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조직의 구조와 협력 : 서울시 자치구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승현-
dc.contributor.author강재욱-
dc.date.accessioned2019-10-18T16:40:18Z-
dc.date.available2019-10-18T16:40:18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695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2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95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19. 8. 유승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건강증진사업에서 보행활동증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조직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조직 간 협력관계를 네트워크 구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사업운영맥락과 현안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A구 보행증진사업의 이해관계자 17명을 대상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과 개인심층면접조사를 통한 주제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보행증진을 위한 네트워크구조는 시민조직과 공공조직의 조직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협력관계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네트워크 구조에서 시민조직은 재정적 독립을 기반으로 활동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자발적으로 복지분야로 관계를 확장하였다. 이와 반대로 공공조직 내에서 보행증진을 위하여 협력하는 관계는 사업의 필요에 따라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며, 타 분야와의 협력은 구조적인 갈등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협력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전략으로서 A구 보행증진에 관여하고 있는 조직들 간 협력을 구조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보행증진사업에서 구조적으로 나타나는 공공조직과 시민조직의 역할에 맞는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A구 보행증진사업의 주요 현안에 대한 시사점과 구조적인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motion of walking activiti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and to analyz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s based on the network structure. For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for 17 stakeholders in A district of Seou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twork structure for the promotion of urban walking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ivic organiz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influence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he entire network structure, civic organizations voluntarily expanded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hip to the organizations of the welfare field by securing the autonomy of activities based on financial independence. On the contrary, it 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that cooperates for the promotion of walking in the public organizations take place in the short term according to the need. Cooperation with other fields in the public organizations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no more cooperation than necessary due to the structural conflict of public organization and the interests of the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tructurally explained the cooperation among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the promotion of walking in A district of Seoul as a strategy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Beside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major issues of the walking promotion project in A district of Seoul, which was found for the policy proposal to support the role of public organizations and civic organizations in the walking promotion busines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1. 건강한 도시를 위한 보행의 중요성. 5
2. 도시민의 보행증진에 영향을 주는 다분야 요인 7
3. 도시보행증진을 위한 서울시 정책 현황 9
4. 보행연구를 위한 사회네트워크분석 12
제 3 장 연구방법. 16
1. 연구설계 16
2. 연구대상 지역의 특성 . 17
3. 연구 자료의 특성 18
가) 연구참여자의 선정기준 및 모집 . 18
나) 연구조사 진행 절차. 19
4. 연구 자료의 분석 22
가) 사회네트워크분석 22
나) 개인심층면접조사 자료 분석. 25
5.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26
6. 연구 윤리. 26
제 4 장 연구결과. 28
1. Who : A 구의 보행증진관련 조직들의 일반적 특성 . 28
2. What : A 구 보행증진관련 네트워크 구조의 특징 31
3. How : A 구 보행증진사업의 운영맥락탐색 . 47
4. 연구결과 종합 . 61
제 5 장 논의 및 결론 67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 67
2.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 76
3.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 . 77
참고문헌 . 80
Abstract. 8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건강-
dc.subject보행-
dc.subject협력관계-
dc.subject사회네트워크분석-
dc.subject질적연구-
dc.subject.ddc614-
dc.title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조직의 구조와 협력 : 서울시 자치구 사례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695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695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