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치과 임상에서 시각보조기구를 활용한 자세 및 확대감각의 연동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진수-
dc.contributor.author이장우-
dc.date.accessioned2019-06-25T16:48:40Z-
dc.date.available2019-06-25T16:48:40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067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5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7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2. 2. 안진수.-
dc.description.abstract
1. 연구목적
치과진료는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작업으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세밀한 작업을 하는 치과의사에게 있어 진료자세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자세의 개선과 함께 원활한 시야의 확보를 위해 진료용 루빼(loupe), 현미경 등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한 진료장비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직접 시야를 통한 작업을 육안과 확대경을 통해 시행해보고, 간접시야를 통한 작업을 두 가지 다른 배율로 보여주는 모니터를 보면서 시행하여 자세의 변화, 작업속도의 변화, 작업의 정확성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직접시야와 간접시야와의 차이, 확대율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에 개선을 줄 수 있는 장치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시각 및 운동감각 시스템의 연계차원으로 해석해보고자 시행하였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피실험자는 총 20명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오른손을 주로 사용한다. 피실험자에게 치과용 핸드피스의 외형을 복제하여 만든 실험용 펜을 주고 육안으로, 2.5배 배율의 확대경을 사용하여, 화상캠코더를 통해 실제배율로 보이는 모니터를 보며, 2.5배 확대되어 보여주는 모니터를 보며 5개 도형으로 이루어진 한 set를 세번 tracing할 때 피실험자가 취하는 자세 각도, 한 set 당 소요되는 시간, 도형의 궤적을 벗어나는 횟수를 측정한다.

3. 결 론
작업을 육안으로 하는 것보다 확대경을 사용할 경우 자세를 가리키는 neck flexion, head tilt, trunk flexion 세 가지 값 모두 더 양의 값을 가지게 되며, 간접시야를 사용할 경우 직접시야를 쓰는 경우보다 큰 차이로 neck flexion과 head tilt가 커져 작업자세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간접시야를 쓸 경우 상체의 자세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하게 되어 근골격계 부담이 최소화되는 중립위치(neutral position)에 가까워지게 된다. 신속성의 측면에서는 피험자가 직접시야를 사용하는 것보다 간접시야를 사용할 때 소요시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직접시야를 사용할 경우 육안으로 했을 때보다 확대경을 사용했을 때 소요시간의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간접시야를 사용할 경우 실물크기의 모니터를 바라보며 시행했을 때보다 확대된 화면의 모니터를 바라보며 시행했을 때 소요시간이 감소하였다. 정확성의 측면에서는 실물크기의 모니터를 볼 때에 가장 많은 Error 횟수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피험자가 충분히 확대된 작업대상을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ture differences using loupe and camcoder-monitor device which affect musculoskeletal discomfort or disorder (MSD) and the work efficacy of camcoder-monitor vision-aids while magnified output images like dental practice. Subjects consist of 14 males and 6 fema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graduate students. The test sheet comprises 5 sets of several geometrical paths. Each subject traces the paths using resin-duplicated handpiece-shaped pen while the elapsed time and tracing errors, and postures being recorded. The 3 test sets were done using 4 different methods of looking at the test sheet directly, through loupe, watching the monitor which the test sheet appears in real size, magnified by a factor of 2.5. When the loupe was applied, the degree of neck flexion, head tilt, trunk flexion were getting more positive values. Using indirect vision like camcoder-monitor device could increase the degree of neck flexion and head tilt significantly than direct vision like using naked eye or loupe, and the trunk posture approached to "neutral position" which could decrease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comfort or disorder (MSD).



-
dc.format.extent2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치과 임상에서 시각보조기구를 활용한 자세 및 확대감각의 연동-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ang-wo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치의학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067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