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ociation of Dietary Fatty Acids Consumption Patterns with Risk of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 한국 성인의 지방산 섭취 패턴과 이상지질혈증 위험 간의 연관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은희

Advisor
정효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학전공),2020. 2. 정효지.
Abstract
심혈관계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원인이며, 국내의 심혈관계질환 사망률 및 이환율은 서구 사회와 비교하여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가능한 요인으로는 식생활, 신체활동, 음주 등의 생활습관 요인이 있으며, 특별히 균형 잡힌 식생활은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여러 가지 식사요인 중 지방 섭취는 혈청 지질농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지방에 포함된 개별 하위 지방산마다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상이하다. 이에 총 지방섭취량이 아닌, 개별지방산의 섭취 패턴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발생 결과를 평가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세부 지방산 섭취에 대한 근거 기반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지방산 섭취 패턴을 도출하고, 섭취 패턴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위험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지역사회기반코호트자료를 이용하였고, 도시지역 안산과 농촌 지역 안성에 거주하는 40~69세 성인 10,0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1~2002년에 기반조사를 수행했고, 2년마다 추적조사를 수행하였다. 2015~2016년 7차 추적조사자료까지 사용하였고, 기반조사에서 식사 조사 미참여자, 에너지 극단섭취자, 만성질환(심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암) 및 이상지질혈증 보유자를 제외한 2,649명이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분석에 포함되었다. 약 3.6 인년 (중위수)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2,649명 중 1,588건 (60.0%)의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하였다.
종속변수에 따른 각각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별지방산 섭취 패턴을 도출하였다. 4개의 주요 지방산 섭취 패턴을 도출하였고, 선정된 주요인은 각각의 연구집단마다 모두 동일했다. 주로 돼지고기를 통하여 장쇄 불포화 또는 포화지방산을 섭취하는 패턴, 주로 유제품을 통해 포화지방산을 섭취하는 패턴, 어류 및 해조류를 통해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하는 패턴, 마지막으로 견과류, 콩류, 잡곡류 등을 통해 오메가-6 지방산을 섭취하는 패턴이 선정되었다.
4개의 지방산 섭취 패턴이 이상지질혈증 및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통해 평가하였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건강 관련 행태, BMI, 총 에너지섭취량, 소득수준을 보정한 모델 3에서 견과류, 콩류, 잡곡류를 통해 오메가-6 지방산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집단이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이상지질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LDL-콜레스테롤혈증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지질혈증, T1 vs T3: RR, 0.85; 95% CI, 0.75-0.97; p for trend=0.014; 고중성지방혈증, T1 vs T3: RR, 0.83; 95% CI, 0.72-0.96; p for trend=0.012; 고LDL-콜레스테롤혈증, T1 vs T3: RR, 0.85; 95% CI, 0.75-0.97; p for trend=0.014). 반면, 다변수 보정 모델 3에서 유제품을 통해 포화지방산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집단은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고중성지방혈증의 위험이 감소하고,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중성지방혈증, T1 vs T3: RR, 0.85; 95% CI, 0.74-0.98; p for trend=0.030; 고콜레스테롤혈증, T1 vs T3: RR, 1.15; 95% CI, 1.00-1.32; p for trend=0.027; 고LDL-콜레스테롤혈증, T1 vs T3: RR, 1.16; 95% CI, 1.02-1.31; p for trend=0.008).
본 연구를 통해 총 지방섭취량이 아닌, 개별지방산 섭취 조합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위험이 상이함을 규명하였고, 이는 향후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인 이상지질혈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세부 지방산의 섭취 조합을 고려한 지방 섭취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yslipidemia is the main modifiabl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ardiovascular diseases have increased markedly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yslipidemia, managing lifestyle behaviors such as diet,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are regarded as major modifiable factors for dyslipidemia. On the issue of dietary factors, a limit to total fat intake has been generally recommended for dyslipidemia treatment, but the effect of each type of individual fatty acids (FAs) on blood lipid profile is different. Therefore, the effects of dietary FAs should be treated comprehensively as well as individually when assessing the effects of FAs on the blood lipid profil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etary FA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649 Korean adults aged 40-69 without dyslipidemia in the baseline survey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6 person-years, a total of 1,588 incident dyslipidemia (60.0%) were identified among 2,649 participants without dyslipidemi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ur dietary FA consumption patterns were derived from dietary FA intake data. Pattern 1 named long FA was characterized by a high intake of long-chain PUFA and SFA. Pattern 2 named medium SFA featured a high intake of short and medium-chain SFA from dairy products. Pattern 3 named n-3 PUFA was characterized by a high intake of n-3 PUFA from fish and seaweed. Lastly, pattern 4 named n-6 PUFA featured a high intake of n-6 PUFA from nuts, beans, and mixed grains.
The association between four FA consumption patterns and dyslipidemia and its components was analyzed b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n multivariate-adjusted model 3, those in the highest tertile of n-6 PUFA pattern scores had a decreased risk of dyslipidemia (RR, 0.85; 95% CI, 0.75-0.97; p for trend=0.014), hypertriglyceridemia (RR, 0.83; 95% CI, 0.72-0.96; p for trend=0.012), and hyperLDL-cholesterolemia (RR, 0.85; 95% CI, 0.75-0.97; p for trend=0.014) than those in the lowest tertile of the pattern scores. Also those in the highest tertile of Medium SFA pattern scores showed an decreased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RR, 0.85; 95% CI, 0.74-0.98; p for trend=0.030) and increased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RR, 1.15; 95% CI, 1.00-1.32; p for trend=0.027), and hyperLDL-cholesterolemia (RR, 1.16; 95% CI, 1.02-1.31; p for trend=0.008)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in multivariate-adjusted model 3.
This study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FA consumption patterns and dyslipidemia and its components. This information may provide evidences for developing dietary recommendations for cardiometabolic health, taking dietary FA consumption patterns into account.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or controlled clinical trial is need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of dietary FA consumption with dyslipidemia in terms of the quality of FA intake.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8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