize is establishing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reation of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through classroom communication.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bring to school different home cultural values, traditional norms, different learning styles, lifestyles, etc. All those differences affect classroom communication without the awareness of teachers or students and cause many difficulties, even mis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by finding the causes of miscommunication in a multicultural school and strategies teachers use to reduce miscommunication, has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in a multicultural school.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tape recording, etc., this thesis has found that miscommunication in a multicultural school is mainly caused by language, cultural differences, and stereotyping and prejudice. Teachers in the case school use some specific strategies to reduce miscommunication such as nonverbal communication, classroom meetings and an alternative curriculum. Through those strategies, the characteristics of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for multicultural students were identified. They are maintaining cultural identity, increasing motivation to learn and respectful and caring atmosphere. Also, the study found some school factors that impact the quality of classroom communication and the learning climate. They are school leadership, multicultural students as the majority, small school size, and alternative curricula.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some implement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support from the policy for teachers who will be involv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help develop teacher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the research results have suggest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as a new approach for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evaluated as simplistic and insufficient. Third, the study also suggested an alternative school may be another new approach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pro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school facilitate the quality of classroom communication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Fourth, the study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research in the future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with regard to cultural specific oriented areas, the role of school leadership, the impact of alternativ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in different settings.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 대안학교의 교실 내 의사소통에 대한 것이다. 다문화학생수가 급속도록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직접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한국인 교사들은 도전과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다. 이에 서울 교육청은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을 교육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는 교실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 환경을 진단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은 서로 다른 가정 내 문화적 가치관. 관습, 교육방식, 생활방식 등을 지닌다. 이러한 다양한 속성들은 학생과 선생님이 인지하지 못한 채 교실 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미치게 되고, 심지어 오해로 까지 번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학교에서 벌어지는 의사소통문제의 원인과 이를 줄이기 위한 교사들의 전략을 밝혀냈고 이를 통해 다문화학교에서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가 무엇인지를 규명했다,
이 논문은 참여자관찰, 심층면담, 녹음 등과 같은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문화 학교의 교실 의사소통 문제가 주로 언어, 문화차이, 고정관념 및 선입견으로 인한 것임을 발견했다. 대상학교 내 선생님들은 의사소통문제를 줄이기 위한 특정한 전략들을 사용했는데 비언어 의사소통, 교실 회의들, 대안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전략들을 통하여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의 특징들을 구체화 할 수 있었다. 그것은 학생들의 문화적 정체성 존중, 학습동기부여, 존중과 배려의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더하여 교실 내 의사소통의 질과 학습 분위기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에 관한 요인들을 발견 했다. 그것은 학교 리더십, 주류로서의 다문화 학생, 규모가 작은 학교 및 대안적인 교육과정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미래 연구와 정책시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다문화 학교 선생님들에게 이문화간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써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관점을 제시했다. 이러한 관점은 현재 불충분하게 평가되고 있는 한국 다문화 교육에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이 연구는 대안학교가 다문화 교육의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대안학교의 특성들이 교실 내 의사소통 향상을 촉진시키고,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에 기여한다는 점을 연구 결과들은 증명했다. 네 번째, 학교 리더십의 역할, 특정문화 지향적 분야, 대안적 특성들의 영향 및 다른 학교현장과 환경 등과 같은 주제로 할 연구들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래 연구에 시사점을 제안했다.
-
dc.format.extent108-
dc.language.isoeng-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9-
dc.titleClassroom Communication in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
dc.title.alternative긍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위한 교실 내 의사소통에 대한 사례연구 - 위탁형 다문화 학교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NGO THANH HA-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2-02-
dc.title.subtitleA Case Study of A Multicultural Alternative Middle School-
dc.contributor.major교육행정전공-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56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