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도 읽기에서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안구운동 차이 : The Differences between Eye Movements of Low and Average Achievers in Visual Search for Map Readi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우리-
dc.contributor.author신미경-
dc.contributor.author유용석-
dc.date.accessioned2020-01-16T03:07:04Z-
dc.date.available2020-01-16T03:07:04Z-
dc.date.issued2018-12-
dc.identifier.citation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4, pp. 1021-1048-
dc.identifier.issn1229-9448-
dc.identifier.other10-00004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30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지도를 활용한 위치 파악 능력과 위치 파악 시 안구운동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 9명과 일반 학생 9명이었다. 두 집단 간 지도를 활용한 위치 파악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하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다양한 유형의 지도와 지도별로 위치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위치 파악 시 집단 간 안구운동에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안구운동 추적 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은 문항에 대해 구두로 답하였다. 분석 결과,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 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학생들은 대부분의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학습부진 학생들은 기준을 바꿔서 제시한 문항에서 오답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 시 안구운동에서도 집단 간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학생들에게 익숙한 지역이나 장소에서 총 고정시간과 고정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 학생들이 학습부진 학생들에 비해 고정시간이 짧고 고정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 장소를 찾기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답을 한 문항들에 대해서는 일반 학생들이 학습부진 학생들에 비해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visual search for map reading between low achievers in social studies and average achievers.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18 four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ine low achievers and nine average achievers.
In order to compare the visual search capabilities for map reading between the two groups, tasks were designed to identify a target location based on instructions and the four cardinal points. During the tasks, the gaz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as recorded using an eye-tracking device, and the students answers were collected verb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isual search skills based on the for cardinal points. The average achievers scored on most of the questions, but low achievers scored low especially for questions involving reference locations. Next, eye-movement pattern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difference was most eminent in total fixation time and fixation frequency for familiar locations. The low achievers showed longer total fixation time and higher fixation frequency than the average achievers did. In addition, the time to first fixation showed that the low achievers identified the target location slower than the average achievers did.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전남대학교 학술연구비(과제번호: 2017-2832)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dc.subject안구운동 추적기법-
dc.subject방위 이용한 위치 파악-
dc.subject시공간 인지력-
dc.subject시각정보처리과정-
dc.subject학습부진-
dc.subjectEye-Tracking-
dc.subjectDirections-
dc.subjectVisuospatial Cognition-
dc.subject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c.subjectLow Achievers-
dc.title지도 읽기에서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안구운동 차이-
dc.title.alternativeThe Differences between Eye Movements of Low and Average Achievers in Visual Search for Map Reading-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金우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愼美鏡-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劉容碩-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Woori-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Mi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o, Yongseok-
dc.identifier.doi10.15753/aje.2018.12.19.4.1021-
dc.citation.journaltitle아시아교육연구-
dc.citation.endpage104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pages1021-1048-
dc.citation.startpage1021-
dc.citation.volume1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