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상천의 저작에 나타난 근대 한국인의 몸에 대한 인식 : Body Awareness of Modern Korea: Case study - Sang Chun Se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현주

Advisor
나영일
Major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2. 2. 나영일.
Abstract
본 논문은 근대를 살았던 체육인 서상천의 저작을 통해 근대에 새롭게 출현한 한국인의 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몸에 대한 인식의 변모를 가능하게 해준 사회적 기반인 개화기에 대한 검토와 그에 대한 대비적 작업으로서 전통적 유교사회에서의 몸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수양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교에서는 인간의 영혼을 심신일원론적으로 이해하여, 마음을 닦음으로써 몸을 닦을 수 있다고 여겼다. 심신일원론은 몸보다는 마음이 중심이 되었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몸을 물리적인 실체로 인식하기보다는 마음이라는 정신의 표상으로 이해한 것이다. 몸은 개인의 독자적인 소유가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확인하고 가정과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이 시기 뒤에 이어지는 개화기는 새로운 스포츠들이 학교를 통해서 수용되었던 시기였다. 제도 교육으로서의 학교는 안으로는 체육 수업을 통해서, 밖으로는 운동회를 통해서 새로운 신체활동을 이끌어냈다. 서상천이 1930년에 결성한 중앙체육연구소도 이 토양 위에서 세워졌지만, 중앙체육연구소에서 이루어진 신체 훈련은 다른 스포츠 단체에서 보이는 모습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 시초의 모습은 타자와의 관계성에서 사유되는 신체를 벗어나 개인의 신체 단련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으며, 그 신체 단련의 결과물인 육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는 당대 유행하였던 사회개조론과 실력양성론의 영향을 받아 상승한 체력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였으며, 이 지점에서 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인식의 변화를 기반으로 서구의 생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최초로 현대과학적인 원리에 의한 신체 단련법이 시행되게 되었다.

서상천은 이러한 새로운 신체 단련법을 소개하고 보급한 인물로 Ⅲ장에서는 서상천이라는 인물과 그의 저서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게 되는데 이것은 서상천의 저작이 Ⅱ장에서 설명한 시대배경과 어떻게 맞물리고 있는지를 설명함과 동시에, Ⅳ장에서 설명할 서상천의 체력증진법과 그의 에세이가 갖는 의미를 설명해 주는 가교의 역할을 한다. 1절에서는 서상천의 일대기를 살펴봄으로써 그가 호흡했던 시간과 공간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다음에 설명할 서상천의 저작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2절에서는 서상천의 저작 4권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그가 무엇을 말하고자 한 것인지 문헌 연구를 통해 구체화한다.

Ⅳ장에서는 앞에서의 서술을 바탕으로 하여 서상천의 몸에 대한 인식이 갖는 의미를 되짚어본다. 1절에서는 서상천의 체력 증진 방법이 갖는 의미에 대해, 2절에서는 그의 저술에 빠지지 않았던 에세이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가 제시한 체력단련법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그가 최초로 서구 생리학에 기반한 과학적인 신체단련법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비록 현대적인 생리학에 비해 부족한 부분은 있으나, 그가 제시한 체력단련법은 현대에 출간되는 체력단련서와 별반 다르지 않은 구성으로, 이 새로운 신체단련법은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있었기에 가능한 시도였다. 하지만 서상천은 후기 저작으로 갈수록, 신체단련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정신 수양에 관한 에세이를 수록하면서 신체와 정신의 단련이 다른 것이 아니요, 하나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그의 후기 저작으로 갈수록 심화되어, 그의 초기 저술이 민족과 국가를 벗어난 개인의 신체 단련을 목적으로 했던 것과는 달리 그의 후기 저작에서는 개인의 신체 단련을 국가의 발전과 동일 선상에서 사유하고 있다. 이는 서상천의 관심이 체육을 넘어서 정치․사회로 나아갔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가 가졌던 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과거 유교 사회에서의 신체에서 탈피해 최초로 육체를 공적 영역으로 끌어올렸던 그의 몸에 대한 인식은 결국 다시 신체로 회귀하고 말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상천의 저작에서 보여주는 몸에 대한 인식의 의미가 퇴색하지 않는 까닭은 그의 저작이 당시 시대의 공기를 그대로 호흡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 있다. 서상천은 신체를 단련하기 시작한 시대, 신체를 노출하기 시작한 시대의 한 가운데에 있었으며, 당대의 공기를 호흡한 많은 저술이 그 이념을 제시하고 촉구하는 것에 그친 것에 비해, 그의 저작은 시대가 요구하는 몸을 만드는 방법을 실제적, 과학적, 체계적으로 제시한 신체단련을 통해 단련된 육체로서 표상하였으며, 이러한 시도는 시대정신을 실천하는 방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념을 제시하는 것과, 그 이념에 따른 구체적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다른 성격의 일인 것으로, 이는 응용학으로서의 체육학의 위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body awareness of modern Koreans, which emerged with changes to society, employing Sang Chun Seo, the physical trainer and the writer of the time.

As a foundation of the thesis, Chapter II studies the Open Door Times which brought such changes, and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conception of the body and its training methods. Confucianism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soul through Identity Theory. It reflects its social consciousness which respects the mind more than the body. It is believed that a trained body can be achieved by training the mind in that the body is a presentation of the mind, rather than physical matter.
Also, Confucianism understands the body in its relationship with others,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s. Therefore, the body is a means of self-awareness in the blood-connected relationship and in the social context, is a means of forming and governing a family and a country.

The Open Door Period was followed with a great deal of Western culture influx. New sports games were introduced via modern schools. Their education included physical training and sports days that promoted the exertion of ones physical capability. Seos Joong Ahng Institute of sports was established within this situation, but it was distinguished in that it was the only body building related education provider whilst other sports groups majored in particular sports games. Body building served as momentum to be aware of the body as separate from relationships, and encouraged individuals to achieve physical results, and the body was shown as a result of the training.

This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the periods pervaded social proposals such as social-reform theory (社會改造論) and skill-cultivation theory(實力養成論). These proposals elevated public attentions to physical fitness to replace the traditional notion on the body. The new notion fostered modern scientific physical training based on western physiolog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eo took on a great role in introducing and distributing this new physical training. Thus Chapter III reviews his profile and works based on the social circumstances explained in chapter II whilst preparing the readers to proceed to the next chapter, Chapter IV, whose subject is the significance of his training methods and essays. Point 1 of Chapter III will treat Seos biography so as to know his contemporaries, which will help our understanding of his works. Point 2 will study his four works to discover his beliefs on physical training.

Chapter IV will prove the significance of Seos awareness of body based on the previous chapters. Point 1 is on the significance of his approach to physical training whilst Point 2 is on his essays which took over most of his later two books.

The biggest significance of his training method is that it was the first scientific physical training method based on western physiology in Korea. Even though the physiology has been developed immensely since these books, the concept and presentation of his training books are quite similar to the contemporary works. This proves Seo perceived the body in a different way to the traditional counterpart.

However, his essays on mind training underline that mind training and body training are interactive and identical. This conflicting tendency intensified through his later works as they attempted to relate individuals physical improvement to the countrys development whereas his early works saw physical training purely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hows Seos focus was extended to politics and society, and also, his changed awareness of the body. He liberated the body from Confucius lived-body to raise it to public discussion for the first time, but later, his awareness returned to the traditional lived-body.

However, Seos works and body awareness provide a valuable reference for contemporary generations to trace back their contemporary counterparts. Seo was the first Korean who experienced and expressed modern body awareness. This was Seos response as a physical trainer to the spirit of the time, whose interests and needs for the changed notion of the body was highly raised. To the proposals such as social-reform theory, skill-cultivation theory, his works instructed a scientific, practical training system of body building as desired by the new society.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exemplifies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studies as applied stud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4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9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