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 연구 : A Study on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of Seoul Government
서울시 홍보물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우리

Advisor
이장섭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2020. 2. 이장섭.
Abstract
The municipal government of Seoul has increased its budget to develop promotional materials every year, but
there have been issues with the lower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rates of citizens than the budget year after
year. I·SEOUL·U is generally attached to its promotional materials, but the areas of its usability are reckless with
many events held as part of sponsorship. It is a fact that the level of public confidence and recognition is
considerably low at events held by Seoul and its policy promotions.

This study began by recognizing these issues and aimed to propose a new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to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Seoul, and citizens through the expansion of visual language and graphic functions among the various methods and forms of public communication. Given its characteristics, public communication should be expressed in a direction for relatively easy recognition rather than design in a complex structure that needs learning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ll people. In addition, Seoul needs to introduce differentiating communication designs from other cities, enhancing its image of competitive ed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to propose a systematic approach to Seoul's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that would meet public interest as a public institution and be attractive: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roles of a public institution and the importance, functions and methods of public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communication were also examined along with those of a public institution. Communication at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communication at private corporations, and its fundamental roles were identified. The
study addresse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Seoul's current public communication, demonstrating its legitimacy in the development of a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for Seoul.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visual design information elements and compositions of public communication, covered the cases of integrated public communication home and abroad, and looked into the most effective designmethods, utilization plans, and limitations.

Finally, the study proposed a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for Seoul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ed its future utilization plans and tasks.

The present study proposed an indirect communication solution between the public institution of Seoul and citize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proposed in the study will help many citizens recognize the policies of the public institution, understand a need for project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such projects themselves. The manual is still at the level of proposing possibilities and will need furthe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which is part of the study's limitations. The manual was, however, designed to maximize the recognition rates of citizens and propose effective public communication measures within the design category.

The integrated public communication design manual of Seoul will generated the following expected effects: the biggest effect will be the increasing understanding of policy projects among citizens; the budget for design development, which has been on the rise year after year, will be reduced to put citizens' taxes to more efficient use; Seoul's events will benefit from reinforced public confidence thanks to the integrated public communication design and thus be differentiated from events by private corporations simply lending their names as part of sponsorship; and Seoul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its urban brand with its
different and differentiating designs from other cities.
서울시의 홍보물 개발 예산은 매년 증가한다. 하지만 예산에 비해 시민 참여율과 인식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은 매년 회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울시는 서울브랜드(I·SEOUL·U)를 홍보물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그 사용성의 분야가 무분별하고 후원성의 행사들이 많기 때문에 서울시의 주관 행사 및 정책홍보의 공신력과 인지력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방법과 형식 중 시각적 언어와 그래픽기능의 확장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특히 서울시와 시민 간의 소통을 원활히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공공커
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의 특성상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학습성이 요구되는 디자인보다는 비교적 인지가 쉬운 방향으로 표현해야 한다. 또한 타 도시와는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도입하여 도
시 경쟁력의 이미지 제고를 확립해야 한다. 이렇게 공공기관으로서 공익성을 실현하는 동시에 매력적인 서울시의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공공기관의 이론적 개념과 역할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기능, 방법에 대해 조사한다.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공공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살펴보고, 사기업과 차별화 되어야 하는 공공기관의 커뮤니케이션의 근본적인 역할을 찾아본다. 또한 현재 서울시의 공공커뮤니케이션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밝히고, 서울시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 개발에 있어 본 연구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둘째,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시각적인 디자인 정보요소, 구성을 분석하여 한국 내외 통합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사례를 살펴보고 가장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과 활용방안, 한계점 등을 조사한다.

셋째 , 조사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서울시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을 제안하고,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향후 과제를 논의해본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서울시와 시민 간의 간접적인 소통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은 많은 시민들에게 공공기관의 정책과 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돕고, 직접 참여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아직은 가능성 제시 수준에 불과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실행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시민의 인식률을 극대화하고, 디자인적 범주에서 효과적인 공공커뮤니케이션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뉴얼의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민들의 정책사업 이해도 상승이 가장 큰 효과로 다가올 것이며, 매년 상승하던 디자인 개발비 예산 절감으로 시민의 세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통합 공공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통한 공신력 강화를 통해 단순히 후원성으로 이름만 빌려주던 사기업의 이벤트와는 차별성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타도시와 다른 차별화된 디자인으로서 도시 브랜드 경쟁력을 확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