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내용분석을 이용한 진료면담에서의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 분석 : Analyzing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Clinical Interviews Using Content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Effect of Physician and Patient Gender
의사와 환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은진

Advisor
유명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20. 2. 유명순.
Abstract
Communication is a critical factor in doctor-patient interaction. In recent years, introducing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hereafter PCC) into clinical practice has been spotlighted as a way to improve the treatment outcome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PCC is defined as a communication that encourages clinicians to understand patient perspectives, consider psycho-individu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patients, and develop a shared understanding of patient problems and treatment decisions in accordance with patient values. Despite increasing interest in PCC in clinical practice and academia, its empirical research is still in early infancy. Two points have remained understudied in particular: how PCC appears in clinical practice and which variables are crucial in and interact with PCC.

By using Epstein and Street's classification of six PCC functions (hereafter E&S classifi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PCC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impacts of the specific variables on PCC. For doing that, the next questions are examined: first, which functions appear most and least often in clinical practice? Second, does doctor and patient gender impact on PCC? Third, do difference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nd length of time impact on the gender variable and PCC?

This paper utilizes 490 voice recording files of clinical interviews collected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e information of recording data about the doctor and patient gender, the primary and secondary care type, and the length of time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before comprehensive analysis. The materials were first coded by means of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the E&S classification. Six functions of PCC examined here following the E&S classification were "exchanging information," "fostering healing relationships," "responding to emotions," "managing uncertainty," "making decisions," and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Using the coded data, the author carried out a frequency analysis and obtained the percentages and means of each PCC function. Correspondence analysis and visualization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in case the data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PCC and variable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ree points below. First, PCC appeared about six times per one clinical interview. The most frequent PCC function was 'enabling patient self-managment' with an average of 1.79 times per interview. The function 'responding to emotions' appeared least often (0.63 times). The proportion of utterance by physicians occupied 52%, while patients 48% in the total amount. The proportion of PCC was 15% of the total amount of utterance.

Second, physical gender showed no significance in PCC overall. However, male clinicians had one more PCC than that of the female counterpart by the mean value. The most frequent PCC function was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in both genders. In the meantime, patient gender showed significance in PCC. It was revealed that male patients had PCC 1.17 times more than that of the female counterpart. The most frequent PCC function for male patients was "enabling patient self-manangement," which appeared more than twice in all the interviews.

Third, when it comes to considering the variables of the length of time and the type of care, the longer time brought more frequent PCC in clinical practice. In the above four minute-interviews, PCC appeared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the less four-minute interviews. It worths noting that, in the less four-minute interviews, doctors of both genders did the PCC function,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at least once. In terms of the type of care, male clinicians performed more PCC in primary care while female clinicians in secondary care. Male clinicians mainly did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and 'managing uncertainty' functions more than once in primary care, while female clinicians did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and 'exchanging information' functions. In the case of male patients, 'exchanging information' and 'enabling patient self-management' functions appeared more than twice in primary care while female patients more than once with the same func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at PCC is influenced and varied by several variables, including doctor and patient gender, length of time, and type of care. It suggests that scholars should study PCC in clinical practice considering diverse contexts and identifying investigable variables.
의사-환자 진료면담에서 커뮤니케이션은 핵심요소이다. 이 가운데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PCC)이 환자의 질병 치료와 만족도의 향상을 촉진시킨다는 효과가 보고되면서 진료면담에서 PCC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PCC는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환자의 건강에 대한 기대 뿐 아니라 질병과 관련하여 환자의 감정, 생각, 걱정을 진료에 반영하도록 돕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건의료계 전반에서의 PCC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PCC의 속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진료면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료면담에서의 PCC 현황을 살피고 변인에 의해 PCC가 영향을 받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1) 진료면담에는 PCC의 여섯 기능 중 어떤 기능이 많고 적은가? (2) 의사와 환자의 성별에 따라 PCC는 달라지는가? (3) 의사와 환자의 성별과 PCC의 관계는 진료의 유형, 그리고 진료의 시간에 의해 달라지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종합병원에서 의사와 환자의 진료면담을 녹음한 자료를 연구 자료로 활용했다. 총 490건의 진료면담 녹음자료가 분석 대상이었으며, 자료를 통해 변인으로 의사의 성별, 환자의 성별, 진료의 유형, 진료의 시간을 확인하였다.

수집한 실제 진료면담 자료는 PCC 분류법(Epstein & Street, 2007)에 따라 내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코딩을 실시했다. 이 분류법의 여섯 기능들은 (1) 정보 교환, (2) 치유관계 증진, (3) 감정인식 및 반응, (4) 불확실성 다루기, (5) 의사결정 돕기, (6)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이다. 이후 코드화된 자료를 활용해 PCC 기능별 빈도,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인들에 대해서는 대응 분석 및 시각화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C는 진료면담 한 건당 약 6회 나타났는데, PCC 기능 중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가 진료면담 한 건당 평균 1.79회로 가장 많았고, 감정 인식 및 반응은 0.63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 전체 진료면담에서의 발화량의 경우 의사는 52%, 환자는 48%로 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PCC는 15%였다.

둘째, 변인들에 따른 PCC를 살펴보면 의사 성별에 의한 전체 PCC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평균에 의하면 진료면담 한 건당 남성 의사가 여성 의사보다 1회 더 PCC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성별 모두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반면 환자 성별에 의한 전체 PCC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평균에 의하면 여성 환자보다 남성 환자에게서 PCC가 1.17회 더 많이 나타났다. 남성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된 PCC 기능은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로, 이 기능은 진료면담에서 2회 이상 이루어졌다.

셋째, 의사와 환자의 성별을 진료 시간과 진료 유형에 따라 구분했을 때 의사와 환자의 모든 성별에서 진료 시간이 길수록 PCC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분 미만의 진료와 비교했을 때, 4분 이상의 진료에서 약 3회의 PCC가 더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남녀 의사 모두 4분 미만 진료에서 적어도 1회 이상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를 수행했고, 감정인식 및 반응과 의사결정 돕기를 제외한 나머지 PCC 역시 모두 한 번 이상 나타났다. 진료 유형의 경우, 남성 의사는 평균적으로 초진에서, 여성 의사는 재진에서 더 많은 PCC 기능을 포함한 면담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기능의 경우 남성 의사는 초진에서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와 불확실성 다루기가 1회 이상 나타난 반면, 여성 의사는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와 정보교환이 1회 이상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환자의 경우 초진에서 정보교환과 환자 스스로 하도록 돕기 기능이 2회 이상, 여성 환자는 1회 이상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PCC가 의사와 환자의 성별, 진료 시간과 진료 유형에 의해 영향을 받고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는 PCC가 상황적합적 접근에 기초해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PCC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4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