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Jop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혁신역량과 혁신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석진-
dc.contributor.author정혜훈-
dc.date.accessioned2019-10-18T19:05:22Z-
dc.date.available2019-10-18T19:05:22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7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76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2019. 8. 엄석진.-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link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and public sector performance and the adjustment effect of innovation elements. In the neoliberal era, various and difficult social phenomena is frequent. The public sector is also facing a growing need to achieve its goal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rough systematic performance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role of civil servants, which direc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has become very important. There have also been theoretical discussions on various ways in which civil servants are motivated to do their jobs well. Public sector innovations to flexib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s are also continuously discussed.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subject to various but common innovations, such as innovation in systems, innovation in procedures, innovation in services, and so on, public servants are the main actors of innovation, and the effort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required.
As a result,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ttraction to policy making,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which are subcompone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were also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performance, respectively. This was also demonstrated in quantitative studies, and in qualitative studies. Innovation has shown positive control over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performanc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coordination was found in the effects on task performance.
Although the control effect on innovation does not appear in the performance of the task, the effect of the innovation itself i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n the performance is significant. Therefore, we could see that there should be a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that encourages innovation. In addition, management of intangible factors such as public servants's interest in the public, self-sacrifice, policy favoritism and immersion should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style.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공공봉사동기(PSM)와 공공부문의 성과의 연계성과 혁신 요소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다양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현상이 나타나며 공공부문도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해야하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의 성과 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무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해졌으며, 더불어 공무원이 일을 잘 하기 위해서 공무원의 업무 동기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또한 급격히 변화하는 외부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공공부문의 혁신도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공공분야의 혁신은 제도의 혁신, 절차의 혁신, 서비스의 혁신 등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혁신의 주체는 공무원이고, 조직구성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렇듯 공공분야의 성과창출에는 공무원의 동기와 함께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무원의 내제적 동기 이론 중 하나인 공공봉사동기(PSM)와 혁신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는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봉사동기(PMS)는 공무원의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고 이론적으로 정립되어 있다. 또한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논의도 있어왔다. 대표적으로 리더쉽, 조직문화 등의 변수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공공봉사동기가 혁신적인 문화나 혁신 역량이 높은 사람에게는 더욱 긍정적으로 직무성과에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은 아직 뚜렷이 증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혁신의 긍정적인 조절 효과에 대해서 증명하려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3,287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더불어 기상청이라는 중앙부처에서 직급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양적 연구를 실제 업무 현장에서 증명하려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봉사동기(PSM)는 직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봉사동기(PSM)의 세부항목인 공익몰입, 동정, 자기희생은 직무수행력에, 정책호감도, 공익몰입, 자기희생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적 연구에서도 증명되었고, 질적 연구에서 인터뷰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응답하였다. 공공분야 업무의 특성상 국민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정책에 대한 호감도 등은 필연적으로 직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혁신의 조절효과는 직무 성과 중 직무수행력과 성과에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혁신 자체가 직무 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줬으며, 특히 양적 분석 결과 혁신의 회귀계수가 공공봉사동기(PSM)의 회귀계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혁신 자체가 성과에 기여하는 부분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혁신은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조직혁신문화가 직무수행력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수행력은 개인의 내제된 특성으로 외부의 조절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공공봉사동기(PSM)가 미치는 영향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결과가 나오지만, 성과는 리더쉽, 조직문화, 개인의 역량, 공공봉사동기(PSM)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 요소로 혁신의 조절효과에 반응하는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보았다.
혁신문화에 대한 조절효과가 직무수행력에서 나타나지 않더라도, 혁신 자체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성과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는 것으로 보아 공공분야에서도 혁신을 독려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에서 인터뷰 대상자 중 한명은 혁신이 갖고 있는 공공분야의 부정적 이미지에 대해 언급하였다. 혁신은 현재를 부정하고, 공무원이 변화해야 한다는 이미지가 강하기에 공무원의 마음에 혁신은 피곤하다.라는 인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에서 혁신이 공무원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사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더불어 아직까지 성과급, 승진 등 외재적 인센티브를 강조하는 공무원의 성과관리 방식에서 나아가, 대국민에 대한 관심, 자기 희생, 정책 호감 및 몰입 등 무형적인 요소에 대한 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모두에서 공공봉사동기(PSM) 자체에 대한 중요성도 증명되었기 때문에 국무조정실, 인사혁신처 등 공무원의 성과를 관리하는 부처에서는 무형적이라 보이지 않지만 성과에 직결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5
1. 연구의 대상 5
2. 연구의 범위 6
제 3절 연구의 방법 6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8
제 1 절 이론적 논의 8
1. 공공봉사동기의 정의와 배경 8
2. 공공봉사동기의 의의 10
3. 공공부문의 성과와 성과관리 12
4. 공공부문의 혁신 14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16
1. 공공봉사동기와 성과 16
2. 공공봉사동기, 혁신과 성과 19
3.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와의 관계 22
제 3 장 연구 설계 24
제 1 절 연구의 분석틀 24
1. 연구 모형 24
2. 연구 가설 25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0
1. 활용 데이터 31
2. 종속변수 33
3. 독립변수 34
4. 조절변수 35
5. 통제변수 36
제 3절 분석방법 38
제 4 장 분석 결과 39
제 1 절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게 39
제 2 절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39
제 3 절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 42
제 4 절 주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43
제 5 절 가설의 검증 및 분석 결과 44
1. PSM이 직무수행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44
2. PSM의 하위항목이 직무수행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46
3. 혁신역량과 혁신문화의 조절효과 51
3. 가설의 검증 57
제 6 절 질적 연구를 통한 가설 검증 58
제 7 절 결과의 해석 및 토론 64
제 5 장 결론 68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68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69
참고문헌 7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봉사동기(PSM)-
dc.subject성과-
dc.subject직무수행력-
dc.subject혁신역량-
dc.subject혁신문화-
dc.subject내제적 동기-
dc.subject.ddc350.0001-
dc.title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Jop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G HYEHOON-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혁신역량과 혁신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76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76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