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의성의 강조를 통한 불안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한겸

Advisor
윤동천
Major
서양화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2. 2. 윤동천.
Abstract
죽음은 반드시 일어날 사건이나 우리는 언제 어떻게 죽을지 알 수 없다. 죽음은 삶의 시간과 우리의 인식을 한정짓는다. 불시에 죽어 무로 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과 무의식과 같은 파악할 수 없는 영역이 있다는 사실이 나를 불안하게 한다. 이러한 불안의 감정으로부터 나는 작업을 시작했고 불안을 표현함으로써 이를 받아들이고 다소간 완화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불안을 사의적寫意的으로 시각화한 작업들을 분석함으로써 내 작업의 배경과 소재, 표현상의 특징을 밝히는 과정을 체계화한 것이다.
모든 것이 시간의 흐름 안에 있으며 따라서 가변적이라는 인식 하에 인간의 의식이 나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었다. 감정, 기분과 얼굴 표정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얼굴을 통해 인물의 내적 상태를 표현하려 시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인물 작업을 통해 나의 불안을 구체화한 후 연극적인 상황을 연출해 죽음의 장면을 제시하고 카타르시스를 얻고자 했다. 그러나 결국 죽는 순간까지 계속될 이 불안을 나는 적극적 명상과 만다라 기법을 이용해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감정과 분위기를 표현하는 것이 작업의 가장 큰 목적이자 동기였다. 때문에 색과 공간은 왜곡되었으며 거칠고 소박한 표현이 두드러졌다. 모호하고 복합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물감을 지워내고 덧그리는 과정을 반복하기도 했으며 핵심을 생략한 주변적 단서들을 제공해 이야기를 추측하게 하기도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나의 불안이 죽음으로 인한 시간성과 인식의 한계 등과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얼굴과 연극적 장면 연출작업, 만다라 작업들이 불안을 표현함으로써 다소간 완화하려는 시도로서 상보적인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 나는 나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개인적인 동기에서 작업을 시작했으나, 죽음으로 인한 한계와 불안이 모든 인간의 문제라는 점에서 불안을 구체화하고 받아들이며 해소를 시도하는 나의 작업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소재나 표현상의 일관성이 적은 작업들을 주제와 작업 태도, 의도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작업들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성격을 찾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작업의 근거를 찾아 본 이 논문이 앞으로의 작업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We do not know anything about death, though we must face it one day. Death limits our length of life and amount of knowledge. The fact that we could die and no longer exist at any time, and the existence of an incomprehensible area like the unconscious make me anxious. I started to deal with these feelings and I was able to accept and relieve my anxiety by representing it in my works. This study clarifies the main theme, subject matters and expressive elements of my works, which emphasize spiritual aspects in representations of anxiety.
What interests me most is human consciousness because everything exists with the flow of time and is changeable. I am fascinated by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s, feelings and facial expressions and have tried to represent inner state through the visual depictions of faces. After embodying my anxiety, I tried to produce theatrical scenes of death which offer catharsis. This anxiety will never disappear till I die; however, I currently practice meditation and create mandalas in order to ease my anxiety to some degree.
I distorted colors and perspective and accentuated rough, naïve expressions to show that the representation of my anxiety is my main motive and purpose. To create an obscure, complex atmosphere I repeated erasing and painting or made people guess the stories of my works by giving only omitted, peripheral clues.
During the course of creating my works, I realized that my anxiety is related to the fact that my time is limited and that I will no longer be conscious when I die. I also found that my series of face works, theatrical scenes and mandalas are complementary; they are all my attempts to relieve anxiety through its representation. Although these works originate from my personal desire to relieve my anxiety, I discovered that anxiety caused by death matters to every human being.
By analyzing the theme, mood, and purpose of my works, I discovered meaning in my works, which are not necessarily characterized by consistent subject matter and expressive features. It is my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valuable guide for understanding my completed works and setting a direction for my future work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07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4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