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셜미디어에 서술되는 장소 재정의 과정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Process of Redefining Place Described in Social Media : Focused on the Appropriation Case of Apartment Space that Appeared in 'Online-housewarming'
'온라인집들이'에 나타난 아파트 공간의 전용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항만-
dc.contributor.author허은석-
dc.date.accessioned2019-10-18T15:18:13Z-
dc.date.available2019-10-18T15:18:13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7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09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71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19. 8. 조항만.-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sharing the information about private housing and opinions with the public through the social medi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online housewarming' of 'O, House' among social media.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hows the concrete thoughts and usage of residents, including all the space of the residence. This study defined the place as social meaning and role given to physical spa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study on the appropriation case of apartment space in online-housewarming was conducted as a redefining process of the place in the residence. We set up research problems on the assumption that the human 's attitude toward architecture in social media i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media.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 place within the residence, described in the online housewives, is based on the changed concept of place in the convergence media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nline housewives. In a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an individual becomes a subject and redefines the definition of an existing place based 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daily activities. Each element of the narrative of the online-housewarming corresponds to the changed concept of place in the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Secon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definition of the place is over the whole concept of the place, which is 'social meaning and role given to physical space'. The method of redefining can be classified by new programs, customization of rooms, intersecting and integrating. In this point, each redefines the role of the housing,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the physical arrangem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ll elements defining the place are subject to redefinition.
By redefining housing with a new program, it denies social role of existing housing. People can eliminate the public and private hierarchy of housing by attracting public experience and public attention to the inside of the house, can plan a residence with preference to certain objects rather than residents, and can redefine the main function of the residence as production. Through the customization of the room, People denies the meaning of the existing residential space and redefines each space according to its lifestyle. On the other hand, it denies the physical arrangement of the residence and redefines a new place. Deny the definition given in each space and redefine it to fit the space of size and shape that you think is appropriate.
Posts containing online-housewarming interact with other users through a variety of ways, including comments, scraps, and sharing. The comments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ader's opinion, information request, advice and author's reply. As a result, only a small advice was found, and most of them were the information requests of the readers and the replies of the authors. In the online-housewarming, the interaction through the comments was confirmed to be one-sided information transfer from the author to the reader.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answers the comments received from the first online-housewarming in the second online-housewarming. As the advice of the comment was few, the influence received from the comment was small. Instead, we were able to identify cases where online-housewarming were influenced by scrapping others posts, and other social media like instagram.
This study utilized information collected and provided voluntarily through the social media. Information provided voluntarily is not organized data, since it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photographs and texts. But, by identifying the tendency of data that seems to be chaotic, we can identify the attitudes of residents on the macroscopic level. Also, because the sample of research is a specific class or group, it can not be said to represent society as a whole.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it reflects the new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ce and human in the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사적 공간인 주거를 타인에게 공개하고 주거에 관한 정보와 의견을 주고받는 현상에 주목했다. 특히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오늘의 집'의 '온라인집들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주거의 모든 공간을 포함하여 주거에 얽힌 거주자의 구체적인 생각과 사용실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장소를 물리적 공간에 부여된 사회적 의미와 역할로 정의하고, 온라인집들이에서 나타나는 아파트 공간의 전용사례를 주거 내 장소의 재정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나타나는 건축을 대하는 인간의 변화한 태도는 융합미디어의 구조적 특성으로부터 기인했을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로, 본 연구는 온라인집들이에서 서술되는 주거 내 장소를 재정의하는 과정이,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변화한 장소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온라인집들이의 서사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융합미디어 환경에서는 개인이 주체가 되어, 일상행위와 관련하여,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장소의 정의를 새롭게 재정의한다. 온라인집들이의 서사구조는 가꾸기 이전의 인식과 경험, 현 주거 환경, 주거공간 가꾸기 과정, 가꾸기 이후의 변화된 인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집들이의 서사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은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변화한 장소 개념과 대응된다.
둘째로, 본 연구는 온라인집들이의 장소 재정의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물리적 공간에 부여된 사회적 의미와 역할이라는 장소 개념의 전반에 걸쳐 재정의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재정의 방식은 새로운 프로그램, 실의 맞춤화, 교차와 통합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때 각각은 주거의 역할, 공간의 의미, 물리적 구성을 재정의하는 것으로 장소를 정의하는 모든 요소가 재정의의 대상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주거를 재정의함으로써 기존의 주거가 가지는 사회적 역할에 해당하는 사적 영역, 생활을 위한 공간, 재생산의 공간 등의 전재를 부정한다. 공적 경험과 공적 시선을 주거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주거가 가지는 공적, 사적 위계를 없애거나, 거주자보다 특정 사물들을 우선으로 주거를 구성하거나, 생산활동이 주거의 주된 기능으로 이루어지도록 재정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의 맞춤화를 통해 기존의 주거 내 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부정하고 각 공간을 자신의 생활방식에 맞춰 재정의 하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주거 내 물리적 구성을 부정하고 새롭게 공간을 구성하기도 한다. 각 공간에 주어진 정의를 부정하고 자신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크기와 형태의 공간에 맞게 재정의한다.
온라인집들이의 장소 재정의 서사가 담긴 게시물은 댓글, 스크랩, 공유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한다. 이때 주거는 신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개인적 지식의 형태로 정보를 공유한다. 댓글은 그 내용에 따라 독자의 감상, 정보요구, 조언과 저자의 답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조언은 극히 일부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이 독자의 정보요구와 저자의 답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집들이에서 댓글을 통한 상호작용은 저자에서 독자로의 일방적인 정보의 전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저자는 이후 온라인집들이에서 이전 온라인집들이에서 받은 댓글에 대한 답변을 온라인집들이 본문을 통해 하기는 했지만, 댓글의 조언이 적은 만큼 댓글로부터 받은 영향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다른 사용자의 온라인집들이를 스크랩하고 이에 영향을 받아 온라인집들이를 작성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스타그램과 같은 타 소셜미디어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언급한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소셜미디어를 통해 주거를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제공,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였다. 자발적으로 제공된 정보는 다양한 형태의 사진, 텍스트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정형화된 데이터는 아니다. 하지만 무질서해보이는 데이터를 관통하는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거시적인 차원에서 주거를 대하는 거주자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구의 표본이 특정 계층 혹은 집단이기 때문에 사회 전체를 대변 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주거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경향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흐름 8

제 2장. 이론적 배경 9
2.1.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변화한 인간의 사회적 특성 9
2.1.1. 융합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9
2.1.2. 융합미디어에 의한 장소성의 해체와 재구성 17
2.1.3. 융합미디어를 통한 개인적 지식의 형성 19
2.2. 일상의 공간으로써 주거와 주거 내 장소성 21
2.2.1. 일상의 공간으로써 주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 선행연구 21
2.2.3. 아파트에서의 축소된 일상과 일반화된 장소성 25

제 3장. 연구의 절차 28
3.1. 연구 문제 28
3.2. 연구의 대상과 범위 32
3.3. 연구 방법 36

제 4장. 온라인집들이 장소 재정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한 장소 개념 41
4.1. 온라인집들이 본문의 서사구성요소 분석 40
4.1.1. 가꾸기 이전의 인식 41
4.1.2. 현 주거 환경 44
4.1.3. 주거공간 가꾸기 과정 47
4.2. 온라인집들이 서사구성요소 간의 관계 분석 53
4.3. 소결 57


제 5장. 온라인집들이 장소 재정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재정의 방식과 범위 64
5.1. 주거의 역할을 재정의 : 새로운 프로그램 64
5.1.1. 공적경험 : 홈카페, 홈바, 홈캠핑, 홈PC방 65
5.1.2. 주객전도 : 갤러리, 전시공간 74
5.1.3. 직주통합 : 작업실, 집무공간 77
5.2. 주거 내 공간의 의미를 재정의 : 실의 맞춤화 79
5.2.1. 침실 79
5.2.2. 거실 83
5.2.3. 식당, 주방 89
5.3. 주거의 물리적 구성을 재정의 : 교차와 통합 93
5.3.1. 방과 거실의 교차 혹은 통합 94
5.3.2. 식당과 거실의 교차 혹은 통합 95
5.4. 소결 100

제 6장. 주거를 통한 개인적 지식의 형성과 공유 104
6.1. 온라인집들이 댓글을 통한 정보의 공유방식 분석 104
6.2. 온라인집들이를 통한 정보의 축적과 개인적 지식의 형성 110
6.3. 소결 116

제 7장. 결론 118

제 8장. 참고문헌 12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셜미디어-
dc.subject융합미디어-
dc.subject아파트-
dc.subject장소-
dc.subject전용-
dc.subject사용실태-
dc.subject.ddc690-
dc.title소셜미디어에 서술되는 장소 재정의 과정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Process of Redefining Place Described in Social Media : Focused on the Appropriation Case of Apartment Space that Appeared in 'Online-housewarmi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온라인집들이'에 나타난 아파트 공간의 전용사례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71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71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