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텍스트의 논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narrative reading education based on text logic -Focused on Gi-Yi(奇異) stories
기이담(奇異譚)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은진

Advisor
김종철
Major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2. 2. 김종철.
Abstract
이 연구는 서사 문학의 비현실적인 양상과 이와 관련한 의미 해석의 문제에 주목하여, 비현실적인 서사 텍스트 읽기 방법으로서 텍스트 논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읽기 교육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현실적인 서사 텍스트를 정치하고 심층적인 읽기가 필요한 텍스트로 보고, 일반적인 비문학 텍스트 읽기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비현실적인 서사 이해의 방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비문학 읽기에는 익숙하지만 문학 읽기에는 미숙한 학습자들을 위한 문학 텍스트 읽기 방법을 마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비문학 읽기와 문학 읽기의 실제적 측면을 매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학과 비문학의 구분은 읽기 교육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범주의 구분이다. 대상 텍스트가 문학 작품인가의 여부에 따라 그 읽기 방법론이 양분화 되는 양상이 우리 읽기 교육 연구에서는 드러난다. 즉, 문학은 문학성을 지닌 작품이라는 점에서 비문학 텍스트와는 다른 방식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문학 작품도 언어 구조물로서 하나의 텍스트라는 점에 주목한다면, 문학 작품의 실체로서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작품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는 새로운 읽기 방법론의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본고는 비현실적인 서사의 텍스트 측면에 주목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비문학 텍스트 읽기 방법론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논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읽기 방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방법론 설계에 있어서는 텍스트 수용과 관련한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을 논의의 기반으로 삼되, 서사학과 서사 의미론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서사 텍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 읽기 방법론을 마련하였다. 비문학 텍스트 읽기에 익숙한 학습자에 있어 기본적인 텍스트 수용은 명제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명제 단위를 텍스트 분절의 기본 단위로 설정하고, 이러한 명제들에서 서사와 관련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읽기의 단위를 보완하였다. 또한 서사 텍스트에 드러나는 상징이나 함축과 같은 고차원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 의미 층위와 관련한 이론을 참고하여 서사 텍스트 논리 층위를 명제적 의미 층위, 기능적 의미 층위, 사회문화적 의미 층위로 다층화 하였다.
위와 같이 설계한 읽기 방법론을 비현실적인 서사 텍스트의 전형이 되는 기이담 텍스트들에 적용하여 실제 읽기를 시도하였다. 어우야담, 천예록, 청구야담의 기이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이담 텍스트의 세 유형을 파악하고, 이 세 유형의 기이담 텍스트와 서사 텍스트 논리 형성 층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읽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현실적인 서사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 논리 층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텍스트 유형을 파악하는 근거가 되는 유형 표지와 의미론적 지표 등 읽기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표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텍스트 논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읽기 교육을 구상하였다. 먼저 읽기 방법론의 목표에 대한 고찰을 통해, 비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를 함께 읽고 그러한 함께 읽기 결과를 처리․보완하는 것을 읽기 교육의 기본 구도로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절과 결합을 통한 서사 텍스트 의미 파악의 방법, 소통 맥락에 따른 서사 텍스트 의의 파악의 방법, 함께 읽기 결과의 처리 방법이라는 세 가지 읽기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내용 요소들을 실현할 수 있는 읽기 방법을 구성하였다. 이는 텍스트의 기본 의미 읽기, 텍스트의 의의 읽기, 읽기 결과의 조회 및 보완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읽기 교육의 위계화에 기여하고, 비문학 읽기와 문학 읽기의 소통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를 읽기 교육의 장에서 함께 다룰 수 있는 방법론적인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텍스트 경계 간 소통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aking note of the unrealistic style of narrative literature and related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s, this study purposed to design narrative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text logic as a method of reading unrealistic narrative texts. In this study, we regarded unrealistic narrative texts as texts that require elaborate and in‐depth reading and attempted to design a reading method for learners, who are accustomed to the reading of ordinary non‐literary texts, to approach unrealistic narratives more easily. By preparing a literary text reading method for learners familiar with non‐literature reading but not with literature reading, this study aimed ultimately to propose a method for mediating the practical aspects of non‐literature reading and literature reading.
The distinction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s the most common categorization in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The pattern that reading methodology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ubject text is a literary work is also observed in our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That is, because of their literary characters, literary works have been treated differently from non‐literary texts. Considering that a literary work is a text as a linguistic structure, however, we may suppose the possibility of a new reading methodology that can read out the meanings of a literary work by starting from it text as a real entity. Thu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being text of unrealistic narratives, this study tried to design a narrative reading method focusing on text logic by utilizing the non‐literary text reading methodology relatively familiar to learners.
In reading methodology design, we took the text‐linguistic viewpoint related to text reception as the base of logic and, at the same time, designed the reading methodology applicable to narrative texts by referring to the logic of narrative semantics and narratology. Noting that basic text reception takes place in the proposition unit, we set the proposition unit as the basic unit of text segments, and then supplemented the unit of reading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a narrative can be obtained from these propositions. What is more, in order to grasp high‐level meanings such as symbols and implications contained in narrative texts, we layered the logic of narrative text into propositional meaning layer, pragmatic meaning layer, and socio‐cultural meaning layer by referring to theories related to the semantic layers of texts.
The designed reading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actual reading of Gi‐Yi (奇異) story texts, which are typical unrealistic narrative texts. Using Gi‐Yi stories Eouyadam, Cheonyerok and Cheongguyadam, reading was performed mainly to identify the three types of Gi‐Yi story tex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Gi‐Yi story texts and the logical form layers of narrative texts. From the results, we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unrealistic narrative texts and the logical layers of texts, and found type markers indicating text type as well as significant markers usable in reading education such as the marker of semantic bond.
Based on the logic, we planned narrative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text logic. With the object of designing education of reading methodology itself centering on text logic, we reviewed the purposes of reading methodologies and set the reading of both non‐literary and literary texts at the same time as the basic structure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efined three types of contents of reading education and prepared a three‐stage reading method, which consists of reading the basic meanings of text, reading the significances of text, and reviewing and supplementing the results of reading.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layering of reading education and to communication between non‐literature reading and literature reading. What is 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futur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mong text boundaries in that it prepared a theoretical frame for dealing with both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together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31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8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