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람자의 소통과 참여를 위한 전시공간 연구
현대미술관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연재

Advisor
정영목
Major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경영, 2012. 2. 정영목.
Abstract
현대의 전시공간은 다각도의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운영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한다. 이는 해당 조직의 장기적인 비전(vision)을 표현하고자 하는 사고체계일 것이다. 전시란 어떤 특정 대상을 가시적인 형태로 타자(他者)에게 보여주는 일종의 이벤트다. 주목할 점은 행위의 성격과는 별개로 이를 계획하는 이와 보는 이 간의 전시에 대한 동기와 목적은 분명 다른 양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 이제 전시는 하나의 상품으로서 관람자들의 판단을 기다리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가령 전시품에 대한 연구 혹은 보존이 가장 우선이었던 예전의 상황과는 달리, 이제는 전시에 수동적인 수용 태도를 보였던 관람자들이 그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수 있는 현실에까지 다다른 것이다.

또한 전시공간의 속성 역시 다변화 되어가고 있다. 물론 관람에 대한 통제 요인을 관람자에게 주입하는 본래적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전시물(대상)에 몰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행위자로서의 관람자를 유치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사실 전시와 같이 어떤 특정 주제에 대한 예술적 혹은 문화적 가치를 소개한다는 것은 일련의 설득 과정과도 같다. 그것은 예술 혹은 문화라는 것이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경험 혹은 기억의 소산물이라는 정의를 감안 할 때, 대상에 대한 불특정 다수의 각기 다른 인식 차이를 전시라는 과정을 통해 이해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전시기획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기초한다. 관람자와의 유기적인 교감 과정을 통해 이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사실 기획이라는 것은 일종의 목표를 향한 로드맵(Road Map)과도 같다. 이론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접근법을 단계적으로 필요로 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주지했듯이 전시공간은 찾아오는 이들을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그곳에서 만들어지는 결과물들 역시 운영을 위한 전략적인 측면에서 논의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전시공간 혹은 전시기획에 관한 담론은 이전과는 다른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전시공간, 특히 미술관은 공공성을 기초로 한 확장된 의미로서의 사고체계를 요구한다. 또한 전시 자체의 전문성 역시 예술품의 미적 가치를 보호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는 예술 조직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표라는 점에서 공공성과 함께 동시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이 측면들은 통합적인 관점으로서 운영상의 경쟁력에 관한 문제를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미술관에 특정한 사회적 위상을 부여하게 되었음을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즉, 물리적인 백색의 입방체 공간이 여전히 전시를 구성하는 위력적인 요소로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미술관의 논리는 개인의 다양한 가치관을 존중하는 다원주의적 차원으로서 해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여러 현대미술관의 운영 사례를 다루었다. 이는 두 번째 장에서 제시했던 소통, 전문성, 공공성, 총체적 체험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미술관의 정책으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설명해줄 수 있다. 특히 뉴욕현대미술관,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을 통해 독립적인 문화기관으로서 요구되는 개념들과 역할들이 비록 그 주어진 여건 혹은 방법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동시대적 과제를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그 동시대적 과제는 궁극적으로 관람자의 요구와 기대사항을 최대히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미술관을 문화개발사업의 주체로서 그 영향력을 확장시켰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미술관은 관람자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들과의 사회화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한 예술적 실천(artistic practice)을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전시 기획자는 미술관이 독자적인 문화운영기관으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명확한 정체성, 즉 설립 취지(mission statement) 구축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미술관이 문화예술 자원의 총체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종합적 공간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전시와 관련된 제반 영역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continues to seek operational strategies for fulfilling diversified goals. This represents a kind of thinking mechanism that express specific entity's long-term vision. Exhibition is a type of event which displays to others a certain object in a visible shape or form. It is notable that exhibition planner and spectator manifest distinct patterns of exhibition motives and goals regardles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a single product, exhibition now emerges as an existence awaiting judgment by visitors. Unlike either study or preservation of exhibit previously became a top priority, for instance, visitors can now actively voice opinions over the progress direction of exhibition with a departure from passive acceptance of exhibition.

Specific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also get diversified. Of course, it still retains an intrinsic function which instills control factor of viewing into visitors. But, it now does its utmost to attract visitors as an active actor willing to get immersed in exhibit (object). Indeed, exhibition resembles a series of persuasion because it showcases a particular theme's artistic or cultural value. This is because such process of exhibition should raise awareness of cognitive gaps among unspecified individuals given that art or culture is defined as the by-product of experiences or memories shared by group members.

Exhibition planning is grounded upon such demands of our time. It intends to satisfy cultural needs of visitors through organic sympathy. Planning is similar with a road map toward goals because this sector requires a theoretical but practical approach step by step. As stated above, exhibition space now turns into a multipurpose space for visitors. And specific output from exhibition space deserves to be discussed from the standpoint of operational strategy. Here, discourse of exhibition space or exhibition planning tries to convert the paradigm what is used to be.

Consequently, exhibition space that especially art museum requires some extended perspective based on publicness. Also, exhibition's specialty is also crucial to safeguard aesthetic values of artwork. As a gauge of identity preservation of art organization, it should be also reinforced together with public spirit.

Such aspect addresses operational competitivenes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But, it actually demonstrates that exhibition space is granted with a certain social status. In other words, the logic of exhibition space should be interpreted from a pluralistic angle respecting a wide range of individual senses of value, even though a physical space of 'white cube' still constitutes a formidable element of exhibition.

In this thesis which deals with contemporary art museum has gone through 'edutainment' space. It explains the concepts of "communication, publicness, specialty, total experience" that how they reflects in art museum's policy. Particularly, MoMA, Bilbao Guggenheim, Kanazawa 21st Century Art Museum, National Contemporary Art Museum have identical task that independent cultural organization requires concepts and roles despite their differences of conditions or methods. That identical task is the strategic point which fulfills visitor's needs and expectations.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became the subject of culture development project which broaden their influence.

In this regard, art museum should primarily take into account dialogue practice geared towards facilitating socialization with visitor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Exhibition planner should also seek ways to create a definite identity, namely mission statement, for exhibition space to be reborn as an active art management entit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at art museum as comprehensive behaviors in need of overall converg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Accordingly, an open approach is necessary for diversified inclusion of all the multifaceted researches including exhibi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90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9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