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UX Design for an Effective Closet Browsing Experience through Smart Closet : 스마트 옷장의 효과적인 옷장 브라우징 경험을 위한 UX디자인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지윤

Advisor
김수정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2020. 2. 김수정.
Abstract
21 세기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단정하고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사람들의 복장은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신의 생각과 행동 방식에 영향을 끼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좌우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매일 아침 무슨 옷을 입을지를 결정하는데 불편함을 겪고 있다. 정돈되지 않거나 옷들로 넘치는 옷장을 헤매며 입을 옷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며 분노를 겪기도 한다. 이 때문에 옷을 찾고 서로 매치하고 입는데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이 연구는 스마트 옷장 플랫폼의 효과적인 옷장 브라우징 경험을 위한 UX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요구사항에 맞는 옷을 보다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옷 입는 경험이 더 편리해지고 옷장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방법론에는 관련 문헌 검토, 질적 연구를 통한 사례 연구, 실용적 연구를 통한 디자인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문헌 연구에서는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옷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스마트 옷장이 필요한 5가지 이유와 관찰점에 대해서 더 깊이 연구한다.

사례 연구에서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세 가지 사례를 질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 분석한다. 최종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본 저자가 직접 실행한 사용자 테스트로부터 개인 피드백을 바탕으로 분석을 한다. 이를 통해 발견된 통찰점들을 정리해 다음 단계의 디자인 연구에서 활용한다.

디자인 연구에서는 스마트 옷장의 최종 디자인 컨셉을 만들기 위해 컨셉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는 빅 아이디어, 컨셉 스케치, 디자인 반복과정 및 피드백 토론이 포함된다. 최종 디자인 컨셉이 정해진 후 기능성, 사용성 및 심미성 이 세가지의 접근 방식을 통해 스마트 옷장의 효과적인 옷장 브라우징을 위한 최상의 UX 솔루션을 찾는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디자인 결과물을 사용한 페르소나에 중점을 둔 특정 사용자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만든다.

이 연구의 결론에서는 다음의 다섯가지 결과를 보여준다. 첫째, 스마트 옷장은 AI, Big Data, IoT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통합하여 연구된 미래형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옷을 찾을 수 있도록 가장 최적화된 옷장 브라우징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옷장 브라우징을 위한 디자인 솔루션은 기능성을 높임으로써 달성한다. 기능성은 유용한 기능들과 내용들을 디자인하고 플랫폼 구조 설계를 통해 측정된다. 셋째, 옷장 브라우징을 위한 디자인 솔루션은 사용성을 높임으로써 달성한다. 사용성은 사용자 플로우, 브라우징 UX 디자인 패턴, 미니멀리스트 UI 및 제스쳐 기반 인터렉션 디자인을 통해 측정된다. 넷째, 옷장 브라우징을 위한 디자인 솔루션은 심미성을 높임으로써 달성한다. 심미성은 미래지향적 플랫폼에 최적화된 디자인 언어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스토리를 기반으로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 옷장을 사용하여 원하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두가지 시사점을 보여준다. 프로덕트 비전에서의 본 연구 결과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둔다. 더욱 쉽고 효율적인 방법의 옷 입는 경험을 통해 본인의 자신감과 권한을 높이고 이를 통해 사회 생활에서의 성공과 개인 생활에서의 행복을 얻을 수 있다. 디자인 비전에서의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 옷장이란 혁신적인 플랫폼과 이를 위한 최적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술 산업에서의 UX 디자인 개발과 첨단 기술을 통합 한 미래의 UX 디자인 연구에 기여한다.
Living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people to be presented professionally particularly for social interactions. What people wear matters greatly to build their self-image. It affects how they think and behave, and in turn, how others think of them. Finding a perfect outfit for every day, however, can be a challenge to many people. They suffer from closet rage while going through unorganized and overloaded closets, which causes them to take an unnecessarily long time to get dressed. This study proposes UX design solutions for an effective closet browsing experience to help people find what to wear easily and fast while meeting their needs through the advanced technology-based platform, Smart Closet. Therefore, their daily dressing routine gets improved with ease while being able to manage their closet with minimalism and organization.

The study methodology include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 case stud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a design study through practical-based research. In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a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lothing in relation to human life and further investigate the five observations in need of Smart Closet.

In the case study, the three selected case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user testing and collecting feedback from end-users. Some insights are identified from the case study and leveraged in the design study of the next phase.

In the design study, the conceptualization is taken to form a design concept of Smart Closet, which involves Big Idea practice, concept sketches, design iterations and feedback discussion. After the concept is finalized, the three approaches – functionality, usability, and aesthetic - are used to find the best UX solutions for effective closet browsing of Smart Closet. Lastly, with the design outcome, a prototype is made based on a particular user story focusing on a persona.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e following five results. First, Smart Closet is developed with the integration of AI, Big Data, IoT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ies to provide the best closet browsing experience to users in finding outfits efficiently. Second, the design solution for closet browsing is achieved by enhancing functionality of Smart Closet. Functionality is measured through the features and structure designed in Smart Closet. Third, the design solution for closet browsing is achieved by enhancing usability. Usability is measured through the user flow, browsing UX design, minimalist UI, and gesture-based interactions. Fourth, the design solution for closet browsing is achieved by enhancing the aesthetic of Smart Closet. Aesthetic is measured through the visual language designed to best communicate the closet browsing experience and future-oriented themes of Smart Closet. Lastly, the user story-based prototype showcased that the user achieved her desired goals with satisfaction through Smart Closet.

The study outcome will bring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From a product vision, Smart Closet will enrich peoples life quality by helping to find life balance and gain self-confidence in their day-to-day life through the improved dressing routine. From a design vision, the design outcome for smart closet browsing service will be dedicated to the development of UX design in the smart home technology industry, as well as, to the future UX design research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