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U.S. Hegemonic Pressure of IPR on Japan and China : 일본과 중국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미국의 패권 압력 : 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in Response to the Shift in Technology Paradig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혜인

Advisor
안덕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통상전공),2020. 2. 안덕근.
Abstract
Taking the upper hand of high-technology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hegemony. Many countries have continued to compete for technology supremacy. Since the 1970s, Asian countries have begun to grow rapidly based on technology advances. In addition, products and services that embod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egan to be produced, complaints about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tinued to rise in the U.S., and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emerged. Accordingly, the U.S.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to strength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1989, the U.S. analyzed cases of foreign IPR infringement through Special 301 reports, and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a trade deficit problem, the customs of the trading partners were considered as unfair trade practices, U.S. used Section 301 of the 1974 Trade Act to restrict imports of other countries or to exert pressure for the purpose of market opening. As a representative case, when Japanese semi-conductor industry outperformed the United States, it used the aforementioned Section 301 to put pressure on Japan and as a result signed three agreements until the U.S. trade balance improved.
Such U.S. trade sanctions through Section 301 were rarely used since the signing of the TRIPS Agreement, which resumed its investigation into China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which is based on a paradigm shif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lso begins to expand, with the existing norms failing to keep up with the pa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Under the circumstances, China develops at a frightening pace, and the U.S. wages a trade war with China to prevent the exploitation of its high-tech technologies and the forced technology transfer. As such, the U.S. has put forward the same strategy for the two countries, Japan and China, citing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ut has implemented a policy of trade pressure with different motivations, means and targets. However, such a bilateral pressure policy eventually brings a greater butterfly effect. Thus, to establish a solid intellectual property standard, multilateral negotiation has to be carried out. Therefore, the paper analyze the Special 301 reports that the U.S. investigated on the two countries from 1989 to 2019, while also analyzing the trends of the U.S.-Japan and U.S.-China disputes in detail and look at the hegemonic competition as the global technology paradigm shifts. It also compar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s and presents prospects for the U.S. policy stance and th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intellectual property rules.
첨단기술의 우위는 헤게모니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이에 여러 국가들은 기술 패권을 둘러싼 경쟁을 지속해왔다. 1970년대 이후,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아시아 국가는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더불어 지식재산권을 체화한 상품 및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미국 내에서는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그 대응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지식재산권 강화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1989년부터는 Special 301조 리포트를 통해 외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사례를 철저히 분석했고, 특히나, 지식재산권 침해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교역 상대국의 해당 관행을 불공정 무역 행위로 간주하고, 1974년 무역법 301조를 사용하여 상대국의 수입을 제한하거나 시장개방을 압박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일본 반도체 산업이 미국을 추월하자 앞서 언급한 301조를 사용하여 일본에 압력을 가했고 그 결과 세번의 협정을 체결했다. 하지만 분쟁해결제도를 포함해 지식재산권 분야 국제규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적극적으로 WTO TRIPS 협정을 체결했다.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중국에 대한 301조 조사를 재개시 하였는데 그 바탕에는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의 패러다임 변화가 있다. 지식재산권의 범위 또한 확장되기 시작하며 기존의 규범이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규제에 한계가 생겼고 그사이 중국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며 미국은 자국 첨단기술 탈취와 강제기술이전 방지를 위해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미국은 두 국가, 일본과 중국에 대해 지식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동일하게 301조 전략을 내세웠지만, 각기 다른 동기, 수단, 목표를 가지고 통상 압박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이러한 양자 압박 정책은 결국 더 큰 나비효과를 불러올 것이고 견고한 지식재산권 규범을 세우기 위해서는 복수국 혹은 다자간의 협상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89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이 두 국가에 대해 조사한 Special 301조 리포트를 분석하여 미-일과 미-중 분쟁의 추이를 자세히 분석하고 글로벌 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패권경쟁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두 사례 간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하고 미국의 정책 기조에 대한 전망과 향후 지식재산권 규범 성립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2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