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안지영-
dc.date.accessioned2019-06-25T16:56:38Z-
dc.date.available2019-06-25T16:56:38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63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58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3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12. 2.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특수교육분야에서는 효과성이 담보된 실제로서 증거기반 교수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증거기반 교수 또는 증거기반 실제(Evidence-based Instruction/ Evidence-based Practice)는 효과성에 대해 가장 최선의 증거에 따라 교육 실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으로, 교사가 교육설계에 있어 자의적 해석을 줄이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하도록 함으로써 학생의 교수에서 좀 더 책임감 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증거기반 교수는 학생의 교수에 있어 불필요한 시행착오로 인한 시간과 노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고 제한된 교수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교육 내에서 교사가 제공하는 효과성이 입증된 교육에 대한 아동의 반응 여부에 따라 학습장애를 판별하는 도구인 중재반응(RTI) 모형의 사용이 장려됨에 따라 일반교육 현장에서도 증거기반 교수의 사용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교육 현장에서 증거기반 교수를 사용하도록 요구만 하고 있을 뿐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 맞는 중재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교사들의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현장에서 증거기반 교수의 사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교육 현장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방안으로 교수 제공의 주체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증거기반 교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현장에서 교사들이 증거기반 교수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교수법의 중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증거기반 교수의 활용 촉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거기반 교수의 실행도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서울, 경인, 경상도 지역의 일반 초등학교와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23명과 일반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증거기반 교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증거기반 교수법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인식 정도가 전반적으로 낮으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법 관련 정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정보전달 방법으로 교사연수와 교사를 위한 잡지 혹은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매체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수 관련 정보의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두 교사 집단 모두 연구에서 제시된 증거기반 교수법의 대부분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기초 학업 능력을 위한 교수법에서는 특수교사들의 실행도 및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다 상위의 인지 능력을 요하는 학업기술을 위한 교수법에서는 일반교사의 실행도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수법에 있어 두 교사 그룹 모두 교수법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비해 교수법의 실행도가 낮게 나타나 교수 집단의 특성에 따라 증거기반 교수의 사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특수교사들에게 있어 노력이 우선적으로 집중되어야 하는 교수법은 SQ3R과 인지ㆍ메타인지 전략 교수로 나타났으며 일반교사의 경우에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차이를 고려하여 증거기반 교수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제공될 때 그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dc.format.extent9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1.9-
dc.title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63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