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Engineering/Engineering Practice School (공과대학/대학원)
Program in Technology, Management, Economics and Policy (협동과정-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Theses (Master's Degree_협동과정-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R&D Collaboration of High-technology Ventures : 하이테크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제휴협력 : 연구개발 협력 파트너 유형과 벤처성장단계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R&D Partner Type, Venture Stage of Growth, and Innovation Performance
- Authors
- Advisor
- 황준석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2020. 2. 황준석.
- Abstract
- Technology ventures are the prime mover of modern economic renewal by introduc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industries and creating new value for society. For these ventures, innovation lies at the core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the possession of technological competencies is critical for their growth and survival. However, by the nature of the newly established firm, they often face several difficulties in creating innovation on their own due to the internal scarcity of necessary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refore, the strategic effort of ventures to source necessary knowledge and resources is critical for effective innovation and growth.
This study suggests R&D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artners as a strategic instrument for technology ventures to acquire external resources and facilitate innovation. While many scholars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and R&D collaboration in particular,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lementation of such open innovation practices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ventures. Moreover,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the impact of R&D partner selection have revealed large inconsistencies in their empirical findings while insufficiently taking into account the life cycle stage of the firm at the point of external collaboration. This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 with several limitations of extant studies have constrained the value of academic findings and mad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such strategy in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D collaboration of technology ventures by investigating the beneficial type of R&D partner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firm. This study categorizes a broad range of external partners into two group of partners – research-oriented partners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entrepreneurial partners (large firm, SME, foreign firm) – and examines the impact of collaborating with each type of partner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s in three different stage of growth – early stage, growth stage, and stability stage. By employing the Survey of Korean Venture Firm data, the empirical analysis with 481 Korean ventures reveals that for early-stage ventures, entrepreneurial partners such as large firms are suggested as more beneficial types of R&D partner than research-oriented partners. For growth-stage ventures, both entrepreneurial partners and research-oriented partners are suggested as beneficial types of partners. Lastly, for stability-stage ventures, R&D collaboration with research-oriented partners such as universities contributes more effectively to innovation performance than entrepreneurial partners. Several academic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기술 기반의 벤처기업은 기존 산업에 혁신적 기술을 공급하고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며 현대사회의 경제성장을 이끌어가는 주요한 동력이다. 이러한 벤처기업들에게 혁신의 창출은 핵심적인 기업활동이자 목표이며 때문에 기술적 역량의 개발과 발전은 경쟁우위의 중요한 원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생 기업의 특성 상 벤처기업들은 종종 필요 자원과 능력의 부족을 겪게 되며 스스로 혁신을 창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필요 지식과 자원을 외부로부터 흡수 및 획득하기 위한 전략적 노력은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성장과 혁신에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이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외부 자원 획득전략으로써 연구개발(R&D) 제휴협력을 제안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연구개발 제휴협력을 강조해왔으나, 기술기반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 전략에 관해 논의한 선행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또한, 연구개발제휴 협력에서 파트너유형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는 상당히 일관되지 않았으며 제휴협력 시점의 기업 수명주기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실증 연구의 부족과 기존 연구의 한계점들은 학술적 가치를 제한하고 실제 전략의 실행에 어려움을 초래해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벤처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성장 단계 별 최적의 연구개발 제휴협력 파트너를 제시하는 전략적 프레임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외부 파트너 유형을 연구 집중형 파트너(대학, 연구소)와 기업형 파트너(대기업, 중소기업, 외국계기업)로 구분 짓고 각각의 파트너와의 연구개발 제휴협력 경험이 초기 단계, 성장 단계, 안정화 단계의 벤처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에 포함된 481개 한국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초창기 벤처기업의 경우, 기업형 파트너와의 연구개발 제휴협력이 연구 집중형 파트너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의 벤처기업의 경우, 기업형 파트너와 연구 집중형 파트너 유형 모두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안정기의 벤처기업의 경우 대학, 연구소 등의 연구 집중형 파트너와의 협력이 기업형 파트너와의 협력보다 혁신 성과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와 함의는 본문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