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확장된 기악음향소재에 의한 작곡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Techniques for Extended Sound Material -Focused on Instrumental Works of Seung Eun Lee-
이승은의 박사학위 작품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정은-
dc.contributor.author이승은-
dc.date.accessioned2019-10-21T03:16:41Z-
dc.date.available2019-10-21T03:16:41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56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2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6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19. 8. 서정은.-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이승은(이하 필자라 한다)의 박사학위 작품에 사용된 확장된 기악음향소재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가 사용하는 기악음향소재의 형성과 활용에 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박사과정 중 작곡한 실내악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작곡원리와 그 음악적 구현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필자의 작품을 구성하는 중요한 음악적 아이디어는 확장된 기악음향소재이다. 이러한 작곡경향은 전통적인 음재료 영역의 확장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이 음향소재는 소재나 기법에 있어 악음(樂音)과 소음(騷音)을 모두 아우르며, 소리재료의 생산방식에 있어 악기의 보편적인 연주행위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들로 구성된다. 즉, 필자는 악기의 일반적인 연주법에서 발생하는 악음으로부터 출발하여, 음색·음고·음량 등의 매개변수에 변화를 일으키는 연주기법을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소음까지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20세기 음악작품의 구성에서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어 왔으며 아울러 필자의 작품에서 핵심적 자리를 차지하는 '음색'을 가장 중심적 매개변수로 취급하고자 함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새로운 음향의 활용방법은 음색조합을 통한 음향형성, 음고차이를 이용한 음향형성, 지속음향의 형성, 음향면의 형성 그리고 음향의 수평·수직적 대비 등 다섯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방법들은 다양한 층위의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인 기법과 비전통적인 기법을 총망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기악음향소재는 물리적, 자연적 현상을 음악적 요소로 변환하는 필자의 작품에 있어 음향의 대비 뿐 아니라 작곡방법적으로도 영향을 끼친다. 작품의 표제들이 주는 인상들을 이미지의 묘사를 전개방식으로 한 《그림자》(2009), 《상(像)I》(2010), 《상(像)II》(2012), 움직임의 묘사를 전개방식으로 한 《류(流)》(2011)와 《나래》(2012)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림자》에서 실체와 그림자, 《상(像)I》, 《상(像)II》에서 물체와 상, 《류(流)》, 《나래》에서 정과 동 등 서로 대비되는 개념들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기악음향소재의 음색적 상호작용을 각 작품 속에 펼쳐놓음으로써 음향의 차이를 만들었다. 각 작품들은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음조직, 다이내믹, 템포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섹션이 나뉘는데, 이에 따라 적용된 음향어휘의 유형이 다르므로 청취에 있어서 음색의 차이와 음향적 특성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필자의 변용방식은 음색·음고·리듬 등 다양한 매개변수의 조정에 기악음향소재를 운용하는 것이다. 이는 작품별 편성에 따라 특징적인 음향그룹을 형성한다. 그리고 개별적인 음향군이 한 성부 또는 여러 성부 안에서 시차를 두고 등장시키는 모방의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다양한 색채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표현의 효과를 높이려 하였다. 하나의 작품 내에서 여러 매개변수를 통한 복합적 변용은 확장된 기악음향소재와 더불어 다채롭고 흥미로운 총체적 음향결과물을 형성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필자는 보고 있다.
기악음향소재에 의한 작곡기법을 다루는 본 연구가 필자 스스로에게 소리재료의 다양성 및 토대를 마련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작곡의 행보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Seung Eun Lee for creating and utilizing new sound material and is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sound material.
The core musical idea of Seung Eun Lee is extended sound material, which includes not only musical sounds but also noise. In creating this sound, the composer creates the sound from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the instruments, not a totally new technique of them.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sound material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mpositional feature of the composer, which utilizes musical sounds and noise-like sounds created by general positioning of the instruments. The composer places great importance on timbre, which functions as a key parameter as the main element of 20th Century musical composition.
The composer focuses on the ways of creating and utilizing new sound. First, to create extended sound, the works of Lee are primarily based on musical sounds. It is formed by applying various playing techniques, which could vary the parameters such as timbre, pitch and volume on traditional musical sounds. Second, the composer applies five techniques, which consists of completing the sound by the kind of tone ornamentation, pitch differences, building up continued sound, and the contrast of sound layers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five techniques effectively use both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ways for various and multi-layered sound.
The sound material exerts an influence on the ways of contrasting sound and the ways of composition, which express physical and natural phenomenon by musical sound. The Shadow (2009), The Figure I (2010) and The Figure II (2012) are the works of the composer describing some images. Other works like Stream (2011) and Narae (2012) describe some movements. All of these works contain the interactions of tone colors, which convey the contrasting movements of musical ideas. For the systematic analysis on the form of these works, this study uses the following factors. Each work is divided into sections based on key factors such as the texture of notes, dynamics and tempo etc. These factors use different vocabulary of sound, which make it easier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timbre and sound of each section in listening.
The technique of transformation the author uses is to operate sound material for instruments in controlling various parameters such as timbre, pitch and rhythm. This makes a characteristic sound group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each work. The author also uses the technique of imitation, which means each sound group imitates one another by interval appearing in a part or several parts. Technique of imitation is used to give multiple colors to the piece and to provide an effective way for expression. The technique of transformation could be used in diverse ways through controlling various parameters, which is useful for creating interesting and valuable results of sound.
A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extended sound material, and to search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ound material for changing and maintaining the flow of sound material more effectively and coherently. Under the circumstances of various attempts in search of a new sound composition, this study could be a meaningful foundation for the composer as a contemporary composer and hopefully one of the useful steps to a creative way of composition for the coming gener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4
II. 새로운 음향의 탐색 7
1. 새로운 음색의 취급: 음색선율 8
2. 본격적인 음향의 탐구: 1950년대 이후 새로운 음향의 시도 10
III. 이승은의 작품에 영향을 준 작곡가들 19
1. 작곡가들 21
1.1. 헬무트 락헨만(Helmut Lachenmann) 21
1.2. 살바토레 샤리노(Salvatore Sciarrino) 26
1.3. 귄터 슈타인케(Günter Steinke) 32
2. 세 명의 작곡가들로부터 받은 영향 35
Ⅳ. 이승은의 작품에 사용되는 기악음향소재의 형성과 활용 39
1. 음색조합을 통한 음향형성 43
2. 음고차이를 이용한 음향형성 75
3. 지속음향의 형성 81
4. 음향면의 형성 87
5. 음향의 수평·수직적 대비 108
Ⅴ. 이승은의 작품에 나타난 기악음향소재에 의한 작곡기법 119
1. 이미지에 대한 음악적 구현 119
1.1. 두 대의 첼로를 위한 《그림자》(2009)의 개요 및 분석····121
1.1.1. 다이내믹의 대칭에 따른 형식구성 121
1.1.2. 기악음향소재의 운용과 세부분석 125
1.2. 4인의 연주자를 위한 《상(像)I》(2010)의 개요 및 분석····130
1.2.1. 연주기법의 조합에 따른 형식구성 130
1.2.2. 기악음향소재의 운용과 세부분석 135
1.3. 현악 3중주를 위한 《상(像)II》(2012)의 개요 및 분석·····148
1.3.1. 음조직의 변화에 따른 형식구성 148
1.3.2. 기악음향소재의 운용과 세부분석 153
2. 움직임(정[靜], 동[動])에 대한 음악적 구현 163
2.1. 6인의 연주자를 위한 《류(流)》(2011)의 개요 및 분석····164
2.1.1. 순환의 음악적 표현에 의한 형식구성 165
2.1.2. 기악음향소재의 운용과 세부분석 170
2.2.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나래》(2012)의 개요 및 분석 183
2.1.1. 비상(飛上)의 음악적 표현에 의한 형식구성 183
2.2.2. 기악음향소재의 운용과 세부분석 187
VI. 결론 192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작품별 변용에 대한 개괄적 분석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확장된 기악음향소재-
dc.subject음색-
dc.subject음향재료(악음-
dc.subject소음)-
dc.subject변용-
dc.subject이승은-
dc.subject.ddc780-
dc.title확장된 기악음향소재에 의한 작곡기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omposition Techniques for Extended Sound Material -Focused on Instrumental Works of Seung Eun Le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ung Eun Lee-
dc.contributor.department음악대학 음악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이승은의 박사학위 작품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작곡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56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56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