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大韓帝國期 家政學의 受容과 家庭敎育의 變化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泰雄-
dc.contributor.author조민아-
dc.date.accessioned2019-06-25T15:47:17Z-
dc.date.available2019-06-25T15:47:17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92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49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2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역사전공), 2012. 2. 金泰雄.-
dc.description.abstract本考는 舊來 家庭의 家政傳統과 그 연속선상에서 전개된 外來 家政學의 受容과정을 검토하였다. 가정학은 서구의 산업화를 배경으로 한 근대 家庭像을 반영하여, 家庭의 운영과 효율적인 가사관리를 주제로 다루고 있는 학문이다. 이러한 서구 가정학은 후발 산업화를 자처한 일본에 급속도로 보급되었고, 서구와 일본의 가정학을 동시적으로 접한 대한제국에 수용되었다.
대한제국은 외래 가정학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반응할 수 있었다. 근대 산업사회라는 구조 속에서 가정학이 등장한 서구와는 달리, 대한제국은 역사적 전통에서 이어온 家政論이 존재해 온 까닭이다. 따라서 대한제국기 가정학 수용과 가정학 논의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근대 가정론의 성격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조선의 가정론은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부각시켰고, 이때의 교육은 부부의 협력과 조율로 가능하였다. 교육이 주가 되었던 조선의 가정은 조선후기 사회변동으로 말미암아 현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른바 分戶別産과 父家長 小農民의 성장이 個別家戶의 증가로 이어진 것이다. 이러한 사회변동은 士大夫家에만 한정되지 않았고, 서민층까지 망라하여 전개되었다.
소규모 개별가호의 증가로 부부 중심의 가정이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부부의 협업적 분담이 중요해졌다. 개별 가호에 공통된 가정지식이 요구되면서, 가정론은 사회 변동으로 인한 가정의 기능 변화를 수렴하여 사회지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조선후기 사회변동은 근대개혁기 사회문화적 배경의 근저를 이루었으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생산성의 향상은 부국강병을 표방한 식산흥업 장려책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 가정은 생산경제와의 연계성이 점차 희박해지면서, 가정이 내외로 구분되고 부부의 분업적 분담이 강화되었다. 가정운영 권한이 부녀자에게 일임되고, 어머니 전담의 교육이 주요해졌다. 가정교육을 중시해 온 전통에 따라 이 시기 교육에서는 자녀교육이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을 책임지고 전담하는 부녀에 대한 교육적 관심도 고조되었다. 부녀교육의 강조는 여학교 설립으로 이어지는데, 이 때 부녀교육을 위해 도입한 것이 가정학이었다.
가정학이 보급되는 과정은 크게 두 분야였다.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중에 보급된 미국식 가정학과 국내 식자층이 수용한 일본 가정학이 그것이다. 동아시아라는 공통 조건에서 강력한 국가주도의 근대화를 감행한 일본의 상황은 국내 식자층에게 귀감이 되었다. 이들은 여자교육을 위한 방략으로 일본 가정학을 적극 수용하였다.
대한제국기 가정학 논의는 保國이라는 동일한 방향성을 견지하며 이루어졌는데, 가정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법 면에서는 식자층 계열별로 견해의 차이를 보였다. 가정학 인식에서 식자층은 文明開化家政論과 舊本新參家政論으로 구분되었다. 문명개화가정론은 일본 가정학의 목표와 이념을 수용하여, 일본의 家庭과 교육을 답습하고자 하였다. 한편, 구본신참가정론은 전통적 가정론을 계승하여 교육자로서의 어머니상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두 계열의 가정론은 대한제국 사회에 병존하면서 대한제국 가정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른바 대한제국 가정학은 家庭의 학문으로, 전통 가정론에서 이어진 철학과 사상이 있었고, 일본 가정학에서 받아들인 실용지식으로 家政의 기술면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한제국의 가정학 논의는 국권피탈로 인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일제 강점기 총독부 정책에 따른 가정학은 실습수업이 주가 된 家政科 교육으로 이루어졌고, 단순한 家事 기술 정도만이 敎授되었다. 대한제국기 가정론의 전통은 조선총독부 정책에 의해 차단되었으며, 가정학을 둘러싼 식자층의 논의는 단절되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discusses the home-management customs since the old days and as a continuum, the acceptance process of foreign home-economics. Home-economics is a study which looks into the management of homes and efficient housework, reflecting on the images of modern home with a basis on west industrialization. This western home-economics became general in Japan, which was the late starter of industrialization, and it was accepted in the Great Han Empire when the western and Japanese
home-economics were con-temporarily accepted.
The Great Han Empire could respond autonomously in the process of adopting home-economics. This is because in contrast to the western home-economics, which appeared within the structure of industrial society, the home-management theory had existed in the Great Han Empire as a continuum of the historical tradi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ome-management theory in order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and the process of the discussions of the process of home-economics in the Great Han Empire period.
Chosǒn Dynastys home-management theory emphasized the educational function at homes, and the education here was possibl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husband and wife. Chosǒn Dynastys homes, which education was the priority, dramatically changed due to the social changes during the late of Chosǒn Dynasty. So called, Bunhobyoulsan (dividing homes and dividing estate) and growth of a patriarch(父家長) and peasant(小農民) led to the increase of each homes. These social changes were not limited to Sadaebu(gentleman-scholar, Scholar-official), but it spread out even to the ordinary people.
Small scale of each home increased and the husband-wife centered homes expanded, so the cooper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became significant. Each home was required a general home-management knowledge, and home-management theory became social knowledge by gathering the function transitions of homes due to social changes.
The social changes during the late Chosǒn Dynasty became the foundation of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modern Korean reformation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commodity-money econom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led to the promotion of industries incentive plan to enhanc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t this time, homes gradually grew apart from economy of production and were separa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he mother assumed full charge of education at home. Because of the tradition of having an emphasis on home-education, the education of children was regarded important, and the attention on the education of women, who were entirely responsible for home-education, increased. The emphasis on womens education led to establishments on girls schools, and this is when home-economics was adopted for women education.
The process of propagating Home-Economics can be divided into two areas. These are the Americanized home-economics that was spread during missionary work and the Japanese home-economics which the literate stratum accepted. The fact that Japans modernization was strongly led by the country and that Japan is also part of the East Asia was appealing to the literate-stratum. They actively accepted the Japanese home-economics for women education.
The discussion of home-economic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was accomplished by having an equivalent directivity called patriotism, and the literate-stratum had distinctive opinion about the home-economics practice methods. The literate stratum were distinguished into cultural evolution home-management theories and Gubon sincham(Eastern way and western instrument) home-management theory about Home-Economics cognition. The cultural evolution of home-management theory accepted Japanese home-economics and ideology, imitating Japanese home and education. Meanwhile, Gubon sincham home-management theory inherited the mother-status as teachers inheriting the traditional home-management ideas.
The two home-management theories coexisted showed the potential of developing into the home-economics of the Great Han Empire. The so-called, home-economics of the Great Han Empire is a study of home and includes the connection between philosophy and ideology, which were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al home-management theories, and this enabled it to organize home-management techniques from the adopted Japanese Home-Economics.
However, the discussion of home-economics of the Great Han Empire was limited due to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The home-economic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as focused on lessons of practical exercise and simple housework skills. The tradition of home-economics of the Great Han Empire period was shut out due to Japanese government, and the literate-stratums discussion on home-Economics was prohibited.

Keywords: Home education, Home-Economics, Home-Management Theory, Education for women, Cultural evolution Home-Management Theory, Gubon sincham(Eastern way and western instrument) Home-Management Theory
-
dc.format.extent6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7-
dc.title大韓帝國期 家政學의 受容과 家庭敎育의 變化-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교육과(역사전공)-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92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