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부의 대학 특성화 정책에 대한 대학의 대응전략과 양태 분석 : The Analysis on Strategies of University in response to the University Specializa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상은

Advisor
신정철
Major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12. 2. 신정철.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대학 특성화 정책에 대한 국내 대학들의 특성화 전략을 유형화하여 대학 차원의 특성화 대응 전략과 양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지식 창출과 인재양성 기능을 수행하는 대학의 경쟁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반면에 대학들은 고등교육 보편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입학 정원 미달과 재정여건 악화의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학 특성화는 지난 1990년대 이후 고등교육 개혁의 주요 화두가 되어왔다. 생존 전략으로서의 대학 특성화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은 대학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학 특성화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온 반면, 정부의 대학 특성화 정책과 특성화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한 대학 차원의 특성화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정부의 대학 특성화 정책의 기본 목적과 방향을 살펴보고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추구하는 사회적 요구가 실제로 대학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정부 정책에 대응하여 대학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특성화 전략은 어떠한 양태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대학의 특성화 전략을 분류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학생충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들이 선택하고 있는 특성화 전략은 무엇인가? 특성화 전략을 어떻게 유형화 할 수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들의 특성화 전략을 추진방향(학문 분야 및 선정방식)과 추진내용(프로그램)의 전략으로 나누어 유형화하였다. 둘째, 대학의 특성화 학문분야(집중, 종합, 통합)와 선정방식(상향, 하향, 혼합)에 따라 대학의 충원율과 관련된 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기 위하여 각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학문분야와 선정방식의 전략 유형별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셋째, 대학이 추진하는 특성화 추진 내용은 대학의 학생 충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기 위하여 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 유형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들이 추진하고 있는 특성화 전략을 분석한 결과, 대학들은 학문분야별 집중화 전략을 가장 많이 활용한 반면, 해당 학문분야의 선정방식은 비교적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고 있었다.추진내용의 6개 전략 유형 중에서는지역연계 산학협력형',기능유형,포괄적 산학협력형의 순으로 많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분포 양상은 대학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추진방향의 유형에 따른 성과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문분야의 세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선정방식에서는 혼합형이 하향식 전략에 비해 대학의 입학경쟁률에서 유의미한 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대학의 충원 성과에 추진내용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성과 지표에 따라 유형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대학의 물리적 특성(설립유형, 소재지, 규모)과 대학의 미션, 2009년도 초기값을 함께 고려한 결과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포괄적 산학협력형, 그리고 캠퍼스 개발형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지역연계 산학협력형은 오히려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제화 중점형과 지역 평생교육형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모든 지표에 대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특성화 정책에 대한 개관과 특성화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들이 어떤 특성화 전략을 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일반 120개 대학 특성화 전략을 실증적인 자료에 입각하여 최초로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들이 추진하고 있는 특성화 전략이 대학의 생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학생 충원 관련 지표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대학의 생존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수 과제인 대학 특성화의 추진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학 특성화 전략이 대학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자가 선정한 5개의 지표만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대학 특성화의 다양한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하지는 못했다. 앞으로 대학의 특성화 전략에 대한 이론 탐색과 더불어, 특성화분야의 전략적 포지셔닝(strategic positioning)에 대해 구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있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for analyzing strategies of universities in Korea in response to the Korean governments specialization policies by categorizing universities specialization strategies. Due to the rise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ternational competition among nations become more and more heightened. Thus, it is well acknowledge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cradle for knowledge-producing and human development.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are facing great challenges of deteriorating financial conditions and under enrollment due to the demographic changes caused by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refore, university specialization has been an important agenda in discussing the higher education reform. However, studies focusing on specialization strategies and there effects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cannot be easily found. To study the directivity of specializations in universities as a survival strategy, not only benefits university itself, but also leads to policy recommendations for government.
Thus, this research will first look into basic goals for governments university specialization policy and main features, then, it will analyze how university is carrying out their special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 policies. To verify above, specialization strategies a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the direction and the contents of university goals, and are analyzed by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Following are a subject for inquiry in this research.
First, how can we categorize the specialization strategies by Korean universities? In this research, two different categories the direction(area of academic studies and selection criterion) and the contents to categorize the actual strategies carried by universities have used. Seco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strategy to choose area of academic studies (concentration, generalization, integration) and to select criterions(top-down, bottom-up, mixed model) with recruiting rate of university? Third, what is the overall effect of specialization programs on universities recruiting rate? To find out th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 is following.
To start with, through analyzing speci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the most widely adapted strategy for selecting the area of academic studies is concentration, but the selection criterion strategy varies among three strategies. Also, among six contents strategies, regional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university mission and all inclusiv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re the most favored. However, the distribution varies based on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ased on the different direction in specialization strategies, academic performance improvement has been studied.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rea of academic studies, when the research further analyze the criterion, integration strategy has a clear advantage over the top-down strategy, generating higher competition ratio in the admission process of the university.
La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se strategies on the student reinforcing rate improvement of universities varies based on different contents strategies. By looking into physical characteristics(types of establishment, location, size), university missions and initial values in 2009 as a whole, the all-inclusive industry-university strategy and the campus development strategy have accomplished the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the reinforcing rate and the admission rate. However, globalization strategy has likely to failed to achieve such a positive impact. Also, although government supports the regional industry-university strategy, its implication is marginal and restrictively negative.
This research has two significances in analyzing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types of specialization strategies of university,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of university specializations and its strategies. In this ligh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n study of actual conditions of universitys specialization through the meaningful analysis on the specialization strategies of 120 colleg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econd, by verifying the specialization strategies using the reinforcing rate, this research shows the specialization strategi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university. In doing so, this research provides a valuable insight on the directiveness of the speci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elevate the survival of university and competitiveness of a nation. Yet, this research only uses five indexes related to survival of university to evaluate the success of strategy.
For further studies, it is needed to research for the systemic causes of influence from the specialization. Along with theoretical studies on various specialization strategies, studies on implications of the strategic positioning of specialization are in deman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15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8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