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ublic Service Workers Perceptions on Implementing an Appropriat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Ghana : 가나의 적절한 성과관리 시스템 구현에 대한 공직자의 인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wabena Offei-Addo

Advisor
권일웅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erformance ManagementElectronic Performance Manageme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2019. 8. 권일웅.
Abstract
Performance management is concerned with combin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development with organizational goals in a single system. Directing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towards organizational goals for effectiv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taff performance appraisals is essential.
Since perceptions influence peoples judgement and attitudes towards particular phenomena, it could be expected that workers might hold diverse opinions about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at they would prefer to use or which would be beneficial overall in helping them achieve their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s employees had on manual performance management and electron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Ghana.
Data was collected from 104 employees of the Public/Civil service institution, at all levels including managers and supervisors. A survey questionaire made available online, and was used to interview all respondent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outcome from the study indicated that employees of the public service perceive that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ir institutions is not easy to use, reliable, transparent, not effective and does not measure what needs to be measured in order to help them achieve their objectives. Above all, they believe the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ould remedy these deficiencies. A major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data was collected at
only one point in time with not too robust selection methods. Therefore, the findings may not be described as a reflection of the general perceptions of all other public/ civil service workers in Ghana.
성과관리는 성과평가와 성과개발을 단일 시스템 안에서 조직 목표와 결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직원 성과 평가의 효과적인 측정 및 관리를 위해 직원의 성과를 조직 목표 쪽으로 유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인식은 특정 현상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사용하는데 있어 더 선호하거나 목표달성을 돕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유익한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직원들이 수동 성과 관리 및 전자 성과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가졌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가나에서 효과적인 성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관리자 및 감독을 포함한 모든 직급의 공공기관, 정부기관의 직원 104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응답자를 인터뷰하는데 온라인으로 제공된 설문조사 문항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 기술 통계와 추론적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공공분야 근로자들은 기관 내 성과 관리 시스템을 사용이 어렵고, 믿을 만하며 투명하되 효과적이지는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이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것도 측정을 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전자 성과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이러한 결함을 해결할 것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의 주요 한계는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데이터가 특정 시점에만 수집되었기 때문에 분석 대상의 폭이 넓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가나의 모든 공공기관, 정부기관의 근로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대변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77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8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