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iquidity Risk Management in EMEs after the Great Recession: Offshore international debt issu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지윤

Advisor
김소영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ffshore bondinternational capital flowsemerging countriesliquidity riskcapital contro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2019. 8. 김소영.
Abstract
For its global shock channeling problem, a steady increase of offshore international debt after the Great Recession in emerging countries has been noticed. This paper insists that after the crisis, the offshore debt is substituted for onshore debt when emerging countries struggle to finance onshore international bonds. In other words, emerging countries exploit offshore debt to manage the level of international liquidity stable. For instance, when global uncertainty grows, global non-oil commodity price decreases, the domestic government fortifies an inflow of international capital or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is unreliable, the offshore debt replaces the onshore debt.
국제적 충격을 국내로 전달하는 문제를 지닌, 국외 채권은 2008년 금융위기 이래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위 논문은 이러한 변화가 금융위기 이후 국외 채권이 기존의 국제 채권이 발행되기 어려워 그 대체재로서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즉, 개발도상국 내에서 국제 유동성의 수준을 외·내부 환경과 독립하여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국외 채권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국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지거나, 국제 비유류 상품 가격이 감소하거나, 개발도상국의 외국 자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그 자본 시장 구조가 취약해지는 경우들이다.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국외 채권의 활용 방도가 달라짐을 보이기 위해, 상호작용 효과를 활용하여 국외채권이 위의 반응들에 어떤 식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보인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40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1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