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NS 이용 활성화에 따른 이용자의 상업시설 선택 성향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Changes in Customers' Retail Store Selection Trends following increased Social Media Usage : Focusing on Major F&B Stores in South Korea Metropolitan Cities
광역시 주요 식품접객업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영상-
dc.contributor.author김대환-
dc.date.accessioned2020-05-07T03:26:17Z-
dc.date.available2020-05-07T03:26:1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3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1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2020. 2. 권영상.-
dc.description.abstractThe development of ICT is making a major revolution in the paradigm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and new phenomena are discovered by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distribution through big data.
Following this tren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people's tendency to choose places and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media. To this e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in F&B stores, which is often selected by people on social media, are compared to the distribution tendency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F&B stores.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is set at six metropolitan cities corresponding to the metropolitan level, and the temporal range is based on June 2019, the latest in a period where data can be obtained.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review about urban spatial pattern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of location tendency and spatial analysis using SNS data is conducted. By this review, set up analysis methodology and select variables for analysis. Subsequent, data are collected. Especially, data of major F&B stores and search frequency of each stores are crawled on social media,
Seco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r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lobal location patternand local location pattern of general F&B stores and major F&B stores of social media. Analysis of global location pattern is performed through analysis of Standard Deviation Ellipse and Nearest Neighbor Index, and analysis of local location pattern is performed through Fuzzy Mode and NNHC.
Third, the specific locati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F&B stores and major F&B stores is compared and analyzed. This analysis is conducted by placing rank of store density and search frequency of store in social media as response variables. Description variables are defined as location environment characteristic variables extracted from the preceding study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shows that distribution centrality of F&B stores that are chosen primarily from social medial has a similar aspect to that of general F&B stores. However, there are striking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rientation and distribution cluster.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s are also found to be compared to general F&B stores.
In terms of location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F&B stores, which are chosen primarily from SNS, are compared in many parts with the general F&B stores that follow the general planning principle. In the latter case,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common-sense commercial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commercial areas where traffic accessibility and accessibility to downtown are smooth, and absorbent force and high land price area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characteristic of being located in an area with good accessibility to downtown is similarly shown. However, the remarkable difference is that the location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at it is located regardless of the absorbent force, land price and land use. This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B stores where socai meida influence is strongly exerted.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s, spatially and quantitatively, that people's tendency to choose commercial facilities from social media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traditional) commercial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urban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suggests th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It also confirms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deia such as social media fully reflect the ever-changing urban paradigm, suggesting that follow-up research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
dc.description.abstract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도시계획 및 설계의 패러다임에 큰 변혁을 꾀하고 있고, 빅데이터를 통해 공간구조 및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현상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는 SNS에서 사람들에게 자주 선택되는 주요 식품접객업의 입지 성향을 일반적인 식품접객업의 분포 성향 및 입지 특성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보매체 발달로 인한 사람들의 장소 선택의 경향 및 그로 인한 공간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도시급에 해당하는 한국의 6개 광역시로 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데이터 구득이 가능한 기간 중 가장 최근에 해당하는 2019년 6월을 기준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은 첫째, 도시 공간 패턴 이론 및 입지 성향에 관한 선행연구와 SNS 데이터를 사용해 공간 분석을 실시한 선행연구를 문헌 고찰한다. 이를 통해 분석 방법론을 설정하고 분석을 위한 변수를 선정한다. 이후 변수 선정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며, 특히 각 광역시의 SNS 상 주요 식품접객업 데이터를 크롤링하고 검색빈도 변수를 가공한다.
둘째, 각 광역시 별로 일반적인 식품접객업과 SNS의 주요 식품접객업의 전역적․국지적인 입지 패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간 분포 성향을 파악한다. 전역적 입지 패턴 분석은 표준편차 타원체(Standard Deviational Ellipse)분석과 최근린지수(Nearest Neighbor index) 분석을 통해서, 국지적 입지 패턴 분석은 퍼지모드(Fuzzy Mode)와 최근린계층군집(NNHC)을 통해 실시한다.
셋째, 일반 식품접객업과 SNS 주요 식품접객업의 구체적인 입지 환경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점포 밀집도와 SNS 검색빈도를 각각 반응 변수로 두고, 선행 연구 및 공간 분포 패턴 분석 결과를 통해 변별한 입지 환경 특성 설명 변수들과의 관계를 상관 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한다. 상관 분석의 경우 공간 분포 패턴 분석에서 일반 식품접객업과 SNS 주요 식품접객업의 입지 성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공간 분포 성향 분석 결과, SNS에서 주로 선택되는 식품접객업의 광역적인 분포 중심성은 일반적인 식품접객업의 경우와 비슷한 양상을 갖지만, 분포 방향성 및 분포 군집성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국지적인 측면에서 군집의 특성 역시 일반적인 식품접객업과 비교되는 점들이 파악된다.
입지 환경 특성에 있어서도 SNS에서 주로 선택되는 식품접객업은 일반적인 계획원리에 따라 입지한 식품접객업과 여러 부문에서 비교된다. 후자의 경우 교통 접근성 및 도심과의 접근성이 원활하고, 흡인력이 좋고 공시지가가 높은 상업지역에 입지한다는 상식적인 상업시설의 입지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도심과의 접근성은 원활하되, 대중교통 접근성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입지 특성이 나타난다. 더욱이 흡인력․공시지가․용도지역과 무관하게 입지한다는 특성은 특히 주목할만한 점이다. 이러한 특성은 SNS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식품접객업의 입지 특성을 검증한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SNS로 인한 사람들의 상업시설 선택 성향이 일반(전통)적인 상업시설의 입지 원리와 다르게 나타남을 공간적․정량적으로 규명한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도시적 현상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고한다. 또한 SNS와 같은 정보통신 매체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도시 패러다임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체계적으로 대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0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04
1. 연구의 범위 04
2. 연구의 내용 및 흐름 06

제 2 장 이론적 고찰 08
제 1 절 공간 패턴 이론 및 입지 성향 분석 연구 08
1. 공간 패턴 이론 08
2. 상업시설 입지 성향 실증 분석 연구 09
제 2 절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 공간 분석 연구 12
제 3 절 선행연구 정리 및 연구의 차별성 15

제 3 장 분석의 틀 20
제 1 절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20
제 2 절 연구의 방법 23
1. 사용 데이터 23
2. 분석 방법 26

제 4 장 식품접객업 공간 분포 성향 비교 분석 29
제 1 절 전역적 입지 패턴 비교 분석 29
1. 표준편차 타원체 분석 29
2. 최근린지수(NNI) 분석 38
제 2 절 국지적 입지 패턴 비교 분석 41
1. 퍼지 모드 (Fuzzy Mode) 분석 43
2. 최근린계층군집(NNHC) 분석 51
제 3 절 소결 66

제 5 장 식품접객업 입지 환경 특성 비교 분석 69
제 1 절 입지 특성 지표 선정 69
제 2 절 분석 결과 74
제 3 절 소결 79

제 6 장 결론 81
제 1 절 연구 결과 및 요약 81
제 2 절 연구의 함의점 및 한계점 83

참고문헌 85

Abstract 9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24-
dc.titleSNS 이용 활성화에 따른 이용자의 상업시설 선택 성향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Study on Changes in Customers' Retail Store Selection Trends following increased Social Media Usage : Focusing on Major F&B Stores in South Korea Metropolitan Citi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Dae Hwan-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광역시 주요 식품접객업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도시설계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31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31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