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필립 글래스(Philip Glass)의 《해변의 아인슈타인》(Einstein on the Beach) 연구 : Aesthetic Research on Einstein on the Beach by Philip Glass
포스트드라마 미학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경희

Advisor
오희숙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필립 글래스오페라《해변의 아인슈타인》미니멀리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19. 8. 오희숙.
Abstract
Einstein on the Beach is the first work of full-scale opera by Philip Glass known as the first generation minimalist musician. This opera was composed with the help of director Robert Wilson and premiered in 1976 at Avignon Festival. This work overwhelmed the audience by the highly characteristic stage management and huge scale spectacles, and is still now appraised as unprecedented and epoch-making opus of music work.
This opera is, however, never sharing the features of traditional operas with the exception of being performed in opera house. Einstein on the Beach is utter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operas in that it has the long performance time of five hours, enumeration of audiovisual images, text with solfege syllables, numbers, meaningless passages, free entrance and free workout of audience, and so on. There is no story in this opera which makes sense, as was expressed "I am not interested in operas which make story with traditional senses of words" by Philip Glass. That granted, how this opera is accepted and understood? What is the peculiarity of this opera which is estimated as exceptional art piece still now? On what modern aesthetic base is this opera laid? I, in the first place, began with these issues and made the aesthetics of this opera my themes of investigation.
In short, the whole summary of my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postdrama aesthetics and regards it as the aesthetic base of this opera. For in postdrama texts no more operate as meaningful constituents. From the Second World War to the 1990s, traditional dramas have gone through serious changes into anti-drama and anti-centricity dramas and were began to be called postdramas. In these new dramas, texts were divested of traditional importance and were replaced with pure music, objects, dances. This means that all ingredients in drama have equal importance. "All propositions are of equal value"(Ludwig Wittgenstein). Existing actions of drama began to disappear and ceremonies, space, voice and picturesque landscapes took their place. Audience, accordingly, begin to concentrate on the aesthetic moments themselves.
I approached via three aesthetic aspects. Firstly, distrust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denial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erceptive method which now are changed into debris-like and multi-faced perception. Secondly, feeling of presence through performance of events. Thirdly, comple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experience of audience. On these bases could I adduce three interpretations on Einstein on the Beach.
Firstly, all languages in this opera are materialized sounds which are meaningless and nonsensical voices giving audience auditory pleasure of musical sonority. Language becomes auditory signs and begins to function as musical sound via rhyme and rhythm. The concrete method of this research is like this; languages in main text of Einstein on the Beach are disintegrated into phonemic units or are repeated several times. Hence not language but voices. In addition they do not suit the situation of stage, which disturb the meaningful construction of story by audience. This also means that the text in this opera loses the role of language. Again all the song texts of this opera which are made as numbers or solfege syllables have no delivered message, which makes the human voice simply 'sounding objects'.
Secondly, images and musics in this opera let the audience feel disintegrated temporality and be conscious of the time of themselves as present lives. This opera makes the audience feel variegated timeline through temporal equipment of repetition and durability, the effect of which maximizes via the contrast between the stage and music. The temporalities of this opera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as follows. The first is circulated temporality. The three visual motives of train, court, field with spaceship appear three times each in this 4 acts 9 scenes opera and these performances make audience feel the endlessly circulated temporality. The second is eternal temporality through musical repetition. Philip Glass is showing differentiated temporality through minimalism music which proceeds endlessly with delicate changes. This gradual change of repetition creates the atmosphere of not proceeding but remaining. This gives the audience feelings of temporality of eternal durability. The last is the present temporality of the performance itself on the present stage. Audience concentrate on the actors' repeated and durable actions and in the end become to experience the same thing with actors and sympathize pathos and feel the present temporality.
Thirdly and lastly. The experience of feeling from the bodily gestures of actors makes audience become aware of the energies from the action and also makes audience be aware of themselves. In other word, all these mean the sense-perception of audience from the actors' breath and rhythm and bodily gestures to be immanent. Included are three categories as follows. The first points are the not-contextual actions. In 'knee play 2', two actresses are balancing themselves with arms sitting 45° angle askew on the chairs. Hence the actresses' gestures have no codified sense except performing the actions themselves. These gestures deviate from the context and are nothing but actions for actions' sake. The second is that the somehow slow motion of actors to make their bodies conspicuous induces the audience attention to their perceptive experience. These slow motions are like magnifying actors bodies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statue-like feeling for them. When the audience see these slow motions, they concentrate on the actors' motions themselves and feel their bodily perception. 2 act 1 scene and 3 act 2 scene are composed of contemporary dances. Velocity, agility, and accuracy are shown through turning, direction changing, jumping. Here the dances have no intrinsic meaning. They just express pure energy and motion of actors and actresses. The audience are immersed in the fleshness from the creators' motion and are delivered the energy from the motion of performance and eventually can feel the spatial experience and realistic presence.
The most fundamental Zeitgeist of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is 'disintegration'. This disintegration means that of intelligence. Sense-perception replaced the intelligence and also in art the manner of expression replaced narration and meaning. Opera Einstein on the Beach never try to construct meaning. Rather it enables audience to have their own Einstein through paratactic and debris-like presentation of so many meaningless images. Philip Glass and Robert Wilson tried to substitute sense experience for intelligence and to create a meaningless but pleasant and abidable world through this remarkable opera.
Einstein on the Beach seeked the world not of representational and of deduced but of contingent and of debris-like. These facts mean that this opera is utterly our life and our world.
《해변의 아인슈타인》(Einstein on the Beach)은 1세대 미니멀리스트 음악가로 알려진 필립 글래스(Philip Glass)가 미니멀리즘 음악으로 오페라라는 대규모 형식에 도전하여 성취해낸 최초의 작품이다. 연출가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과의 공동 작업으로 만들어진 이 오페라는 1976년 아비뇽 페스티벌에서의 초연 당시 개성적인 무대연출과 엄청난 규모의 스펙터클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리고 초연 후 4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파격적, 그리고 예술사의 이정표가 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오페라는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된다는 점 외에는 전통적인 오페라의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지 않는데, 거의 5시간에 달하는 긴 공연 시간, 시청각적 이미지의 나열, 숫자, 솔페이지 음절과 의미 없는 구절로 이루어진 텍스트, 관객의 자유로운 입장과 퇴장 등이다. 게다가 전통적인 단어의 의미로 이야기를 엮어내는 오페라에는 관심이 없다는 작곡가 글래스의 말처럼 이 오페라에는 의미를 만들어가는 스토리가 없다. 그렇다면 이 오페라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해야 할까? 현재에도 파격적인 오페라라는 평가를 받는《해변의 아인슈타인》의 고유성은 무엇일까? 그리고 이는 어떤 현대적 미학관 위에 놓여있는 것일까?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필립 글래스의《해변의 아인슈타인》을 본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해변의 아인슈타인》만의 고유성을 탐구하고자 하는 필자의 연구는 이 오페라의 미학적 근거로 포스트드라마 미학을 토대로 하였다. 왜냐하면 포스트드라마에서의 주된 연구대상이 텍스트가 더 이상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작품이라는 점이 주요 연결점이 되었기 때문이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의 격변으로 인해 텍스트 중심의 연극 관행이 탈-희곡적, 탈-중심화 양상으로 변화한 것을 가리킨다. 텍스트가 기존의 권위를 상실하게 되자 음악, 오브제, 춤 등 부차적인 요소들이 부각되어 극적 요소들이 평등성을 구축하게 되었다. 기존의 극 행동은 제식, 공간과 목소리, 회화적인 풍경 등으로 대체되며 관객은 심미적인 순간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된다. 이러한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대해 필자는 세 가지 미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첫째, 인간의 이성에 대한 불신과 파편적이고 다중적으로 변한 오늘날의 지각방식에 기인한 종합적인 이해의 거부, 둘째, 하나의 사건으로서의 퍼포먼스를 통해 느끼는 감각과 현재성, 셋째, 관객의 심미적 경험으로 완성되는 작품이라는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해변의 아인슈타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첫째,《해변의 아인슈타인》의 모든 언어는 의미가 사라진 물질적인 소리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마치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은 청각적인 즐거움을 준다는 것이다. 여기서 언어는 청각적 기호가 되어 라임이나 리듬을 통하여 음악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해변의 아인슈타인》의 주요 텍스트에서 언어는 음소단위로 해체되거나 특정 구절이 수차례 반복됨으로서 언어라기보다는 하나의 소리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무대의 상황과는 전혀 맞지 않는 내용의 텍스트 또한 관객의 의미형성을 방해하여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게다가 이 오페라의 모든 노래의 가사는 숫자 혹은 솔페이지로 이루어져 텍스트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는 없다. 이때 인간의 목소리는 단지 소리 나는 오브제에 불과하다.
둘째,《해변의 아인슈타인》에서 이미지와 음악은 해체된 시간성을 느끼게 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현재의 삶으로서 자신의 시간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이 오페라는 반복과 지속이라는 시간 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다양한 시간을 느끼게 하며 그 효과는 무대와 음악의 대조를 통해 극대화 된다. 이 오페라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순환하는 시간성이다.《해변의 아인슈타인》의 세 가지 시각적 모티브인 기차, 법정, 우주선이 있는 들판은 4막 9장의 오페라 진행에서 각각 3번씩 반복하여 진행함으로서 끝없이 순환하는 시간성을 느끼게 한다. 그 다음은 음악적 반복을 통한 영원한 시간성이다. 글래스는 반복 속에서 미세한 변화를 보이며 끊임없이 진행하는 미니멀리즘 음악을 통해 차별화된 시간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반복에 의한 점진적인 변화는 진행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제자리에 머무르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느낌은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반복으로 관객으로 하여금 영원히 지속되는 시간성을 느끼게 한다. 마지막은 무대 위에서 보여주는 현재의 시간성이다. 반복지속적인 동작을 하는 배우의 몸짓에서 관객은 반복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되고 관객은 이를 체험하고 공감하며 현실의 현재를 느끼게 된다.
셋째, 몸짓으로 느끼는 경험은 관객으로 하여금 배우의 몸 자체에 몰입 하게하여 몸짓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를 느끼는 자신을 자각하게 한다. 즉, 관객이 배우의 호흡과 리듬, 그리고 몸짓에 더욱 집중하면서 감각적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 세 가지 범주가 이에 해당된다. 첫째, 상황에 맞지 않은 동작을 볼 때이다. 니플레이2에서는 두 여배우가 의자 위에서 45도 각도로 기울여 앉아 손을 좌우로 들고 무게 중심을 잡는 장면이 있다. 여기서 배우의 몸짓은 단지 행위 그 자체의 이행이라는 것 이외의 다른 코드화된 의미를 지니지는 않는다. 이는 동작을 위한 동작이며 전후의 맥락 속에 있지 않다. 하지만 오히려 관객은 그 목적을 알 수 없기에 동작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되고 양손을 들고 무게 중심을 잡으려고 애쓰는 배우의 그 순간의 에너지를 경험하게 된다. 둘째, 자신의 신체를 구체적으로 두드러지게 드러내려는 배우의 매우 느린 움직임도 몸짓을 통한 감각적 느낌으로 관객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러한 동작은 마치 배우들의 신체를 확대경으로 확대시켜 사람이 움직이는 조각상이 된 것 같은 효과를 준다. 이를 바라보는 관객은 배우의 동작 그 자체에 집중하며 감각적인 그의 신체적인 에너지를 느끼게 된다. 셋째, 춤추는 배우의 몸짓에서도 신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제2막 제1장과 제3막 제2장은 현대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돌기, 방향틀기, 점프하기와 같은 단순한 신체 동작을 통해 속도, 민첩성, 정확성에 대한 감각을 보여준다. 여기서 춤은 어떠한 의미를 지시하지 않는 순수한 배우의 몸의 에너지와 행동을 표현하고 있다. 관객은 지금 무대에 있는 그 배우의 몸짓에서 그의 육체성에 몰두하게 되고 거기서 뿜어 나오는 에너지를 그대로 전달 받게 됨으로서 관객은 공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즉물적인 현재성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20세기 후반의 시대정신을 잘 드러내는 요약경구는 해체이다. 이때 해체는 지성의 소멸이라고 볼 수 있다. 지성이 소멸된 자리를 이제 감각이 대체하게 되었고, 예술작품에서도 서사와 의미보다는 작품 그 자체의 표현 양식이 중요해졌다. 오페라《해변의 아인슈타인》은 의미를 구성하려하지 않고, 이미지를 병렬적이고 파편적으로 제시해 다채로운 보고 들을 거리를 만들어 관객 개개인이 경험하고 느낀 자신만의 아인슈타인 이야기를 만들게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로버트 윌슨과 필립 글래스는 이 오페라를 통해 지성을 감각으로 대체시켜, 무의미하지만 한없이 머무르고 싶고 즐길 만한 세계를 만들고자 했다. 더 나아가 재현적이고 연역되는 것보다 우연적이고 파편적인 것의 추구를 보여주는 오페라《해변의 아인슈타인》은 우리 시대의 예술을 잘 구현한 작품이라 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53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