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로동신문』 현지지도 사진을 통한 북한 경관의 시각 체제 연구 : The Sopic Regime of North Korea Landscapes in Field Guidance Photographs of Rodong Sinmu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진희

Advisor
배정한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한정치적 경관로동신문현지지도시각 체제시선 권력배경막모빌리티김일성김정일김정은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2019. 8. 배정한.
Abstract
이 논문은 북한 노동신문의 현지지도 사진에 구축된 경관을 보는 방식(way of seeing)에 주목한다. 현지지도 사진은 현장에 대한 지도자의 직접 지도라는 북한 고유의 통치 체계가 시각화된 것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생산된 현지지도 사진은 분단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북한의 내부 동향을 들여다볼 수 있는 연속적인 창과도 같다. 현지지도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시각화하는 『로동신문』(이하 노동신문)은 지도자의 존재를 구심점 삼아 현장의 의미를 변환시키는 북한의 사회상을 잘 보여준다. 사진에서 지도자는 현지지도 대상을 응시하거나 이를 배경으로 둠으로써 독자에게 어떤 것에 중점을 두고 봐야 하는지 지시한다. 지도자의 모습과 함께 그가 보고 지시한 것을 시각화하는 현지지도 사진은 북한의 경관을 파악하기에 적절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경제 산업에서부터 민생, 문화에 이르는 넓은 분야에서 이뤄지는 현지지도는 노동신문을 매개로 하여 독자로 하여금 북한 전역에 있는 여러 종류의 경관을 볼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현지지도 사진은 독자에게 특정 경관에 대한 고정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이는 주민의 자유로운 이동이 어려운 북한의 제도적 특성에 의한 것이다. 국제 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북한과 국제 사회의 관계는 단편적이고 불규칙적이었지만,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스스로를 지속적으로 드러냈다. 현지지도 사진은 북한 내부를 통치하는 방식인 동시에 외부와 소통하는 시각적 장치다. 사진 속 지도자가 있는 경관으로 갈 수 없다는 조건은 노동신문 속 경관을 지도자의 권력으로 귀속시킨다.

지도자와 경관을 동시에 볼 수 있는 현지지도 사진은 통치의 목적을 포함한다. 동시에 지도자가 가진 권위만큼의 주목성과 효과를 지닌 북한 고유의 시각 체제(scopic regime)이라 할 수 있다. 시각 체제는 대상을 비추는 방식 또는 대상을 보는 방식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대상 세계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는 세계의 중심이라고 믿게 만드는 시각적 합리화의 방식을 의미한다. 지도자의 이동을 따라 재구성된 노동신문의 현지지도 사진은 경관을 보는 방식을 규정하며, 이 시각 체제는 노동신문의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가 자율적으로 보고 있다고 인식하도록 의도된 시각적 장치를 포함한다.

이 논문은 이 시각적 장치가 현지지도가 이뤄진 경관의 종류, 이에 대한 지도자의 시선과 태도, 그리고 경관에서 강조되는 측면으로 이뤄진다고 본다. 이 시각적 장치는 이들의 합이 만들어낼 수 있는 수만큼의 시각 체제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체제는 김일성 집권 시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 논문은 긴 시간 동안 지속된 경관의 시각 체제를 시각적 장치에 따라 분석하고, 시기별로 시각적 장치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시각 체제의 구성을 통해 북한의 정치적 경관을 해석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집권 시기를 기준으로 한 북한의 정치적 경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김일성 집권 시기의 대표적인 경관은 김정일의 건설 분야 사업에 의해 대형화된 기념비적 경관, 그리고 김일성의 지도 활동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중공업과 교육/보건/보육 부문의 경관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 부문의 경관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김일성 집권 시기에 집중적으로 건설된 기념 조형물과는 별개로, 특정 산업과 시설의 규모를 통해 지도자의 현지지도를 업적으로서 부각시키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다수의 현지지도 사진에서 김정일은 경관을 배경으로 활용하기보다 응시하고 있다. 김정일의 응시 대상 중에서 조감도를 다수 볼 수 있다. 조감도는 대규모의 경관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지지만, 물리적이고 실제적인 경관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지도자의 업적을 상징적으로 부각시키는 경관으로는 부적합하다. 현지지도 사진에서 김정일의 배경이 된 경관은 수목, 하늘, 건축물과 시설 내부의 일부 등이다. 회화, 채색상, 현지지도 사진에서 공통적으로 김정일의 배경은 지도자의 업적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경관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향이 강했다. 그 대신 김일성의 흔적을 보여줄 수 있는 기념비적 경관이 다수 건설되었다.

김정은 집권 시기 이후에는 인터넷이 선전 방식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신문은 컴퓨터 파일로 배포되며, 현지지도 사진은 즉각 전달된다. 또한 북한의 배경막 문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일성은 백두산과 삼지연, 김정일은 거친 파도 그림을 주요 배경막으로 활용했는데, 여기서 배경막에 재현된 경관은 지도자의 업적을 상징했다. 김정은의 업적을 상징하는 배경막이 아직 부재하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김정일의 현지지도와 비교하여 향후 김정은의 배경막이 될 경관과 그 특징을 유추해 보고자 했다.

김정은 집권 시기에 현지지도가 이뤄진 경관은 그 종류에 관계없이 기념비적 경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노동신문과 사진이 거의 실시간적 속도를 띠게 된 시대적 상황, 김정은 집권 시기에 들어 높은 비율을 보이는 대형화된 경관에 대한 현지지도, 그리고 지도자가 현지지도 사진에서 대부분의 경관을 배경으로 촬영한 것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김일성 집권 시기의 경우, 기념 조형물이 다수 건설되는 동시에 지도자의 업적을 강조하는 경관은 특정 산업 및 시설 부문과 연계됨으로써 양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김정일 집권 시기에는 김일성의 기념비적 경관을 답습하는 한편, 자신의 업적을 강조할 수 있는 특정 산업 및 시설 부문의 경관과는 연계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전의 두 지도자들과 대조적으로, 김정은 집권 시기에는 지도자의 이동이 곧 기념비적 경관의 생산으로 직결되었다. 기념 조형물을 만드는 대신, 경제 산업, 생활, 교육, 유희, 상업, 주거 전반의 현지지도에서 대형화된 경관 앞에 섬으로써 경관은 지도자의 업적을 강조하는 동시에 즉각적인 기념비가 되었다.

경관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변화에서 북한의 정치적 경관을 읽어낼 수 있다. 노동신문의 현지지도 사진은 경관이 물리적 속성에서 매체의 성격으로 전환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두 가지 측면의 이동을 통해 가속화되었다. 첫째, 사진 프레임을 중심으로 본 이동 주체의 변화다. 과거 경관이 있는 북한 전역으로 지도자가 이동했던 반면, 특정 지역에 편중된 다층적이고 대형화된 경관에 대한 현지지도는 지도자가 있는 사진 프레임으로 경관이 이동하도록 만들었다. 둘째, 시각 매체를 통해 경관이 이동하는 속도의 증가다. 종이 신문이라는 사물에서 인터넷과 같은 가상공간에 위치하게 된 경관은 현지지도를 통한 통치 체계의 확산 속도를 높인다. 북한의 정치적 경관은 사진 프레임에 고정된 지도자와 그 배경이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구조의 모빌리티라는 특성을 지닌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way of seeing the landscape as embodied by field guidance photographs presented in North Koreas national newspaper, Rodong Sinmun. Field guidance photograph is a visualized result of North Koreas characteristic political system, which involves On-site, in-person guidance by the leader. Due to its long history, field guidance photograph may be compared to a continuous window through which one may examine North Koreas internal situation from the Korean Division to current. Rodong Sinmun describes and visualizes the contents of the field guidance with much elaboration; it depicts the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utilizing the presence of the leader as a pivot to transform the meaning of the site. In the photographs, the leader gazes at the object of the field guidance or place it as the background, directing the audience to accept the hierarchical significance in the overall image. Hence,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which visualize the leader along with the guided object, are appropriat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landscapes of North Korea.

As field guidance takes place in diverse fields, including economy, lives of the subjects, and culture, its presence in Rodong Sinmun allows the audience to witness the various landscapes all over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provide its audience with a stagnant perspective over a specific landscape.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North Korean policies that inhibits free mobilization of its people. International society is not alien to this phenomenon.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was fragmentary and erratic, North Korea continued to state its presence through Rodong Sinmun.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are visual tools that demonstrate a way to govern North Korea internally as well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fact that one is unable to visit in person to the landscape presented with the leader, in turn, attributes the landscape depicted in Rodong Sinmun to the leaders political power.

As both the leader and the landscape is present,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include within its visual character the purpose of governance. At the same time, it can be described as a scopic regime specific to North Korea, which embody the same degree of significance and effect as the authority held by the leader. Scopic regime refers to a process of visual rationalization which, through its way of reflecting or seeing the object, persuades the audience to believe that they are the reigning center of the objectified universe.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of Rodong Sinmun, reconstructed along the leaders trajectory across the nation, stipulate the way of seeing the landscape; the scopic regime includes the visual tools intended to lead the Rodong Sinmun audience to recognize their viewpoint as self-induced.

This dissertation asserts that this scopic regime consists of the types of landscapes subject to field guidance, the gaze and the attitude of the leader towards such landscape, and the elements emphasized in the landscape. Such visual tools are able to produce as many scopic regimes as the sum of the tools. The scopic regime has been implemented since the Kim Il-Sungs reign.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scopic regime throughout the decades according to visual tool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visual tools in each period.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erpret the political landscape of North Korea using the scopic regime construct.

North Koreas political landscape in each period, classified by the reigning years of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Eun,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Landscapes typical of the period under Kim Il-Sung are monumental landscapes whose scales were expanded during construction work under Kim Jong-Il, and the landscapes relating to heavy industry, as well as education, health and childcare―those that symbolize the guidance activities under Kim Il-Sung. One finds in these landscapes an effort to imprint the leaders field guidance as accomplishment through the scales of particular industry and facilities, distinct from a number of commemorative monuments built during this period.

In a number of field guidance photographs, Kim Jong-Il gazes at the landscape rather than appropriating them as backgrounds. Large portion of the objects receiving such gaze are aerial plans. While aerial plans allow the viewer to see the large-scale landscape in a single view, it is an inappropriate way to depict a landscape; it falls short of symbolically emphasizing the leaders accomplishment due to its nature of being far-fetched from the physical and actualized landscape. Landscapes utilized as backgrounds for Kim Jong-Il in his field guidance photographs are trees, sky, buildings and parts of interiors. Backgrounds utilized by Kim Jong-Il in paintings, polychrome sculptural portraits and field guidance photographs shared a common trait, in that they rarely related to specific landscape directly.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monumental landscapes showcasing the traces of Kim Il-Sung were constructed.

Since Kim Jong-Euns rise to the authority, internet is being deployed for propaganda purposes. Newspapers are distributed as computer files, which allows for field guidance photographs to be delivered immediately. Furthermore,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backdrop culture in North Korea. Kim Il-Sung adapted Baekdu Mountain and Samji Lake as main imageries for his backdrops, while Kim Jong-Il used images of rough tides. The types of landscapes represented on the backdrops symbolized the leaders accomplishment. As Kim Jong-Eun lack a backdrop imagery that corresponds to his accomplishment as of yet, this dissertation conjectured the potential landscape that may become Kim Jong-Euns backdrop and its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m to Kim Jong-Ils field guidance.

The landscapes subjected to field guidance during Kim Jong-Euns reign were fortified in terms of their character as monumental landscapes, regardless of the type. Some evidences for such interpretation are: current situation where Rodong Sinmun and its photographs are almost instantaneous, increase in proportion of field guidances to large-scale landscapes since Kim Jong-Euns entrance into the office, and the leaders tendency to take field guidance photographs against the landscape as the background.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a number of commemorative monuments were being constructed while landscape that emphasize the leaders accomplishment were focused on particular industry and facilities. Kim Jong-Il adapted the monumental landscapes of Kim Il-Sung on one hand, while distancing himself from the landscape relating to particular industry and facilities. In contrast to the two previous leaders, Kim Jong-Euns mobility had direct relationship to the production of monumental landscapes. Instead of constructing commemorative monuments, the leader stood in front of the large-scale landscapes that were magnified through the field guidance on economic industry, daily life, education, entertainment, commerce, and residence; in such way, the landscape not only emphasized the leaders legacy but also became a monument immediately.

The political landscape of North Korea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landscape's visual communication.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in Rodong Sinmun display a series of process thorough which the landscape shifts from the physical to the medium. This is propelled by two aspects of mobility. First, by focusing on the picture frame, one finds a shift in the protagonist, or the subject, of the mobilization. In the past, the leader moved to various sites around the landscapes of North Korea; current field guidance that focuses on specific areas with large-scale landscapes of layered contexts has resulted in the landscape moving into the picture frame, to the leader. Second, there is a acceleration in landscape movement through visual medium. As landscape has departed from the paper-based matter into the virtual field of internet, the distribution speed of governance system through the field guidance photographs is accelerated. The political landscape of North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mobility of the construct in which the static leader located within the picture frame is juxtaposed against a constantly shifting backgroun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50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4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