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홍보영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대석-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9-10-18T16:54:31Z-
dc.date.available2019-10-18T16:54:31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94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3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94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2019. 8. 윤대석.-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the use of online medi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edia and cultur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Korean culture represented in media. However, media has been used for supplementary materials to learn Korean culture rather than core cultural materials. To find diverse ways to utilize media texts for culture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s ways to read media texts considering multimodality and cultural representation in media. It helps readers to focus on elements and messages consisting of media in detail, recogniz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have a critical perspective about cultural messages that are conveyed by the media.
Multimodality, when reading the multimodal texts, which are composed of diverse modes such as text, image, sound, music, etc. It is often mediated by film or websit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online media. As a kind of communication, it creates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by the intentions of its producers. Readers can reproduce the meaning of text while looking for the elements of multimodality, interpreting and criticizing the messages combined with the different modes and meanings. Learners would find cultural contents represented by multimodal media and accomplish advanced read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reading multimodal text with culture themes, depending on multimodality of culture elements in media and the active reading process of learn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video advertisements made by national agencies, which publicizes the Korean culture to audiences abroad. Video advertisements are one of the most typical types of multimodal media, consisting of different types of modes and many techniques during the short replay time. Also, the advertisements represent Korean culture in a front-facing way. Thus, each element retain cultural meanings and learners read about cultural denotation and connotation by focusing on the elements of the multimodal texts.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learners reading about cultural meanings in multimodal text. As visual and audible modes of multimodal texts help learners to understand the contents easily, compared with texts written only in the Korean language, the experiment and design of method aim to foreign students having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regardless of learning period, level of Korean language, and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In the experiment, the readings of subjects include distinguishing visual images, motions, and music, interpreting or criticizing of their signification, intention and appropriacy of representation. The patterns of reading cultural meanings suggest that culture education has independent aspects with language education, and people can extend their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reading about the culture in multimodal media. Therefore, the design is for the pursues of educational debate and comparison between each persons point of view and opinion. Through active expression, participation and intercultural attitude from learners, it expects development of cultural literacy, knowledge, ability, as approaching Korean culture education.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언어,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교육을 고찰하고, 이 중에서도 매체에서 재현된 한국문화를 활용하여 문화 이해 능력과 태도를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문화교육에서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왔던 매체의 복합양식성을 활용하여 문화 읽기 방법을 접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매체를 활용한 문화교육에서 매체의 복합양식성과 학습자의 능동적 읽기를 바탕으로 문화에 대한 의미를 생성하는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의 제재로 국가홍보영상을 설정하고, 국가홍보영상을 복합양식성(multimodality)과 문화의 재현(representation)이라는 두 가지의 특성으로 분석했다. 복합양식은 여러 형태의 양식이 결합되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텍스트 유형이다.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여러 기호들이 결합적으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생성한다. 수용자는 각자가 포착한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 복합양식 요소들이 결합한 문화적 의미를 재구성하고 이에 대한 해석과 비판을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국가홍보영상에 재현된 문화를 발견하는 것을 넘어 문화적 능력과 태도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읽기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화 읽기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국가홍보영상은 광고라는 특성을 지닌다. 광고 영상은 짧은 시간에 이미지, 음악, 자막 등의 양식과 각종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종합적인 장르이다. 이는 여러 요소로 구성된 문화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영상의 각 요소들이 문화를 표상하거나 문화적 의미를 지니게 한다. 국가홍보영상의 구성 요소들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학습자들은 표면적인 층위를 넘어 상세하고 깊이 있는 문화 읽기로 나아갈 수 있다.
국가홍보영상의 복합양식성을 통한 문화 읽기 원리를 살펴보기 위해서 복합양식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는 한편, 국가홍보영상이라는 매체가 재현하는 문화를 읽기 위해 일반 읽기 이론, 매체 이론에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문화 이론과의 접목을 통해 문화를 주제로 한 영상을 구성하는 복합양식 요소에 초점을 맞추는 읽기 원리를 도출했다.
국가홍보영상은 대표성을 지닌 한국문화를 제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집단의 시선을 반영하여 읽을 때 의미의 확장이 일어난다는 전제로 다국적 학습자에게 적절한 수업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복합양식 요소들은 한국어 능력과 관계없이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 기간 및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읽어낸 메시지를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실험은 국적, 한국 거주 기간, 한국어 학습 기간 및 급수, 한국어 학습 방법이 다양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했으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구사 언어를 활용하여 진행했다.
실험에서의 문화 읽기 양상에서 참여자들은 시각적 이미지, 움직임과 청각적 음악 각각을 인식하고 결합하면서 영상의 내용을 인지하고 자신의 감상과 해석을 전개해나갔다. 더 나아가서는 영상에서 한국문화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고 어떠한 반영 방식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견해를 드러내며 해석과 비판적 시선으로 읽기에 접근했다. 이는 영상의 문화 요소, 문화 반영, 문화 간 비교에 대한 해석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영상에 재현된 내용의 사실성 및 적합성에 대한 비판과 재현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지적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는 한국문화교육이 한국어교육에서 언어 기능적 영역과는 독립적인 층위에서 전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실험 양상은 국가홍보영상에 나타난 복합양식 요소 분석을 바탕으로 한 문화 읽기 과정을 통해 문화적 이해와 표현의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학습공동체에서 개인의 읽기의 차원을 공유하고 인식의 다양성을 확보한다면 학습자의 문화적 외연이 넓어지고 한국문화에 대한 해석을 다각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양식을 활용한 문화교육을 설계했다. 서로 다른 문화를 읽어내고 비교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역할과 세계인으로서의 문화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사 검토 4
1) 매체교육 연구 4
2) 매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6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9

Ⅱ. 이론적 배경 14
1. 국가홍보영상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14
1) 복합양식으로서의 국가홍보영상 14
2) 광고로서의 국가홍보영상 17
3) 문화 재현물로서의 국가홍보영상 20
4) 국가홍보영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의의 25
2. 국가홍보영상에서의 문화 읽기 원리 28
1)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30
2) 경험과 연계한 해석 39
3) 문화 재현에 대한 비판 53

Ⅲ. 외국인 학습자의 국가홍보영상 읽기 양상 59
1. 국가홍보영상의 문화적 읽기 양상 59
1)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양상 66
(1) 장면의 구성에 대한 분석 66
(2) 장면의 연속에 대한 분석 72
(3) 청각적 구성에 대한 분석 75
2) 경험과 연계한 해석 양상 78
(1) 문화 요소에 대한 해석 78
(2) 한국문화 재현에 대한 해석 83
(3) 문화 간 비교를 통한 해석 86
3) 문화 재현에 대한 비판 양상 89
(1) 재현된 내용에 대한 비판 90
(2) 재현되지 않은 내용에 대한 비판 98
(3) 재현 형식에 대한 비판 103
2. 국가홍보영상 읽기의 교육적 시사점 104

Ⅳ. 국가홍보영상을 활용한 문화교육 설계 108
1. 국가홍보영상을 활용한 문화 교육의 목표 109
1) 매체로서의 국가홍보영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109
2) 문화 해석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상호문화적 이해 111
2. 문화교육의 내용 및 방법 115
1) 문화 지식의 확장 116
2) 문화적 해석의 정교화 119
(1) 자문화와 한국문화의 비교를 통한 해석 119
(2) 한국문화 인식에 대한 성찰 122
(3) 문화 이미지 읽기를 통한 토론 123
3) 문화 재현에 대한 비판 활동 126
(1) 기능의 과장에 대한 비판 127
(2) 인물의 제시에 대한 고찰 129

Ⅴ. 결론 131


135
14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복합양식성-
dc.subject매체교육-
dc.subject복합양식 리터러시-
dc.subject한국문화교육-
dc.subject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dc.subject영상 광고-
dc.subject국가홍보영상-
dc.subject문화적 재현-
dc.subject.ddc410.7-
dc.title국가홍보영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94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94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