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원수술 환자를 위한 EBP기반 퇴원교육 콘텐츠 개발과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숙-
dc.contributor.author정애리-
dc.date.accessioned2019-10-21T01:34:22Z-
dc.date.available2019-10-21T01:34:22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30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8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0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19. 8. 이인숙.-
dc.description.abstract통원수술 환자들은 당일수술 직후 바로 퇴원하며, 가정에서 의료전문가의 도움 없이 자가간호를 통해 수술 후 회복 과정을 거친다. 퇴원 후 환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겪으며,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기 때문에 자가 관리를 통해 최상의 수술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간호사의 효과적인 퇴원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원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퇴원교육 콘텐츠를 EBP를 기반으로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EBP기반 퇴원교육 콘텐츠(EBP-DECA) 개발을 위해 존스홉킨스 대학의 근거기반실무(JHNEBP)모델의 19단계를 본 연구에 맞게 9단계로 수정하였다. 9단계는 문제의 정의, EBP 질문 개발, 근거 구축, 근거의 질 평가, 근거 요약, 근거의 질 합성, 근거 기반 콘텐츠, 콘텐츠의 적절성 검증, 결과 평가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EBP-DECA의 근거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DB 검색을 통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고, 환자 요구도 조사와 임상전문가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자료 분석 후, 각 문헌에서 통원수술 환자의 퇴원교육 콘텐츠에 적합한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통합적 문헌고찰과 관련 가이드라인의 검색, 전문가와 환자의 요구도 조사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EBP-DECA를 신체적 증상 관리, 정신적 증상 관리, 일상생활, 환경-감염 관리의 4가지 범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EBP-DECA는 전문가 내용 타당도 조사와 AGREE 평가 도구를 통한 질 평가를 거쳤으며, 전문가 내용 타당도는 모든 항목이 80% 이상이었고, AGREE 질 평가에서는 6개 범주 모두에서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발한 EBP-DECA의 평가를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S병원 통원수술실에서 가장 다빈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안과 백내장 수술, 산부인과 자궁내시경과 원추절제술, 외과 유방양성종양절제술을 받은 통원수술환자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불안, 지식, 만족도, 병원재방문율, 수술부위감염률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EBP-DECA를 적용받은 실험군은 이전 퇴원교육을 진행한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불안이 낮고(t=1.894, p=.030), 만족도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으며(t=-10.212, p=.002), 30일간의 병원 재방문율과 수술 부위 감염 발생률은 낮았으나, 자가간호 지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료의 효용성과 이용의 편의가 중시되며, 병원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통원수술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EBP-DECA를 통해 통원수술환자들은 퇴원 후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인 증상 관리, 정신적인 증상 관리, 일상생활, 환경 관리가 이루어질 것이고, 임상 실무 현장과 환자의 자가간호 사이의 격차를 줄여 회복의 질을 향상될 것이다.
최상의 근거를 기반으로 한 퇴원교육 콘텐츠의 개발은 임상 실무와 학계 사이의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며, 향후 통원 환자들이 퇴원 후 이용 가능한 지역사회의 맞춤형 포괄적 간호서비스 제도를 마련하도록 국가적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dc.description.abstractAmbulatory surgery patients are discharg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on that day and recovery occuring at home with little access to professional support. The patients can experience physical, mental symptoms and are confronted with difficult situations in daily life during home recovery. Therefore, discharge education of nurses is most important for self-management to reach the best results of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scharge education cont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
In order to develop EBP-based discharge education contents (EBP-DECA) of this study, 19 stages of JHNEBP model were modified to 9 stag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ages consisted of the define the problem, development and refine the EBP question, conduct internal and external search for evidence, appraise the level and quality of each piece of evidence, summarize the individual evidence, synthesize overall strength and quality of evidence, develop EBP-DECA for change based on evidence synthesis, determine feasibility of EBP-DECA and evaluate outcomes.
We followed integrated review of literature searched for studies all databases based on PICO and conducted a survey of patient needs and a survey of clinical expert needs for evidence.
After analyzing and synthesizing data, we were extracted the appropriate contents from each literature for discharge education contents of hospital patients. The EBP-DECA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physical symptoms management, mental symptoms management, daily life management and environment-infection control.
The EBP-DECA was evaluated expert verification and the AGREE evaluation tool. The results was over 80% for all items in expert contents validity and over 70% in the AGREE quality evalu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EBP-DEC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scharge contents on postoperative anxiety, knowledge, satisfaction, hospital return visits and surgical site infection. We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hysteroscopy and conization and breast excision surgery in the 'S' hospital ambulatory surgery center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n=30) was given EBP-DECA and the control group (n=30) was given current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anxiety (t=1.894, p=.030), satisfaction (t=-10.212, p=.002), hospital return visits and surgical site infection. But this find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knowledge.
The volume and diversity of day surgery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order to healthcare cost and patient preference for minimal stay. The EBP-DECA will provide information about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management, daily lif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at can occur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he gap between clinical professional and patient self-care in the quality of the recovery will reduce.
Thi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the evidence-based patient education for other similar areas in the future and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between the clinical practice and academia.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o prepare the comprehensive national policy nursing service system on the community for discharge patients following surger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 절 연구 목적 4
제 3 절 용어의 정의 4

제 2 장 문헌고찰 7
제 1 절 통원수술 환자 간호 7
제 2 절 통원수술 환자의 퇴원교육 16
제 3 절 근거기반실무 (Evidence-based Practice) 18

제 3 장 이론적 기틀 23
제 1 절 연구의 개념틀 23
제 2 절 연구의 가설 26

제 4 장 연구방법 27
제 1 절 EBP-DECA 개발 27
제 2 절 EBP-DECA 효과 평가 37

제 5 장 연구결과 41
제 1 절 EBP-DECA 개발 결과 41
제 2 절 EBP-DECA 효과 평가 결과 56

제 6 장 논의 62
제 1 절 논의 62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72
제 3 절 간호학적 의의 73

제 7 장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6

부록 95

Abstract 15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통원수술-
dc.subjectEBP-
dc.subject퇴원교육-
dc.subject근거기반-
dc.subject회복-
dc.subject통합적 문헌고찰-
dc.subject콘텐츠 개발-
dc.subject.ddc610.73-
dc.title통원수술 환자를 위한 EBP기반 퇴원교육 콘텐츠 개발과 평가-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간호대학 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30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30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