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세기 전반 디자인산업협회의 이념과 활동 : Ideas and Activities of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미술공예운동의 유산과 영국적 모더니즘의 시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병직-
dc.contributor.author이하일-
dc.date.accessioned2019-10-21T03:27:15Z-
dc.date.available2019-10-21T03:27:15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43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3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43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2019. 8. 안병직.-
dc.description.abstractThe design reformation in Britain rose to overcome the decline of design quality in daily life after industrialization.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imed to restore craftsmanship, abolish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craft, and revive mediaeval workshop practices. The design reformation accomplished more than the restoration of handcraft tradition led by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British design reform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 Movement and founded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inspired by German industrial design. The Association sought to restore the beauty in daily life 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industrial design while also actively accepting industrialism. Originally, design reformation was a movement initiated by artists in response to Industrialization, un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British Industrial sector. However, in the attempt to improve the design quality of British industrial products, the reformation became closely associated competitiveness aspects.
Hereby,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ideas of the nineteenth century Arts and Crafts Movement influenced British design reformation in the twentieth-century. Previous studies on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often limit its achievement to simply the revival of craftsmanship, and thus emphasize the Movements critiques of industrialism. These studies fail to explain how design reformation ideas both influenced and evolved beyon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nd overlook how the ideas were reflected in the practical philosophy of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It would be highly biased to claim that the Association did not achieve practical results in spite of its ambitious project.
The Associations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unique historical context of British society. This thesis emphasizes the following three main points. First,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inherit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nd actualized Movements ideas. The Association set the core idea of the design reformation Fitness for Purpose as the fundamentals of good industrial design. Second, due to Britains strong conservative attitudes, even the design reformation was not a complete secession from the past, but rather a continuation of traditional heritage. Third, due to the constitutional particularity and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Britain, the state intervention for the design reformation was inevitably slow and gradual.
Until the Second World War, few British designers contributed to the industrial sector and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industrialists hardly exist. Such delay of the development of British industrial design exemplifies the Path Dependence in the field of Institutional Economics, and is one of the adverse effects of the success of early industrialization. Consequently,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sough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design and overcome the institutional rigiditie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design was relatively slow in Britain,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produced propaganda and exerted pressure that finally began to influence government policy by the 1930s. Public discussion of industrial design and modern architecture issues increased, and the government began to accept the Associations requests. The modernism acceptable by the conservative British public during the interwar period differed from the modernism in Europe; rather, it had to be compromised and moderate.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Members were aware of that.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government requested that the Association members participate in the wartime emergency scheme that required the maximum efficiency. In response, the Association successfully utilized the situation as an opportunity to build a strong foundation for modernist industrial design.
-
dc.description.abstract19세기의 디자인 개혁은 산업화 이후 일상에서의 디자인 수준 하락을 막기 위한 노력이었다. 미술공예운동은 수공예 기량의 회복, 미술과 공예의 구분 폐지, 그리고 중세의 작업장 관행의 부활을 시도하였다. 디자인 개혁은 미술공예운동에 의한 수공예 부활에서 그치지 않았다. 미술공예운동의 한계를 절감한 디자인 개혁가들은 독일의 사례를 참고하여 디자인산업협회를 창설하고, 산업주의의 적극적 수용과 산업 디자인의 향상을 통한 일상적 아름다움의 회복을 도모하였다. 당초 디자인 개혁은 산업화에 대응한 미술인들의 운동이었고 영국의 산업 경쟁력 문제와는 관련이 없었다. 하지만 산업 디자인을 취급하고 디자인 향상을 통한 상품의 품질 제고를 지향함으로써 디자인 개혁은 자연히 제조업의 대외 경쟁력이라는 사안과 밀접한 것이 되었다.
본 논문은 19세기 미술공예운동의 이념이 어떻게 계승되었으며 20세기 영국의 디자인 개혁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미술공예운동의 성과를 수공예 복원에 국한하고 산업주의를 향한 비판을 강조한 경향이 있다. 많은 연구들은 미술공예운동 이후 디자인 개혁의 이념이 어떻게 변주되며 계승되고 영향을 남겼는지 설명하지 않았으며, 그 이념이 디자인산업협회의 실천 철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주목하지 않았다. 협회를 야심찬 목표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성과를 올리지 못한 단체로 보는 것은 지나친 편견이다. 협회의 활동은 역사적 경험이 만든 영국 사회의 특수성이라는 맥락에 놓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점을 주목한다. 첫째, 디자인산업협회는 미술공예운동을 계승한 조직이었고 협회의 활동은 운동 이념의 실천이었다. 협회가 우수 디자인의 최우선 조건으로 지정한 합목적성 역시 디자인 개혁의 핵심 이념에서 나온 것이었다. 둘째, 전통주의가 강한 영국에서는 디자인 개혁조차 과거와의 단절이 아닌 전통 유산의 연속이어야 했다. 셋째, 영국의 헌정 특성과 제도적 관행 때문에 디자인 개혁을 위한 국가의 개입은 불가피하게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 2차 세계대전 이전 영국에서 디자이너들이 산업에 기여하지 못했고 미술계와 산업계 사이의 협력과 소통은 부재하였다. 영국의 산업 디자인 발달 지체는 제도주의 경제학이 말하는 경로 의존성의 한 사례이자 영국의 초기 산업화의 성공이 남긴 일종의 부작용이었다. 디자인산업협회의 활동은 결과적으로 산업 디자인의 발전을 추구하고 제도적 경직성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되었다.
영국 산업 디자인의 발달은 대륙에 비해 비록 느린 것이었지만 디자인산업협회의 선전과 압력은 1930년대에 이르러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 디자인과 모더니즘 건축의 쟁점이 공론화되었고 협회의 요구사항들은 정부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했다. 전간기 보수적 취향의 영국인들이 수긍할 만한 모더니즘은 유럽식 모더니즘이 아닌 절충적이고 온건한 모더니즘이었다. 디자인산업협회 회원들은 그 점을 알고 있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협회 회원들은 정부의 요청을 받고 전시 비상 계획에 참여하였고, 효율성의 극대화가 필요한 국면을 모더니즘 디자인을 안착시킬 기회로 활용하여 성공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론 1
제 2장. 미술공예운동과 디자인산업협회 17
1. 미술공예운동의 진전 17
2. 디자인산업협회의 창설 31
(1)창설의 과정 31
(2)조직과 운영 39
3. 디자인 개혁의 사상 46
(1) 미술공예운동의 사상 46
(2) 디자인산업협회의 사상 64
제 3장. 디자인산업협회의 활동 73
1. 디자인산업협회의 국내 활동 73
2. 디자인산업협회의 해외 활동 87
3. 디자인 개혁의 성과 99
4. 도시와 농촌의 미관 개선 121
제 4장. 디자인산업협회와 영국적 모더니즘 143
1. 유럽의 디자인 개혁 143
2. 국제적 모더니즘 154
3. 전시 실용성 계획 175
4. 영국적 모더니즘 183
제 5장. 결론 196
참고문헌 205
Abstract 23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디자인산업협회-
dc.subject미술공예운동-
dc.subject산업디자인-
dc.subject모더니즘-
dc.subject합목적성-
dc.subject경로의존성-
dc.subject.ddc940-
dc.title20세기 전반 디자인산업협회의 이념과 활동-
dc.title.alternativeIdeas and Activities of the Design and Industries Associ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IL LEE-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서양사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미술공예운동의 유산과 영국적 모더니즘의 시도-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43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43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