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법 인식 고양(高揚)을 위한 용언 활용(活用)의 교수 학습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기훈

Advisor
민현식
Major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2. 2. 민현식.
Abstract
국어는 첨가어에 속한다. 그러하기에 체언의 곡용과 더불어 용언의 활용은 국어의 주요 문법적 특성 중 하나이며 활용은 형태소와 단어 차원만이 아니라 문장 차원에서도 다룰 수 있는 문법 내용으로, 본질적으로 형태론적 과정이나 통사론적 속성도 갖는다. 현재까지의 문법 교육에서는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선언적 지식과 체계적 지식 전달에 함몰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활용의 교수‧학습을 통해 신장을 기대할 수 있는 문법 능력 역시 문법적 원리와의 연관성‧국어 규범 지식과의 관련성‧통시적 변화와의 연계성 측면 등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활용과 불규칙 활용의 개념 기술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학교문법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기술문법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우선 국어교육을 위한 활용과 불규칙 활용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교육이 지닌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활용형 교수‧학습 목표와 관련해서는, 활용형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언어 단위에 대한 분석‧생성 능력의 신장을 의도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활용형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은 메타언어 활동에 속한다는 점에서 언어를 언어로 다루어 보는 경험을 의도하게 되는데 학습자가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활용형에 대해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탐구해 보는 활동을 경험하게 됨을 지향한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한 활용형의 표기와 발음은 국어 규범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활용형에 대한 교수‧학습을 통해 규범적 국어인식 능력의 신장을 꾀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활용 교수‧학습의 목표를 언어 단위에 대한 분석‧생성 능력의 신장, 문법 지식에 대한 인식 강화, 규범적 국어인식 능력의 신장으로 설정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실험에서는, 활용을 모어 화자의 직관만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문법 내용으로 여기는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비판적 인식 하에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유형을 크게 비분석적 지식을 사용한 경우와 분석적 지식을 사용한 경우의 틀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형에 대한 인식의 과제가 언어를 언어로 다루는 메타언어 활동이라는 점에서 매우 높은 정도의 인지적 조절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 문법 학습에서는 언어 현상의 규칙을 찾아내는 탐구 활동이 강조되며 문법 학습은 학습한 지식을 국어 사용의 실제에 적용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국어 지식에 대한 학습에서는 교사 위주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언어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규칙을 발견하게 하고 이렇게 습득한 지식을 국어 사용 과정에서 활용하는 활동이 중시되어야 한다는 점에 비추어 활용 교육에서 지향하는 학습자의 상(像)은 비분석적 지식보다는 분석적 지식을 활용하는 학습자임을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비분석적 지식 사용(직관에 의한 전략, 언어 경험에 의한 전략, 언어 사용의 관습에 의존한 전략)의 단계에서 분석적 지식 사용(메타언어 사용을 바탕으로 한 전략, 메타언어 사용을 바탕으로 하지 않더라도 발음상의 편의성에 대한 고려·발음과 표기 사이의 관계에 대한 고려·형태 분석·다른 어휘와의 비교·형태소나 단어의 의미에 대한 고려에 의한 전략)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원리 중심의 활용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학교 문법이 기술 문법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대전제 하에 음운론적 엄밀성을 기하여 불규칙 활용의 개념에 접근하고 가급적이면 활용하는 어간의 말음을 기준으로 불규칙 활용의 명칭을 정하며 어미의 이형태 설정에 따른 어미 형태의 문법 기술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주로 그동안 논란이 되어 온 불규칙 활용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함으로써 불규칙 활용 체계를 정립해 보았다.
활용 교수‧학습의 방향으로는 문법적 원리에 대한 탐구 중심, 문법 능력 확장 중심, 그리고 문법 인식(grammar awareness) 중심을 설정하였다.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는 학습자 중심을 지향하였으며, 학습자들이 활용형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상에 대하여 그 메타언어와 관련된 선언적 지식 위주의 교수‧학습이 본질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본질적인 해결책은 활용과 관련된 경험 혹은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활용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언어 단위 자체에 대한 교육을 중시하는 관점, 국어 규범과의 관련성에 주목한 관점, 언어의 통시적 변화를 고려한 관점으로 나누어 각각의 실제를 구안하였다.
The education of conjugation, including irregular conjugati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learn because Korean language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Until now, conjugation education has focused on teaching only declarative knowledge about it. Thus it became impossible to expect learners to learn the principle of conjugation, the relation between conjugation and the norm of Korean language, and the relation between conjugation and diachrony of words.
Having found deficiencies of the present education of conjugation, in this study I examined closely the way they define conjugation and irregular conjugation in textbook and it left something to be refined. So I suggested more acceptable and rational definition of conjugation and irregular conjugation following the logic.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urrent curriculum, both convert and overt, and the textbook about the conjugation educ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I set three educational goals of conjugation education as follows: to enhance the ability to analyze the language unit, to raise grammar awareness, and to raise awareness of language norm.
Next, I actually did my experiment on how learners recognize and use conjugation. I did it by using think-aloud method. Grammar awareness was evaluated by reviewing their pattern of recognizing and using conjugation. I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most of them use mainly unanalyzed knowledge(intuition or simple experience or practice of using language) in recognizing and using conjugation and that there are such learners as use analyzed knowledge. The latter divides into the strategy using metalanguage(morphological and syntactic), and the strategy not using any metalanguage. The latter divides into the one stemmed from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pronunciation, the one stemmed from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ronunciation and writing, the one stemmed from the analysis of morphological form, the one stemmed from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morpheme or word and the one stemmed from the comparison with other words.
On the basis of analysis, I suggest that it would be desirable for learners not to use unanalyzed knowledge but to use analyzed knowledge for reasons as follows: First, the task of recognizing conjugation is a kind of metalanguage performance which requires the high level of cognitive control. Second, we should lay stress on discovering principles of grammar when we teach or study grammar. Third,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not to merely be informed of knowledge about grammar but to make use of knowledge based on principle. Moreover, grammar is the principle of language. I suggest that we should make learners not use unanalyzed knowledge but use analyzed knowledge in recognizing and using conjugation. It would be possible by teaching principles of grammar.
In addtion to this, I suggested the new paradigm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this: p-, t-, s-, lɨ-1, lɨ-2, u- irregular conjugation which shows the vaiation of stem, a-1, neora-, o- irregular conjugation which shows the variation of final, and h-, and a-2 irregular conjugation which shows the variation of both stem and final.
In this study, I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objectives to aid the learner in exploring the principle of knowledge about grammar, broadening knowledge about grammar, and raising grammar awareness. In drafting the concrete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I adopted principle of design as learner experience-centered. By selecting and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based on this principle of design, I drafted the realities of conjugation education activities, which divide into one which emphasizes the language unit of conjugation itself, one which considers the relation between norm of language and conjugation, and one which considers diachrony of conjug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2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7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