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양지(李良枝) 소설 연구 : A Study on the Novels of Lee Yangj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ean Lin Halbert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양지재일문학아이덴티티혼종성탈식민주의자가번역연애 이야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손유경.
Abstract
이양지는 80년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2-3세 재일한인 작가였다. 그녀의 문학은 한국이란 무엇인가 하는 물음을 끊임없이 던짐으로써 재일과 한국의 상황에 특유한 문학일 뿐만 아니라 아이덴티티라는 매우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는 문학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양지의 소설을 전반적으로, 상호텍스트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소설의 의미를 풀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양지가 모국체험을 통해서 무엇을 얻었을까 하는 물음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론에서 본 논문의 목적과 문제의식을 밝히면서, 한국문학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양지 문학과 같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들은 여러 관점에서 한국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장에서는 이제껏 다루지 못한, 이양지 문학에 나타난 아이덴티티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주제인 연애 이야기를 다뤘다. 여기서 초기 작품의 연애 이야기가 알레고리의 형식을 이룬다고 주장했으며 이에 관해서 후기 작픔의 변환을 살펴봤다. 3장에서는 언어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언어를 민족의 본질로 이해하는 이데올로기가 이양지 문학에서 어떻게 문제화되었는지 설명했다. 「유희」에서 이양지가 보여주듯 세계의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은 언어 장벽 그 자체가 아니라 언어 장벽이라는 것이 언어 이전에 존재했다는 신화에 대한 완고한 믿음이다. 4장에서 「유희」,「나에게 있어서의 母國과 日本」, 그리고 『돌의 소리』에 나타난 아이덴티티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살펴봤다. 여기서 있는 그대로 보기라는 이양지의 표현은 흔히 이해하는 대로 일본성을 받아들이는 이양지의 체념을 뜻한다기보다, 식민지 역사를 극복하고 세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보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양지가 네이션에서 사람으로 시선을 옮기자고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 작품 해석에서 초점을 옮겨 이양지 문학의 언어적 특성을 검토했다. 특히 1 절에서 이양지 문학의 이중언어적 표현 방법을 살펴보면서 그 언어적 특징을 피진어, 크레올어, 코드쉬이칭 등의 개념으로 이해해 보았다. 이 구절의 결론은 이양지는 코드스위칭을 통해서 언어적 간격을 극복하여 일본어로만 표현할 수 없던 모국체험을 서술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 다음에 2절에서 이양지의 한일 번역 방식을 살펴보았다. 자가번역, 동가, 이국화와 자국화 등의 개념을 가져와 이양지의 번역 방식을 범주화해보았다. 그 결과 번역학에서 흔히 가정하는 이분법적인 관계들을 통해서는 이양지의 번역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양지는 동시적으로 이국화하면서 자국화하는, 원본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그의 의미를 왜곡하는 아주 모순되는 평행 번역을 선호함으로써 자아와 타자를 대립시키는 번역론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번역의 과정에서 상실이 발생하지만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이양지는 주로 일본어로 활동했던 재일한인 작가였기 때문에 국문학계에서 잘 연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재일한인 작가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양지의 문학이 보여주는 것처럼 재일한인 문학은 한국문학의 일부이다. 적어도 본 논문이 그 사실을 증명했기를 바란다. 또한 이 논문이 국문학계에서의 이양지에 대한 연구의 본격적인 시작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Lee Yangji (1955-1992) was an influential Zainichi author who wrote during the 1980s. Her novels deal with the themes of identity, nationalism, and colonialism, and are considered some of the most defining works of second and third generation Zainichi authors. This thesis takes a broad look at Lee Yangjis novels, attempting to unpack their meaning through intertextual readings. By describing Lee Yangjis ideas as presented in her novels and documenting the ways in which these ideas changed, this thesis attempts to gain insight into the personal discoveries Lee Yangji made through her sojourn in Korea. Hopefully, this exploration of Lee Yangjis works will lead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not just her novels, but the relationship of Zainichi literature to Korean literature, the complex legacies of Japanese colonialism on Koreans, and the universal quest to find belonging in a world filled with contradictory hybridity.
In the introduction, while also stating the main purpose and goals of this thesis, it was argued that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should reevaluate the boundaries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stated that this thesis takes the unorthodox position that Korean diaspora literature like Lee Yangjis literature can, and should, be categorized as Korean literature. Chapter 2 dealt with love stories as they appear in Lee Yangjis novel, a topic which hitherto had been untouch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but which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progression of Lee Yangjis thought concerning Zainichi identity. This chapter focuses on analyzing the allegorical nature of Lee Yangjis love stories, and how this allegorical nature changed throughout her career. Chapter 3 shifted the focus toward language. In particular, in Section 1, it was shown how Lee Yangji problematized nationalistic ideology that conflates language with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as Lee shows through her novel Yuhui, what prevents people around the world from understanding each other is not a language barrier per say, but rather the stubborn and unfaltering belief that such a barrier exists a priori language, in the fundamental ways different people think. Chapter 4 explores Lee Yangjis unique solutions to her identity crisis, focusing on the works Yuhui, The Sound of Rocks, and the essay What Korea and Japan Mean to Me. Here it was argued that the phrase looking at things as they are meant overcoming colonial histories and looking at the world more objectively, and not, as is commonly argued, that Lee Yangji resigned to accept that she is Japanese and not Korean. Similarly, it is argued that another one of Lee Yangjis solutions was shifting her focus from nations to people. Finally, in chapter 5 the thesis moved from text analysis to an exploration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Lee Yangjis works. In particular, in Section 1, looking at the multilingual elements of Lee Yangjis literature, concepts such as pidgin, creole, and code-switching were employed in an attempt to characterize Lee Yangjis use of language. Then in Section 2, Lee Yangjis Korean to Japanese translations were explored. Employing concepts such as self-translation, equivalence, and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this section attempted to categorize and understand Lee Yangjis translations. It was concluded that Lee Yangjis translation style cannot be easily understood along the lines of traditional distinctions in translation studies, such as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Because Lee Yangji simultaneously domesticated and foreignized the Korean language through her novels, she was able to challenge the premise in translation studies that the self and the other are mutually exclusive entities.
Because Lee Yangji was a Zainichi author who composed mostly in Japanese, her works have been neglected in Korean literary studies. But there is a need to look at her works in a more objective light. As her literature so eloquently shows us, Zainichi literature is indeed a part of Korean literature and should be read as such. It is this fact which the researcher hopes, if anything, this thesis was able to prove. Finally, it is the researchers wish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springboard for future research on Lee Yangji and other Korean diaspora authors by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58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4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