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88서울올림픽을 위한 도시 경관 조성과 도시 이미지 구축 전략 : Urbanscape Shaping and Urban Image Construction of Seoul 1988 Olympics : Focusing on the Marathon Course
마라톤 코스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봉희-
dc.contributor.author박상연-
dc.date.accessioned2020-05-07T03:27:35Z-
dc.date.available2020-05-07T03:27:3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6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67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20. 2. 전봉희.-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mage strategy of the urbanscape in preparation for the olympic games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1988 Seoul Olympic marathon course and the progress of the related urbanscape design projects. Among the facilities of the 1988 Seoul Olympics, the marathon course was specifically chosen due to the urbanscape was expo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 race, and the event was conducted just before the closing ceremony which gained higher public attenti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ffected the formation of urbanscapes. People have been able to indirectly encounter the urbanscape through the media and deliver or receive the intended city image without having to go to the city in person. The cityscape can be easily transmitted around the world through camera angles, and furthermore, the intentional creation of the cityscape has made it possible to create an urban image. Many host countries have utilized the Olympic game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cities and render its image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arathon courses of all previous Summer Olympics, unlike 80 percent of the marathon courses at the previous Summer Olympics, Seoul consists of urban-style courses that pass through the city center, which is represented by Gangnam and the Han River, except for the old city center represented by Namdaemun.
The marathon course was discussed shortly after the hosting of the Seoul Olympics was decided, and in December 1983, a course that cycles the inner city around Namdaemun was decided as the initial draft by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is course consists of the original city area where the skyscraper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city are located and the East Seoul area that was actively developed until the 1970s. The marathon course in the center of the city raised doubts concerning problems such as heavy traffic condition, undeveloped urbanscape, and air pollution. Discussions began again in June 1985 with a meeting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Han River surrounding Gangnam, Yeouido, and Han River were decided as the final course in September of that year. The final decision is speculat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Han River, which was triggered by the Olympics, and the apartment district, which was a modern urbanscape at the time. This means that the area around the Han River was suitable to show Seoul's developed landscape, and that traditional landscape was less considered.
The urban design plan had changed in 1986 after the marathon course was finalized. The redevelopment project of downtown changed to Gangnam area such as Teheran-ro. Therefore redevelopment the substandard housing zones in the visible areas of ​​the Olympic event, and the road maintenance for the marathon course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city maintenance project, high-rise buildings were built in Gangnam, and apartments were built in existing bad housing districts.
An analysis on the strategy of exposing the urbanscape the broadcast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confirmed that the marathon's broadcasting was transmitted elaborately to convey the city's image and Mapo and Yeouido were especially high-lighted, where the Han River, roads, apartments and skyscrapers were concentrated. The government sought to convey its intended message through the edited urbanscape, and uncompleted facilities were covert or afforested. Ahe foreigners assessment of the Seoul Olympics was mainly about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Koreans started to recognize the Han river as Seouls representative attraction.
Although the marathon course is not the only reason to have influence the creation of the urbanscape, it is clear that the national event, the Olympics which included the marathon, had greatly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urbanscape in modern Seoul. The marathon course was an important area in the city's beautification project for the Olympics and was closely involved with the c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course of the government's rapid development of urbanscape, there existed inevitable side effects such as deepening housing instability due to demoli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centrated development of Gangnam, and spoiled landscape by high-skyscrapers. Nevertheless, Seoul has succeeded in creating a modernized urban image through the Olympic marathon course, and until now, apartment and Han River views are considered both a target of criticism or preference.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88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 과정과 이에 수반하는 도시 정비의 결과로 국가가 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시 경관의 이미지 전략을 어떻게 수립하고 실행하였는지 밝히는 것이다. 88서울올림픽의 시설 중 실외 경기로써 도시 이미지 노출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폐회식 직전에 경기를 진행하여 대중의 관심이 높은 마라톤 코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역대 마라톤 코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차별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라톤 코스의 결정을 둘러싼 논의의 과정과 이에 수반하는 올림픽 시설의 건설 및 코스 주변의 경관을 구성했던 도시 정비 사업을 살펴본 후, 미디어를 통해서 도시 이미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올림픽 이후 전환된 도시 이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미디어의 발달은 도시 경관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은 도시를 직접 가보지 않아도 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시 경관을 접하고 의도된 도시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도시 경관은 카메라 앵글을 통해 전세계에 손쉽게 전달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시 경관의 의도적인 조성을 통해 도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다. 많은 도시는 올림픽 개최를 통해 도시를 개발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바꾸는 기회로 활용하였다.
1932년 LA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이르는 역대 하계올림픽의 마라톤 코스를 분석한 결과, 1930-60년대의 마라톤 코스의 유형은 대체로 교통 체증 방지 등의 기능적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가능한 도심에서 멀고, 동일한 코스를 사용하는 교외·왕복형의 특성을 보였다. 1960년대 이후 위성 중계라는 미디어가 도입되면서 마라톤 코스의 유형은 시청자를 의식한 도시·편도형으로 바뀌었다. 코스 구성의 목적은 기능에서 보여주기로 바뀌었고 관광을 위해 더 많은 역사 경관을 포함하고자 원도심을 포함하는 경향이 늘어났다. 그러나 역대 하계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80%가 역사 경관의 원도심을 통과하는 것과 달리 서울은 남대문으로 대표되는 구도심을 제외하고 강남과 한강변으로 대표되는 신도심을 통과하는 도시형 코스로 구성했다.
88서울올림픽의 올림픽 시설의 건설과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에 관한 논의 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올림픽 시설지 이면서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출발 및 결승점인 잠실의 종합운동장 부지는 1970년대의 도시계획으로 결정되었으며 마라톤 결승점이 주경기장으로 정해졌던 것은 국제육상연맹과의 협의에 의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마라톤 코스는 서울올림픽 유치 직후부터 논의되었고 올림픽조직위원회는 1983년 12월에 남대문을 순환하는 코스인 도심안을 초기안으로 결정하였다. 이 코스는 사대문과 도심재개발로 인한 마천루가 위치한 원도심 지역과 1970년대까지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었던 동서울 지역으로 구성됐다. 도심안의 마라톤 코스는 도심의 교통상황 및 미개발된 경관, 대기오염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1985년 6월에 올림픽조직위원회의 회의로 다시 논의가 시작되었고, 당해 9월 강남과 여의도, 그리고 한강변으로 구성된 한강주변안이 최종 코스로 결정되었다. 최종안의 결정에는 올림픽으로 촉발되었던 한강종합개발의 성공적인 경관 조성 결과와 당시의 현대식 경관이었던 아파트 지구가 영향을 미쳤다고 추측된다. 최종안이 결정될 무렵의 한강은 한강종합개발의 완공 시점에 근접하여 개선된 환경의 한강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시점이었다. 이는 서울의 발전 경관을 보여주기에 한강주변안이 적합했음을 의미하며 전통 경관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는 올림픽 마라톤 코스가 결정된 이후의 도시 경관을 조성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마라톤 코스를 통해 현대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음을 밝혔다. 마라톤 코스가 결정된 1985년 9월 이후인 1986년을 기점으로 서울시 도시개발계획의 방향성이 바뀌었으며 이는 마라톤 코스의 경관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도시개발사업은 구도심에서 테헤란로를 포함한 강남권인 신도심으로 개발 집중 지역이 바뀌었고, 올림픽 행사의 가시권에 있는 불량주택 재개발이 활성화되었으며 마라톤 코스를 위한 도로 정비가 시행되었다. 도시 정비 사업의 결과 강남에는 고층 빌딩이 들어섰고, 기존의 불량주택지에는 아파트가 들어섰다.
88서울올림픽 마라톤 경기의 중계 방송을 통해 도시 경관을 노출하는 전략을 분석한 결과 마라톤 경기의 방송은 도시 경관의 이미지 전달을 위해 정교하게 촬영되었으며 한강과 도로, 아파트 그리고 마천루가 포진되어 있던 마포와 여의도를 강조하여 보여주었음을 확인했다. 영상에서 강조했던 도시 경관의 구성과 앞서 살펴본 도시 개발 사업의 목표는 현대화, 고층화로 일치했다. 국가는 편집된 경관를 통해서 의도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으며 완공되지 않거나 정비되지 않은 것들은 가림막으로 가리거나 녹지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올림픽은 외국인들에게 한국이 산업화 및 현대화되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었으며 내국인들도 서울의 대표 명소로 한강을 떠올리는 결과를 만들었다.
한국은 올림픽 개최 시부터 갈망했던 선진국의 이미지를 외국에 심어주기 위해 전략적으로 도시 경관을 만들어나갔다. 마라톤 코스의 강변안 선정 이후 촉발되었던 도시 경관의 정비는 경기 중계 영상에 노출된 바와 같이 선진화된 서울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마라톤 코스가 도시 경관의 조성에 영향을 미친 유일한 이유는 아니지만 분명한 것은 마라톤 코스를 포함하는 올림픽이라는 국가 이벤트가 현대 서울의 도시 경관 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마라톤 코스는 올림픽을 대비한 도시 미화 사업에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도시 개발 사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논의되었다.
정부가 개발 위주로 급격하게 도시 경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불량주택 철거로 인한 주거 불안정 심화, 강남 집중 개발, 고층화 개발로 인한 경관 논란과 같은 부작용도 존재했으나 결과적으로 서울은 올림픽 마라톤 코스를 통해 현대화된 도시 경관 이미지 구축에 성공했으며 현재까지도 아파트 및 한강 경관은 비판의 대상이면서 선호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4

2. 올림픽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 8
2.1 미디어의 발달과 도시 이미지 구축 8
2.1.1 도시 경관과 도시 이미지의 조작적 정의 8
2.1.2 미디어를 통한 도시 경관의 이미지화 11
2.1.3 올림픽과 국가의 도시 이미지 구축 15
2.2 역대 하계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유형과 변화 18
2.2.1 1930~60년대 마라톤 코스의 유형 18
2.2.2 위성 중계 이후의 변화 21

3. 88서울올림픽 시설의 건설과 마라톤 코스의 논의 28
3.1 올림픽 유치기: 1982년 이전 28
3.1.1 1950~70년대 올림픽 시설의 초기 구상 28
3.1.2 올림픽 유치 과정과 이상적인 도시 이미지 35
3.2 올림픽 시설 계획기: 1982~1983년 40
3.2.1 종합계획의 수립과 집행 40
3.2.2 마라톤 코스 초기안의 결정: 남대문 순환안 46
3.3 올림픽 시설 건설기: 1984~1985년 55
3.3.1 주요 시설의 건설과 도시 이미지 조성 55
3.3.2 마라톤 코스 대체안의 논의 60
3.3.3 마라톤 코스 최종안의 결정: 한강주변안 69

4. 마라톤 코스 결정 이후 도시 경관 조성 전략 81
4.1 올림픽 시설 주변 정비기: 1986~1987년 81
4.1.1 1986년 이후 정책 방향성의 변화 81
4.1.2 개발 집중 지역의 이동 88
4.1.3 올림픽 마라톤 코스와 주택 개량 사업 103
4.2 마라톤 코스의 정비 전략 110
4.2.1 마라톤 코스의 도로 정비 110
4.2.2 마라톤 코스의 미화 작업 112

5. 미디어의 도시 경관 노출과 도시 이미지 변화 116
5.1 마라톤 경기의 도시 경관 노출 전략: 1988년 116
5.1.1 마라톤 경기의 운영과 중계방송 계획 116
5.1.2 중계 영상의 도시 경관 노출과 전략 120
5.2 올림픽 이후 도시 이미지의 전환 127
5.2.1 도시 이미지와 인식의 변화 127
5.2.2 전환된 도시 이미지에 대한 반발 131

6. 결론 13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90-
dc.title88서울올림픽을 위한 도시 경관 조성과 도시 이미지 구축 전략-
dc.title.alternativeUrbanscape Shaping and Urban Image Construction of Seoul 1988 Olympics : Focusing on the Marathon Cours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angyeon-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마라톤 코스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67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67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