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조사 :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correlation and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선주-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9-10-12T15:00:16Z-
dc.date.available2019-10-12T15:00:16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69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08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96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19. 8. 장선주.-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raw data from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South Korea, and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ealth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17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from among the general public, persons with disabilities, people with low income, farmers, and fishermen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The variables used for analysi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ttitude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outcome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health satisfaction i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Data,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3.0) for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erms of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mong elderly people, digital access level scored 76.90 points out of 100, competence level scored 12.73 points, application level scored 19.23 points, and overall level scored 28.16 points, showing that the competence level, the application level, and the overall level were very low. The mean score for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as 2.36 (±0.72) points, and health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p<.001),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p<.001), and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ealth satisfaction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 and the outcome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attitude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high scores) significantly affecte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 not onl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that have been previously found as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satisfaction, but also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the motivation and attitude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us, the nursing science needs to be continuously concerned with customized informatization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solve digital divide among elderly people, and the elderly persons themselves nee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use of digital device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with low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s.
-
dc.description.abstract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올바른 건강정보의 탐색과 이해, 활용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제공은 효율성이나 접근성의 측면에서 고령층에게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과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은 실정으로, 노인의 정보격차 심화로 인한 건강관련 서비스 격차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를 파악하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로, 만 65세 이상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건강 만족도에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일반국민,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가운데 만 65세 이상 노인 2,817명을 추출하였으며, 분석에 활용한 변수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설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디지털정보화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태도·성과와 건강 만족도를 이용하였다.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설문조사는 모두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자체 개발한 문항으로 구성되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정보화수준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건강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100점 만점에 접근수준 76.90점, 역량수준 12.73점, 활용수준 19.23점, 종합수준 28.16점으로, 역량수준과 활용수준, 그리고 종합수준이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정보화수준은 나이가 적을수록, 남성고령자가 여성고령자보다,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1인 가구 보다는 2인 이상 다인가구가,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는 4점 만점에 전체 평균 2.36 (±0.72)점 이었으며, 건강 만족도는 사회적 지지(p<.001)와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p<.001), 그리고 디지털정보화수준의 모든 세부수준(접근수준 p<.001, 역량수준 p<.001, 활용수준 p<.001, 종합수준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p<.001)와 디지털기기 이용 성과(p<.001)에 따른 건강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2,817명을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때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수준)(B=.003, p=.017)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B=.014, p=.001),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가 높은(high) 경우(B=.323, p=<.001)가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adjusted R2=.207, p<.001). 연구대상자 가운데 장애 여부를 확인한 만 65세 이상의 일반국민과 장애인 1,548명의 건강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에서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때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수준)(B=.004, p=.011)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B=.015, p=.007),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태도가 높은(high) 경우(B=.182, p=.037)가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adjusted R2=.250, p<.001).

본 연구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2차 자료 분석 연구로, 이는 국가 차원에서 실시한 전국단위 대규모 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동안 간호학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가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노인의 건강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디지털정보화수준,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에 대한 동기 및 태도 같은 정보화와 관련한 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과 함께 노인 스스로가 자신의 디지털기기 이용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간호학에서도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 및 건강관련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디지털정보화수준이 낮은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을 명확하게 규명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1) 노인 5
2) 사회적 지지 5
3) 디지털정보화수준 5
4)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태도·성과 5
5) 건강 만족도 6

제 2 장 문헌고찰 7
1.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 7
2.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 영향요인 9
3.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11

제 3 장 이론적 기틀 15
1. 이론적 고찰: HLS framework 15
2. 연구의 이론적 기틀 16

제 4 장 연구방법 18
1. 연구 설계 및 분석자료 18
2. 연구 대상 19
3. 연구 도구 21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1
2) 사회적 지지 23
3) 디지털정보화수준 23
4)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태도·성과 24
5) 건강 만족도 25
4. 윤리적 고려 26
5. 자료 분석 방법 26

제 5 장 연구결과 28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8
2.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디지털정보화수준, 디지털기기이용 동기·태도·성과 및 건강 만족도 30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정보화수준차이 33
4.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지지, 디지털정보화수준 및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 태도, 성과와건강 만족도의 관계 38
5. 건강 만족도 영향 요인 44

제 6 장 논의 50
1.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 50
2. 노인의 사회적 지지, 디지털정보화수준, 디지털기기이용 동기·태도·성과와 건강 만족도의 관계 52
3. 노인의 건강 만족도 영향 요인 53

제 7 장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 록 74
부록 1. 생명윤리위원회 심의면제 통보서 74
부록 2.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설문지 75
부록 3.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시자료 송부 이메일 89
부록 4. 디지털정보화수준 측정항목 산출방식 90
Abstract 9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건강 만족도-
dc.subject노인-
dc.subject디지털정보화수준-
dc.subject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dc.subject정보격차-
dc.subject.ddc610.73-
dc.title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조사-
dc.title.alternative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correlation and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uijeong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dc.contributor.major간호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696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696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