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의 산업연관성과 경기변동 : Chinas Sectoral Linkages and Business Cyc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천국

Advisor
김영식
Major
경제학부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경기변동을 해석함에 있어서 많은 연구들은 경제 전체의 충격에 초점을 두면서, 산업부문으로부터 오는 충격들은 서로 상쇄되어 특정된 산업의 충격은 경제 전체에 대한 영향이 크게 약화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런 주장은 일부 연구자들의 가정한 모형경제를 통해 보여졌다. 하지만 또 다른 일부 연구자들은 다른 분석방법을 통하여 일부 가정과 모형조건을 변형시킴으로써 산업 부문별 충격으로부터 경제 전체의 경기변동의 상당한 부분이 해석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의 산업연관성이 경제의 서로 다른 산업부문을 연결시켜주고 있으며 이로 하여 산업부문간의 동조성, 산업부문과 전반 경제 사이의 동조성이 나타난다는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부문간의 동조성과 경기변동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분석기법과 소규모 개방경제의 일반균형모형으로 중국경제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경제위상이 높아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도 중국경제를 다룬 실물경기변동 관련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원인은 장기적인 거시경제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었다. 특히 장기간에 거친 산업부문별 경제적 요소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 획득의 어려움으로 거의 공백으로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진행된 일본의 아시아국가 생산성비교와 관련된 프로젝트와 Jorgenson의 중국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확장함으로써 산업부문별 경기변동모형에 대한 분석이 가능케 하였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환경에 비추어 현실경제환경과 보다 가까운 폐쇄경제가 아닌 개방경제 모형을 이용하고자 개방경제에 관련된 경제 데이터들도 구축하였다. 중국에서 산업부문별 수출입관련 데이터는 산업분류가 자주 바뀌었고 개별 연도로 분산적으로 발표되었기에 시계열로 보는 산업부문별 대외무역 연구가 매우 적었다. 본 연구는 산업부문별 수출입물량지수, 수출입가격지수 등 데이터를 수집•정리하여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모형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런 산업부문별 장기적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경제를 다부문 실물경기변동모형이라는 틀 속에서 다소나마 그 특징들을 이해하고 산업부문별 충격을 통해 경제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중국의 경우, 산업연관성을 통하여 연결된 경제가 산업부문별 충격을 받을 때 다부문 일반균형모형으로 얼만큼 해석이 될수 있는지, 이런 모형에 의한 설명력이 얼마나 큰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국경제의 산업부문별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부문별 생산, 자본, 노동, 중간재 등 데이터를 기존의 선행연구와 대량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계량경제학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산업부문별 경제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런 자료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 예컨대 분해기법, 상관성분석, 빈도분석 등을 이용하여 산업연관성에 기반한 산업부문들 간의 경제변수들의 동조현상과 경기 전체 변동성 등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런 특징들을 고찰한 기초위에서 중국의 데이터에 알맞은 소규모 개방경제의 다부문 일반균형모형으로 산업부문별 충격의 설명력을 점검해보면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를 중국 실제 경기 변동과 비교하였다. 산업연관성에 기반한 다부문 실물경기변동모형을 이용한 중국경제에 대한 분석은 완성된 연구라고 하기보다도 관련 주제에 대한 시작을 선고하는 최초의 시도이며 앞으로도 부단히 완성하여 나가야 할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sectoral shocks tend to average out, and that the effect of sector-specific disturbances on aggregate fluctuation may dissipate under certain assumptions. In comparison, other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a considerable part of aggregate fluctuation could be explained by sectoral shocks if some conditions are changed. They believe that input-output relationship among the industries links different sectors in an economy, thereby causing industrial co-movement and greater aggregate volatility from sectoral shocks.
This paper focuses on sectoral co-movement and aggregate fluctuation, and analyzes Chinas economy using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and general equilibrium model based on a small, open economy hypothesis.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on Chinas real business cycle has been conducted—given the rising role of China in international economics—has to do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in obtaining macroeconomic data. This paper expanded Chinas macroeconomic data by utilizing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roductivity among Asian Countries and Jorgensons Harvard China Project, through which the Chinese business cycle is analyzed. Furthermore, some data related to the open economy model are collected and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global economic circumstance.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features of Chinese business cycle and the effects of sectoral shocks on aggregate economy, using the long-term time series data in a multi-sector real business cycle model. This paper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multi-sector general economic model fits the Chinese economy. Various methods, such as decomposition approach, corre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re used to investigate sectoral co-movement and aggregate volatility based on sectoral linkages. Through these features, this paper sets up a multi-sector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of small open economy according to Chinas data availability, after which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compared with real data. This research on Chinese multi-sector real business cycle model based on sectoral linkages is an initial attempt to examine the topic; therefore, this is an ongoing subject rather than completed one. As such, further improvements are still expec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198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2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