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 및 연결가로 설계 연구 : Build a Network of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nd Design of the Connecting Streets-Focused on Longjing City, China
중국 용정(龍井)시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영상-
dc.contributor.authorMa Ying-
dc.date.accessioned2020-05-07T03:51:50Z-
dc.date.available2020-05-07T03:51:5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59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07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2020. 2. 권영상.-
dc.description.abstractLongjing City was the initial settlement of Koreans who migrated from North Korea in 1877 and became the center of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 of Koreans. In addition, 66% of the city's total population is Korean-Chinese, with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Korean-Chinese in China. Longjing is the birthplace of Korean-Chinese culture and is the region where the Korean folk culture is best preserved to date. In the region, there are many Korean ethnic cultures, anti-Japanese movements and related historical monuments. For Example, there are The well of Longjing Place of Origin, Ilsongjeong, Seojin Seosuk, Birthplace of Yoon Dongjoo, Dae-sung Middle school,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 in Jiandao. The city, which has flourished with the early economic trad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midst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is gradually declining due to the decline of industry and economic trade, and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is gradually falling behind. The urban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since the opening of the Reformation (1978) and the Korea-China Bridge (1992). These problems caused the city to lose its own competitiveness, and now it is hidden in Yanji, the capital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However, in 2014, according to China's State Council's "Opinion on Accelerating the Opening of the Border Area", Jilin Province and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learly designated Longjing as the center of development and openness. Got Longjing intends to revitalize the decaying city by developing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of the city us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Under such a large polic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cope of the study as the downtown area and to realize the vitalization of the city center do. At pres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Longjing are scattered in the city center and outside of the city. Among them, som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downtown are well utilized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but some are inaccessible or neglected. In addition, the horizontal space that conn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throughout the city has a poor physical environment and mostly streets are designed for automobiles. Due to this,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only visits to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ccur.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in the city is very short, and since the car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e added benefit of historical cultural tourism rarely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rive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networ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rough the previous study on the networ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onn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city,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network of streets.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and the cases of Boston (USA), Gunsan (South Korea) and Shanghai (China) were analyz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construction principles and the horizontal space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s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cultural resources of the site will be identified and the cross-section of the historic cultural resources network will be design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economic benefits of active tourism in the city by establishing a network that connects resources with each other and improves the relations between resources through the use of ships in the poi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get a wider range. In addition, based on the network, we would like to propose a design plan for the connected street, which can give concrete directions for Longjing to restore the city's identity and form a new city image to lead the revitalization of the old town.
-
dc.description.abstract용정시는 1877년 북한으로부터 이주한 조선인들의 초기 정착지로서 조선족의 경제·사회·문화·교육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또한 도시 전체 인구의 66%가 조선족이고 중국내 조선족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다. 용정은 중국 조선족 문화의 발상지로서 조선족 민속문화가 현재까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다. 지역 내에는 조선족 민족문화와 항일운동 등 관련 역사유적들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용정지명기원지우물, 일송정, 서진서숙, 윤동주 생가, 대성중학교, 간도 일본총영사관 등이 있다. 시대의 변화와 발전속에 초기의 경제무역, 공업의 발달로 번영기를 맞았었던 도시는 점차 공업의 쇠퇴와 경제무역의 침체로 도시의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점차 낙후해 졌다. 도시인구는 개혁개방(1978)과 중한수교(1992)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도시의 자체 경쟁력을 상실하게 하였고 현재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주부(州府)인 연길시에 가려져 용정시만의 정체성이 더욱 희미해져 있다. 하지만 2014년, 중국 국무원(國務院)의 접경지역개발개방 가속화에 관한 의견에 따라 길림성과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는 용정시를 개발개방중점현시(開發開放重點縣市)로 명확히 지정하면서 용정은 새로운 발전 기회를 얻게 되었다. 용정은 이러한 국가적 지원정책에 힘입어 지역특유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의 문화관광산업을 발전시켜 쇠퇴하고 있는 도시를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대정책하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도심부로 설정하고 도심활성화를 실현하는 방안으로 우선 도심내 산재해 있는 역사문화자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연결요소인 가로공간에 대해 구체적인 설계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 용정시의 역사문화자원들은 도심부와 도시외각에 흩어져 분포되어 있다. 그중 도심부의 역사문화자원들은 일부는 문화관광자원으로 잘 활용되고 있지만 일부는 접근 불가 혹은 방치되어있는 현상이 존재한다. 또한 도시내 곳곳에 흩어져 분포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들을 연결하는 가로공간은 물리적 환경이 낙후하고 대부분 가로가 자동차 위주로 계획되었기에 보행환경이 열악하고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안내성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역사문화자원들간의 연결성이 결여되고 특정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방문행위만 일어나기에 도심내에서의 역사문화관광의 소요시간은 매우 짧고 이동수단으로 차를 주로 사용하기에 역사문화관광으로 인한 부가 혜택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방법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연결가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결가로의 공간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그것을 분석의 틀로 하여 미국 보스턴, 한국 군산, 중국 상하이의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들을 통해 도출한 네트워크 구축원칙과 가로공간 설계원칙을 기반으로 대상지의 역사문화자원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역사문화자원 네트워크의 연결가로를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점적인 보존과 관리에서 선적인 활용방법으로 자원들을 서로 연결하고 자원들간의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네트워크를 조성하여 도심내에서의 활발한 관광행위가 가져다 주는 경제적 혜택을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축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결가로공간에 대해 설계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는 용정시의 낙후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되찾으며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형성하여 구도심의 활성화를 이끌어가는데 구체적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4
1.2 연구의 범위 4
1.2.1 연구의 내용적 범위 4
1.2.2 연구의 공간적 범위 5
1.3 연구의 방법 7

제2장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9
2.1 선행연구 고찰 및 차별성 9
2.1.1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및 차별성 9
2.1.2 네트워크 구축기법 도출 11
2.2 이론적 고찰 11
2.2.1 도시환경에서의 역사문화자원 네트워크의 효과 11
2.2.2 역사문화자원 네트워크의 연결가로 설계시 고려사항 12
2.3 사례분석 16
2.3.1 보스턴·프리덤 트레일 (Freedom Trail) 16
2.3.2 군산·탁류길 19
2.3.3 Shanghai·Yangshupu Road 22
2.3.4 소결 27

제3장 대상지 분석 29
3.1 용정시 일반현황 29
3.1.1 용정시 개요 29
3.1.2 용정시 도심부 쇠퇴원인 31
3.2 용정시 공간구조 분석 32
3.2.1 토지이용 32
3.2.2 도로·교통 34
3.2.3 오픈스페이스 분석 38
3.3 역사문화자원의 현황 40
3.3.1 역사문화자원의 분포현황 40
3.3.2 역사문화관광코스의 현황 44
3.4 대상지 종합평가 46

제4장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및 연결가로 기본설계 48
4.1 네트워크 계획목표 48
4.2 네트워크 구축원칙 48
4.3 네트워크 구축 52
4.4 연결가로 기본설계 57
4.4.1 전략적 거점 선정 57
4.4.2 거점별 현황분석 및 설계목표와 원칙 59
4.4.3 거점별 기본설계 제안 65

제5장 결론 75

참고 문헌 77

ABSTRACT 8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11.4-
dc.title도시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 및 연결가로 설계 연구-
dc.title.alternativeBuild a Network of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nd Design of the Connecting Streets-Focused on Longjing City, Chin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마영-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중국 용정(龍井)시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907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5907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