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행사와 분쟁해결 : Exercise of Rights of Coastal Stat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Dispute Settleme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인섭-
dc.contributor.author김민철-
dc.date.accessioned2019-10-21T02:54:42Z-
dc.date.available2019-10-21T02:54:42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26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1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6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법과대학 법학과,2019. 8. 정인섭.-
dc.description.abstract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의무는 일국의 EEZ와 대륙붕에서의 그것과는 다른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의 핵심은 권원중첩관계에 있는 대향․인접국 간 권리행사의 제한으로 요약된다. 특히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권리의무 관계의 특수성은 동 수역의 이용을 둘러싼 연안국 간 분쟁의 관리와 해결에 있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글에서는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권리의 제한성이 규범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나아가 유엔해양법협약상 강제분쟁해결절차의 적용국면에서 이러한 특수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의 제한성은 권리 자체의 내재적 한계와 별도의 규범을 통한 의무 부과를 통해 구현된다.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는 권원중첩관계의 대향․인접국 상호 간 배타성이 결여된 제한적 속성을 갖는다. 이러한 배타성의 결여로 인해 경계획정 이전의 권리침해 금지는 권원중첩관계에 있는 타국에 대해 법적의무로 요구될 수 없다. 이러한 내재적 한계의 존재를 실증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기존 판례들에 나타난 경계획정 이전의 주권적 권리 침해 문제에 관한 법리를 살펴보고, 경계미획정 상태의 권리에 내재된 배타성의 한계에 대해 규범적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행사에는 별도의 제한규범이 존재한다. 이는 권리 자체의 내재적 한계와 달리 권원중첩상태에서 연안국에 부과되는 별도의 의무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에 이러한 제한규범의 대표격인 신의성실한 협력과 자제 의무(제74조 3항·제83조 3항)의 해석론과 동 의무 위반 판단기준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적절한 고려 의무(제56조 2항·제58조 3항)에 대해서는 신의성실한 협력과 자제 의무와의 상호보완적 작용 속에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행위규범으로서 그 규범적 역할을 전망해 보았다.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행사에 대한 제한들은 협약상 강제절차의 적용에 있어서도 일정한 작용을 한다. 즉 경계미획정 수역의 이용을 둘러싼 분쟁의 협약상 강제절차 적용에 있어서는 일국의 EEZ와 대륙붕에서의 분쟁과는 다른 쟁점들이 제기된다. 이는 현실적으로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일방적 행위로 인한 분쟁이 협약상 강제절차에서 어떻게 다루어질 수 있는가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을 크게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권리의 제한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협약 제15부 3절의 적용상 문제와 경계미획정 수역을 규율하는 별도 잠정약정 체제의 존재로 인한 협약상 강제절차의 적용상 문제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끝으로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경계미획정 수역의 권리의 제한성과 그로 인한 협약상 강제절차 적용상 문제들이 실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한반도 주변수역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관할권 과 본안판단 단계를 거치는 분쟁의 사법적 해결 과정의 적용국면을 전제로 잠정약정의 존재 영역과 부존재 영역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 글은 경계미획정 수역의 규범적 특수성에 대한 정치한 인식,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일방적 행위로 인한 분쟁에 대한 인식 제고, 해양법 질서 내에서 경계미획정 수역에 적용되는 규범적 질서에 대한 명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경계미획정 수역에 적용되는 각종 규범들과 협약 제15부 규정들의 해석론은 연안국의 해양이용에 있어 조화와 균형의 핵심기제로 작용한다. 경계미획정 수역에 적용되는 규범적 질서의 명확화와 이에 대한 연안국의 인식 제고는 경계미획정 수역의 조화롭고 효율적인 이용․관리, 나아가 분쟁의 완화 및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Coastal states rights and obligation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ir ow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and continental shelf. These differences basically come down to the exercise of limited rights in the areas of overlapping potential entitlement by adjacent or opposite coastal states. However, in the real world coastal states tend to actively demonstrate the exclusiveness of rights toward other states in an attempt to enlarge the coastal states maritime jurisdiction even in the undelimited maritime areas. This tendency leads to continuous scuffles among coastal states while utilizing undelimited maritime areas.
In particular, greater focus should be placed on how coastal states percei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aritime disputes arising from not having maritime delimitation in light of managing and solving disputes in respect of using overlapping waters among coastal states. With the awareness of this issue, this thesis explores how the limitation of the exercise of rights normatively operat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how this particular feature is being shown in the face of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In cases where states rights and obligations are not yet decided, a certain degree of limitations should be put in place for individual states activitie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t a particular phenomenon of the law of the sea to limit states activities in a state of flux of rights and obligations among states. (Chapter 2) That being said, the limited nature of the exercise of rights of coastal stat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can be analyzed in twofold from the normative perspective of UNCLOS framework.
Firstly, a coastal states right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obtain limited characteristics lacking exclusiveness via-a-via adjacent or opposite coastal states with which the state has any overlapping entitlement. This lack of exclusiveness results in the situation that a coastal state has no legal basis in the UNCLOS system to request not to violate her rights as a normative obligation before delimitation occurs towards adjacent and opposite states on overlapping entitlement. It can be understood as an intrinsic limitation of rights of a coastal state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In order to prove this intrinsic limit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jurisprudence on the violation of sovereign rights before maritime delimitation through the case study and further normatively examines the restrictive exclusiveness embedded in coastal states right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Chapter 3)
Secondly, there is another normative restriction on the exercise of rights of a coastal state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In contrast with the intrinsic limitation of rights, such normative restrictions are distinct obligations applying to coastal states under overlapping entitlement: the obligation to cooperate and exercise self-restraint (the obligation to make every effort to enter into provisional arrangements and not to jeopardize or hamper the reaching of final agreement). This thesis critically analyzes the problematic standard of judgment of the violation of obligations by examining jurisprudence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Articles 74.3 and 83.3 of UNCLOS. Also, this thesis forecasts the role of the obligation of due regard in Articles 56.2 and 58.3 as the restricting norm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while the obligation to cooperate and exercise self-restraint being played in mutual complementary. (Chapter 4)
Due to the limited feature of rights in undelimited areas, unilateral activities by coastal states on such overlapping entitlement can not constitute the breach of other coastal states sovereign rights or jurisdiction. Therefore, disputes over the utilization of undelimited maritime areas close in on deciding possible violation of obligations above. This particular feature brings about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over the application of Section 2 of UNCLOS Part XV to disputes arising from the unilateral exercise of rights of a coastal state in disputed areas. The first question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Section 3 of Part XV, relating to the intrinsic limitation of right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the existence of restricting obligations.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s two issues: (I) the applicability of Section 2 of Part XV to the disputes concerning marine scientific research or fisheri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which can be excluded from compulsory jurisdiction in respect of coastal states own EEZ or continental shelf in accordance with Articles 297.2(a) and 3(a), (II) the applicability of Section 2 of Part XV to the disput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74.3 and 83.3 where there is the declaration of optional exceptions to compulsory procedures entailing binding decisions as stipulated in Article 298.1(a). Meanwhile, the second question is the issue with applying UNCLOS compulsory procedures in light of the existence of provisional arrangements as lex speciali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In this respect, this thesis examines (I) the applicability of Section 2 of Part XV to the disput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Articles 74.3 and 83.3 where there are provisional arrangements, and (II) the extent of applicability of Article 281.1, which stipulates the exclusion of any further procedure. (Chapter 5)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the limited feature of right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the applicability of Section 2 of Part XV operate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water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paper studies disputes over both cases where provisional arrangements exist and do not exist with an assumption of the application of Section 2 of Part XV. In the case where provisional arrangements exist, the problems of implementation in bad faith of joint development of the continental shelf, fisheries agreement are reviewed. Meanwhile, in the case where provisional arrangements do not exist, the issues over unilateral actions in the field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continental shelf, marine scientific research are examined. (Chapter 6)
Normative order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will play a key role in harmonizing and balancing the use of the ocean among coastal states. While playing out maritime activities in recognition of this particular feature of norms being applied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coastal states are expected to pay attention to jurisprudence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substantive and procedural rules and regulation thereon. As a result, this research will serve to demonstrate the reality of rights and obligations of coastal stat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normative cognizance of how dispute settlement system of UNCLOS are being appli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1
1. 영토적 유혹의 역사 1
2. 연구의 배경 2
가. 경계미획정에 따른 상시적 갈등의 존재 2
나. 기존 국제판례에 대한 평가 3
3. 연구의 목적 5
제2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
제3절 논문의 구성과 범위 9

제2장 경계미획정 수역의 개념 13
제1절 등장 배경 13
1. 해양관할권의 확대 13
2. 최종 해양경계획정의 어려움 15
가. 명확한 규범의 부존재 15
나. 도서 영유권 및 법적지위 문제 16
다. 규범의 해석․적용상 이견 및 일방적 주장 17
라. 권원주장의 불명확성 18
제2절 개념적 고찰 19
1. 중첩수역 19
2. 권원중첩과 주장중첩 20
가. 양자의 구분 20
나. 주장중첩 21
(1) 경계선에 대한 주장 21
(2) 권원에 대한 주장 23
다. 주장중첩의 개념적 한계 25
3. 권원중첩수역 29
가. 권원의 개념 29
나. 권원중첩과 해양경계획정 30
다. 경계미획정 수역의 개념 구성 31
4. 권리의무의 유동적 상태에서의 행위제한 33

제3장 경계미획정 상태에서 권리의 내재적 한계 36
제1절 제한적 권리 36
1. 주권적 권리와 관할권 36
2. 권원중첩상태의 권리의 성격 38
가. 배타성의 제한 38
나. 권리의 제한성에 대한 규범적 이해 38
(1) 경계획정의 본질 38
(2) entitlement와 title의 구분 40
(3) 대륙붕의 시원성과 권리의 배타성 41
3. 경계획정 이전 권리 개념의 재구성 44
제2절 경계획정 이전 주권적 권리의 침해 가능성 45
1. 국경분쟁에서의 접근법 45
가. 국경분쟁과 해양경계획정분쟁의 유사성 45
나. 관련 판례의 검토 46
(1) 카메룬-나이지리아 사건 (2002) 46
(2) 두 건의 코스타리카-니카라과 사건 (2015/2018) 49
다. 국경분쟁에서 선의의 작용 51
2. 경계미획정 수역에서의 분쟁 사례 54
가. 니카라과-콜롬비아 사건 (2012) 54
나. 가나-코트디부아르 사건 (2017) 57
(1) 재판소의 판단 57
(2) 검 토 61
(가) 잠정조치와의 일관성 62
(나) 경계획정의 창설적 성격 63
(다) 일방주의에 대한 방임 66
3. 평가 및 발전방향 68
가. 법리에 대한 평가 68
나. 선의 판단의 기준론 70
(1) 일반론 70
(2) 권원중첩 여부에 다툼이 있는 수역 73
4. 경계획정 이전 권리에 대한 재인식 75
가. 경계획정 이전 권리의 본질 75
나. EEE와 대륙붕 규범의 적용양상 77

제4장 경계미획정 수역에서 권리행사의 제한규범 80
제1절 신의성실한 협력과 자제 의무 80
1. 일반론 80
가. 의 의 81
나. 성안과정 82
다. 해석론 83
(1) 잠정약정 체결을 위한 노력 의무 83
(2) 최종합의 저해 금지를 위한 노력 의무 87
(3) 관습법원성과 적용범위 90
(가) 관습법원성 90
(나) 적용범위 91
2. 관련 판례의 검토 93
가. 에게해 대륙붕 잠정조치 사건 (1976) 93
나. 가이아나-수리남 사건 (2007) 94
(1) 재판소의 판단 94
(2) 검 토 98
(가) 협력의무의 탄력적 적용 98
(나) 자제의무 위반의 판단기준 99
1) 종합적 판단의 필요성 99
2) 어업 등 여타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 100
다. 가나-코트디브아르 사건 (2017) 103
(1) 재판소의 판단 103
(2) 검 토 105
(가) 협력의무 판단 부분 105
1) 잠정약정 제안 요구의 당부 105
2) 주장에 대한 판단 누락과 실체 판단의 문제 107
(나) 자제의무 판단 부분 109
1) 잠정조치 후 새로운 굴착 부재의 의미 109
2) 청구취지에 대한 형식적 판단 111
(다) 새로운 선례로서의 가치 113
3. 평가 및 발전방향 116
가. 법리에 대한 평가 116
(1) 회복 불가능한 손해와의 관계 116
(2) 중첩 대륙붕에서의 행위규범 119
(3) 행위양태 기준론으로의 변질 120
(4) 기준 자체의 불명확성 122
나. 발전방향 123
(1) 기준론의 명확화‧구체화 123
(2) 협력의무 125
(3) 자제의무 126
(가) 판단요소의 다양화 126
(나) 분야별‧공간적 접근 가능성 127
(다) 권리 요소의 고려 128
제2절 적절한 고려 의무 130
1. 일반론 130
가. 의 의 131
나. 연혁적 고찰 133
(1) 공해협정 제2조의 합리적 고려 133
(2) 제3차 해양법회의와 어업관할권 사건 (1974) 134
다. 적용의 전제조건 137
2. 관련 판례의 검토 138
가. 차고스 군도 사건 (2015) 138
(1) 사건 개요 138
(2) 재판소의 판단 139
(3) 적절한 고려의 조정적 기능 142
나. 남중국해 사건 (2016) 144
(1) 재판소의 판단 144
(2) 상당한 주의 의무로서의 적절한 고려 146
3. 경계미획정 수역에 대한 적용 148
가. 일반적 적용 가능성 148
나. 신의성실한 협력과 자제 의무와의 관계 150
(1) 기원적 측면 150
(2) 규범 간 유사성과 상호보완성 150
(3) 규범 간 관계의 재인식과 해석론의 발전 152

제5장 유엔해양법협약의 분쟁해결절차 적용상 문제 155
제1절 경계미획정 수역과 협약상 분쟁해결절차 155
1. 경계미획정 수역에서의 분쟁 155
가. 권리침해 성립의 제한 155
나. 분쟁해결절차 적용의 현실적 의미 155
다. 쟁점의 정리 156
2. 협약 제15부의 개관 158
가. 도 입 158
나. 주요 내용 159
(1) 임의적 수단에 의한 분쟁해결 (제15부 1절) 159
(2) 구속력 있는 결정을 수반하는 강제절차 (제15부 2절) 160
(3) 강제절차의 적용제한 및 선택적 예외 (제15부 3절) 162
다. 관할권의 확대 가능성 163
제2절 경계미획정 상황으로 인한 해석상 문제 167
1. 주요 쟁점 167
2. 경계미획정 수역에 대한 당연배제 규정의 적용 169
가. 강제절차의 적용제한 169
나. 적용범위에 대한 논란 170
(1) 판례의 태도 171
(가) 포괄적 배제 171
(나) 명시적 배제 171
(2) 검 토 174
(가) 성안과정 174
(나) 차고스 군도 사건 판정의 오류 178
다. 경계미획정 수역에 대한 적용 여부 181
(1) 의 의 181
(2) 관련 판례 182
(가) 경계획정을 전제로 한 사안 182
(나) 남중국해 사건의 판시 183
(3) 검 토 185
(가) 문제의 본질 185
(나) 상세 검토 186
1) 문언‧내용 및 취지 186
2) 권리의 성격 187
3) 규정 간 체계 정합성 188
4) 재량의 축소 경향과 협약의 실효성 188
3. 해양경계획정분쟁에 대한 선택적 배제선언의 효과 190
가. 강제절차의 선택적 예외 190
나. 배제선언의 효과 191
(1) 의 의 191
(2) 기존 논의 192
(가) 가능한 해석론 192
(나) 동티모르-호주 사건의 조정권한 판단 (2016) 195
(3) 검 토 196
(가) 기존 해석론에 대한 평가 196
1) 제74조 및 제83조 추가의 의미 196
2) 초안자들의 의사 확인의 한계 202
(나) 해석론의 제시 203
1) 일반론 203
2) 해양경계획정과의 관련성 205
3) 위치 요소에 대한 평가 207
4) 권원중첩 여부에 다툼이 있는 수역 209
(다) 기타 청구의 구성 방안 212
제3절 잠정약정의 존재 214
1. 주요 쟁점 214
2. 잠정약정의 존재와 신의성실한 협력과 자제 의무 215
가. 관련 논의 215
나. 검 토 216
(1) 잠정약정의 한계 216
(2) 규정의 문언과 취지 217
(3) 변경‧정지의 합의 부재 217
3. 개별 분쟁해결조항에 의한 강제절차 배제 218
가. 관련 규정 218
나. 판례의 태도 219
(1) 남방참다랑어 본안사건 (2000) 219
(2) Mox Plant 잠정조치 사건 (2001) 222
(3) 남중국해 사건의 관할권 판정 (2015) 223
다. 검 토 224
(1) 판례에 대한 평가 224
(2) 그 밖의 절차 배제의 판단 225

제6장 한반도 주변수역에 대한 적용 228
제1절 한반도 주변수역과 분쟁의 사법적 해결 228
1. 의 의 228
2. 한반도 주변수역의 현실 228
가. 경계미획정 수역 228
나. 분야별 갈등양상 229
(1) 대륙붕 탐사·개발 229
(가) 협력 부재로 인한 잠정약정의 동결 229
(나) 일방적 탐사‧개발에 따른 갈등 231
(2) 어 업 233
(가) 잠정약정의 공백 233
(나) 잠정약정의 이행상 문제 235
(다) 잠정약정의 해석‧적용상 불분명 236
(3) 해양과학조사 237
(가) 일방적 조사에 따른 갈등 237
(나) 해양과학조사의 개념과 범주 설정 문제 238
(4) 해양환경보호 240
3. 분쟁의 사법적 해결을 위한 접근법 242
가. 잠정약정 내 분쟁해결절차 242
(1) 일방적 절차 진행 불가 242
(가)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 242
(나) 한일어업협정 244
(2) 그 밖의 절차 배제 문제 245
나. 해양법협약상 강제분쟁해결절차 246
제2절 잠정약정의 존재 영역 249
1. 한일 간 동중국해 대륙붕 문제 249
가. 문제양상 249
나. 관할권 쟁점 251
(1) 청구의 구성 251
(2) 협약상 강제절차의 배제 여부 251
다. 적법성 판단 252
2. 어업 문제 253
가. 문제양상 253
나. 규범의 공백에 따른 일방적 행위 255
(1) 관할권 쟁점 255
(2) 적법성 판단 256
다. 잠정약정의 운용저해 257
(1) 관할권 쟁점 257
(2) 적법성 판단 258
제3절 잠정약정의 부존재 영역 259
1. 대륙붕의 일방적 탐사‧개발 259
가. 문제양상 259
(1) 일반적 양상 259
(2) 중일 간 동중국해 사례 259
나. 관할권 쟁점 262
(1) 당연배제 규정의 적용 문제 262
(2) 배제선언의 문제 262
(가) 일본 학계의 논의 262
(나) 검 토 264
다. 적법성 판단 266
(1) 판례 법리의 적용 266
(2) 다양한 요소의 고려 267
(3) 경계선 주장에 대한 평가 268
2. 일방적 해양과학조사 270
가. 문제양상 270
(1) 일반적 양상 270
(2) 해양과학조사 유사활동과의 구분 272
나. 관할권 쟁점 273
(1) 통상의 쟁점 273
(2) 조사활동의 법적성격에 다툼이 있는 경우 274
(가) 경계획정 수역 274
(나) 경계미획정 수역 276
(다) 2006년 동해 수로측량/해양과학조사 사례 277
다. 적법성 판단 278
(1) 순수한 해양과학조사 279
(가) 부이의 설치‧운용 279
1) 운용해양학과 해양과학조사 279
2) 의무 위반 가능성 281
(나) 해양조사선의 활동 283
1) 수로측량과 해양과학조사 283
2) 의무 위반 가능성 285
3) 법집행 관련 고려사항 288
(2) 응용된 해양과학조사 290
(가) 해양과학기지의 설치·운용 290
1) 시설물의 설치 290
2) 의무 위반 가능성 291
(나) 자원탐사 293
(3) 측량·조사의 일방적 금지 295

제7장 결 론 299

참고문헌 305
Abstract 35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엔해양법협약(UNCLOS)-
dc.subject해양경계획정-
dc.subject경계미획정 수역-
dc.subject권원-
dc.subject권원중첩수역-
dc.subject주장중첩수역-
dc.subject일방적 행위-
dc.subject권리행사-
dc.subject배타적 경제수역(EEZ)-
dc.subject대륙붕-
dc.subject분쟁해결-
dc.subject신의성실-
dc.subject교섭의무-
dc.subject협력의무-
dc.subject자제의무-
dc.subject적절한 고려-
dc.subject주권적 권리-
dc.subject관할권-
dc.subject강제분쟁해결절차-
dc.subject잠정약정-
dc.subject어업-
dc.subject해양과학조사(MSR)-
dc.subject.ddc340-
dc.title경계미획정 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행사와 분쟁해결-
dc.title.alternativeExercise of Rights of Coastal States in Undelimited Maritime Areas and Dispute Settlemen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inchul-
dc.contributor.department법과대학 법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contributor.major국제법-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26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26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