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의 <노르마의 회상>(Réminiscences de Norma, S.394) 작품 분석 및 해석적 고찰 :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Franz Liszts Réminiscences de Norma, S.394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예진

Advisor
서정은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프란츠 리스트오페라패러프레이즈연주 분석노르마의 회상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19. 8. 서정은.
Abstract
This is a dissertation analyzing and thus providing performance interpretation on Réminiscences de Norma, 19th century Romantic composer Franz Liszts (1811-1886) adaption of Vincenzo Bellinis (1801-1835) opera Norma, for solo piano. Inadequate prior in-depth study of the work, especially that from performers point of view, gives this dissertation meaningful significance.
Historical value of Liszts opera paraphrase is discussed in part II and in part III Réminiscences de Norma is analyzed in particular with the basis from the original opera of which the piece is adapted from. Especially by acknowledging compositional techniques of composers that also adapted Norma to their works for solo piano, originality found in Liszts work was studied.
The following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work discovered through such analysis. First, Réminiscences de Norma, takes seven thematic materials from two and a half hour long opera Norma and the materials are arrang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of the opera, making a seventeen-minute piece for piano. Thus, this work, unlike vocal score or piano reduction that transcribes the opera as it is, strongly portrays the characteristic of paraphrasing that requires the composers creativity. In particular, Liszt chose various thematic materials that depict tragic feelings of the operas main character Norma, heightening dramatic integ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ramatic elements and synopsis of the opera and grasp the internal meaning. Second, Liszt arranged the themes from the opera within his personal convention, based on distinctive tonal structure. Also, he links the piece organically in transitions with repeated melody and rhythmic pattern recurring throughout the piece. Third, after comparing with the original opera score, one can see that Liszt kept true to the original opera, even details such as dynamics, articulation, and musical markings, in order to achieve realization of the timbre of the opera on the piano. On the other hand, he also created a work that combines both his devotion to the original work and creativity, defining the piece as one of a kind, by constantly adding creative personal ideas. Therefore, it is of absolut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piec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opera score prior to performing this piece.
Based on such analysis, the author has chosen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cordings of three prominent pianists, Bolet, Brendel, and Hamelin in the fourth part and thus suggesting interpretations. The interpretations were studied based on the relation to the opera, the score of Liszt's Norma arranged for two pianos, S.655, and a document revealing Liszt's own performance practice. Based on this idea, the author proposes interpretations in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author proposes ideas on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piece by looking at the overall tempo and dynamic structure. The author also suggests an approach to give a dimensional performance by studying the original opera narrative, such as orchestral timbre and interpretations on the expression from the lyrics. Lastly, studying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autonomous aspect of being a piece for solo piano would allow performers to achieve realization of the potential of the piano Liszt had intended.
The following dissertation not only provides study of the work and analyzes the performances of the pianists that had made recordings of the piece but also aims to present the author's own interpretation.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dissertation is defined by the independence of as a work adapted for solo piano as well as rethinking its historical values, through the study done by the author. Thorough researc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original opera would be crucial to the performers understanding of the piece. In this era of interpretation, there is not one correct interpretation, but the importance lies in suggesting the authors interpretation as a new alternative that may lead to an ideal performance. Most importantl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pproached from a pianist's point of view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to performers in their performances.
본고는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 –1886)가 벨리니(Vincenzo Bellini, 1801-1835)의 오페라 를 피아노 독주곡으로 편곡한 작품 (Réminiscences de Norma, S.394)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연주 해석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며 특히 연주자적 관점에서 이 곡을 분석한 자료는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연구대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논문의 II장에서 리스트의 오페라 패러프레이즈 작품이 가지고 있는 음악사적 가치에 대해 논한 후, III장에서 을 원작인 오페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특별히 오페라 를 피아노 작품으로 편곡한 당대 음악가들의 작곡기법을 살펴봄으로써 리스트 작품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독창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밝힌 작품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은 공연시간 2시간 30분이었던 오페라 에서 7개의 주제를 선택하고, 오페라의 구조와는 다른 새로운 순서로 배열하여 17분 길이의 피아노곡으로 편곡하였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오페라를 그대로 피아노곡으로 옮긴 보컬 스코어나 리덕션이 아닌, 작곡가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특별하게 요구되는 패러프레이즈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 특별히 리스트는 오페라 여주인공인 노르마의 비극적 감정을 드러내는 주제들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드라마적 통합력을 높였다. 따라서 오페라의 극적 요소와 줄거리를 이해한 후 곡의 내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리스트는 오페라 주제를 독특한 조성 구조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형식 안에서 나열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과구에서 선율의 반복과 곡 전반에 걸친 리듬 패턴의 반복으로 작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셋째, 오페라 총보와 비교·대조한 결과 리스트는 오페라의 음향이 피아노에서 잘 실현될 수 있도록 다이내믹, 아티큘레이션, 지시어 등 매우 세심한 부분까지 오페라 원작에 충실하도록 편곡하였다. 한편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첨가하여 독자적인 피아노곡으로서 의미를 갖게 하는 등 충실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겸비한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연주자가 이 곡을 연주하기에 앞서 오페라 악보와의 관계를 통한 작품의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IV장에서는 세 명의 저명한 피아니스트 볼레, 브렌델, 아믈랭의 연주 음원을 비교·분석하고, 해석을 제안하였다. 연주 해석은 오페라와의 관계를 토대로 한 분석, 리스트가 를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 편곡한 작품 S.655의 악보, 그리고 리스트가 직접 밝힌 연주법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세 가지의 관점에서 연주해석을 제안했는데, 우선 전반적 템포와 다이내믹의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전체적인 연주 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또한 원곡 오페라의 내용, 즉, 오케스트라 음향이나 성악 가사의 표현에 대한 해석을 연구하여 입체적인 연주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이 피아노 독주곡으로서 가지는 자율성을 바탕으로 연주해석을 고찰함으로써 연주자들이 리스트가 의도한 피아노라는 악기의 가능성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작품을 연구하고 이 작품을 녹음한 연주자들의 연주 실제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필자만의 연주 해석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필자가 연구한 내용을 통해 이 피아노 편곡 작품으로 갖는 독자적 의미뿐 아니라 음악사적 가치도 재평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오페라와의 비교·대조를 통한 구체적인 분석은 연주자들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연주가 곧 해석인 시대에 하나의 옳은 연주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자의 연주 해석이 이상적인 연주라는 연주의 지향점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피아니스트의 입장에서의 연주 분석과 해석은 연주자들의 실질적 연주에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25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0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