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 A Study on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지원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어교육작문교육논증 교육논증적 글쓰기반론반론 고려반론 층위반론 통합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19. 8. 민병곤.
Abstract
본 연구는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그간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자가 논증적 텍스트에 반론 및 반론 대응과 관련한 논증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는 현실태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데에 비해, 학습자의 그러한 논증적 글쓰기 수행 양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기획적인 교수학습 구안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반론 통합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반론 통합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여 준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반론의 개념 및 층위를 제시하였고, 반론 통합의 개념 및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반론 통합을 논제에 대한 찬성 혹은 반대의 입장을 밝히는 논증적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필자 입장의 수용 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반론의 활용과 반론에 대한 대응으로 정의하였으며, 반론 통합의 과정을 반론의 층위를 기준으로 실재 반론 인식, 예상 반론 구성, 텍스트 내 반론 활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의 의의를 논증적 글쓰기 수행에 대한 메타적 인식 촉진과 확증편향 감소를 통한 논증적 텍스트의 수준 제고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의 반론 통합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기존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수행 양상을 유형화하여 분석함으로써 교육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상의 문헌 연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양상에 기반을 둔 교육적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텍스트 중심의 내용 요소 초점화를 설계 원리로 하여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고, 각 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첫째, 실재 반론 인식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으로 논증 과제에 내재한 논쟁성 이해를 위한 논증적 텍스트 탐구와 논증 신념의 반성적 성찰을 위한 자기 점검표 작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예상 반론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으로 다양한 관점의 이해를 위한 상호 관계적 교수학습 모형의 활용과 쟁점 중심의 반론 구성을 위한 찬반 논증 분석표 작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텍스트 내 반론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으로 반론 대응 전략 이해를 위한 직접 교수 모형의 활용과 반론 대응 논증 구성을 위한 구조화된 비계의 작성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 비교 집단, 통제 집단 구성을 통한 준실험 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반론 통합 교수학습을 실시했고, 비교 집단에는 기존의 화법과 작문 교과서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수학습을 실시했으며, 통제 집단에는 교육적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수학습 효과의 검증은 학습자의 반론 통합 수행 양상의 측면과 논증적 글쓰기 결과물의 측면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 반론 통합 수행 양상의 측면에서는 실재 반론 인식, 예상 반론 구성, 텍스트 내 반론 활용에서 교수학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논증적 글쓰기 결과물의 측면에서는 주장 및 근거의 선정, 수사적 상황에 대한 인식, 글의 구조 항목에서 교수학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Even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the issue that students can not effectively deal with the counterargument in argumentative writing, there has been lack of discussion about how to promote the use of counterargument that contributes to promoting acceptability of the authors position in argumentative writ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nd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In chapter Ⅱ,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nd various factors of it. Counterargument integration is defined as the use of counterargument and response on that counterargument which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acceptability of the author's position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that copes with the pros and cons of the argument. In addition, various factors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level of recognizing actual counterargument, constructing expected counterargument, and using counterargument on the text.
In chapter Ⅲ,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how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now in South Korea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argumentative writing data of 59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The writing patterns were analyzed and typ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patterns,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irst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recognizing actual counterargument, exploring argumentative texts for understanding the controversial essence of argumentation and filling in a self-checklist for recognizing argumentative writing metacognitively were suggested. Second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constructing expected counterargument, conducting a small group discussion to understand pros and cons of arguments and making a list of pros and cons of arguments were suggested. Third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using counterargument on the text, using a direct teaching model for learning counterargument responding strategies and using scaffolds for constructing arguments which respond to the counterargument were suggested.
In Chapter Ⅳ,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which is designed in chapter Ⅲ. For this purpose,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hich consists of an experimental group, a comparative group, and a control group (25 student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one-way ANOVA on the students prior argumentative writing level, it was confirmed that each group had the same level.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A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the pre-existing Speaking and Writing textbooks. As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educational instruction give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education,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nfirm argumentative writing level after the educatio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level of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as effectiv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average level of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in each group in order to point out the qualitative aspects of argumentative writ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at the average and superior level of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is need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1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