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social engagement)와 우울감과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홍수
- Issue Date
- 2019-08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19. 8. 김홍수.
- Abstract
- 2008년 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장기요양시설 이용자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우울을 비롯한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년기 사회활동은 노년기의 정신건강의 중요한 관련 요인 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고 국외에서는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는 한편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의 관계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장기요양시설 10곳에서 선정한 장기요양시설 시설 등급 인정자의 자료를 수집한 과학적 포괄기능평가에 기반한 고위험군 시니어를 위한 웰니스·건강 지원서비스모델 개발(김홍수 외, 2016)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평가도구로는 interRAI 장기요양시설 평가도구(interRAI LTCF)를 사용했으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입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특성, 시설특성, 사회활동 참여,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평가는 평가 당시 해당 요양시설에 근무하지 않는 외부평가자가 연구팀으로부터 평가도구에 대한 설명과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입소자들을 직접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측정과 3개월 후 추적 조사를 한 두 측정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자는 65세 미만 또는 의식불명으로 평가가 불가능한 대상자를 제외한 총 47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회활동 참여는 사회활동참여척도(Revised Index of Social Engagement)로 측정하였고 우울은 우울척도점수(Depression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행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인 및 시설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를 선정하여 단변량 분석, 다수준 다변량 회귀분석, Pooled OLS, 그리고 임의효과모형을 실시하여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과의 관계 및 관련 요인들을 횡단적 그리고 종단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사회활동 참여 점수는 평균 1.44±1.52점으로 나타났고 연구 대상자의 36.8%가 우울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참여 관련 요인으로 성별,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간호인력 수준으로 파악되었으며 여성이, 인지기능 손상이 없을수록, 일상생활수행능력 의존도가 낮을수록, 간호인력 수준이 법적 기준에 충족한 시설의 노인일수록 사회활동 참여가 높아질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관련 요인으로는 성별, 통증, 시청력 장애, 간호인력 수준, 요양보호사 인력 수준으로 파악되었으며 여성이, 통증 수준이 심할수록, 시청력 장애가 있을수록, 간호인력 및 요양보호사 인력 수준이 법적 기준에 미달인 시설의 노인일수록 우울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 간의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우울감과 관련된 요인으로 건강상태 관련 변수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의 연구 설계와 비교했을 때 측정 시점 간격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입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횡단적, 종단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통적으로 건강상태 관련 변수와 요양시설의 간호인력 및 요양보호사 인력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입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감은 건강과 같은 개인적인 요인뿐만 아닌 시설 종사자 인력수준과 같은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과의 관계 그리고 관련 요인을 보다 더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사회심리적 웰빙을 개선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써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8, the number of us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as well as the social interest in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has increased rapidly. In particular, social engagement of the older adults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their mental health. Although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ng-term care reside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utside the country, a very limited number of studies has been performed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is study, secondary data from A Model to Support the Health and Wellness of High-risk Seniors Based on Comprehensive Functional Assessments were analyzed. As an evaluation tool, interRAI LTCF, an internationally validated tool for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was utiliz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facility characteristics,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residents were measured. The assessments were directly assessed by the outside evaluators who were not working at the facility at the time of evaluation. The evaluators all had received instructions from the research team on the assessment tools and evaluation methods before they performed the evaluation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wo measurement points at initial measurement and at 3 months follow up.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478 subjec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and conscious. Social engagement was measured by the Revised Index of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on was measured by Depression Rating Sca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ng-term care residents,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variables that reflec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carried out using univariate analysis, multi-level multivariate regression, pooled OLS analysis, and random effect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 score of social engagement was 1.44 ± 1.52 and 36.8% of the subjects showed depressive symptoms.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engagement were gender,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nursing staffing and direct care staffing.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as related to gender, pain, sensory impairments, the level of nursing and direct care staffing. Social engage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related to both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lar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residents long-term care facilities,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ment time interval and that of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carried out in different facilities betwee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is study may have resulted in different outcomes. Factors influencing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examined both cross-sectionally and longitud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consistently shown in health status, the level nursing staffing and direct care staffing. This suggests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influenced not only by personal factors such as health status but also by external factors such as facility characteristics.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e to be used as a basis to improve socio-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long-term care residents by thorough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