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 교육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화선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20. 2. 윤여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that allow learners to appreciate poetry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ental images. The visualization illustrates the process as a materialization of the learners mental images formed while reading poetry. This proceeds in two ways. One is the visualization that most closely reflects the attributes of the mental images, and the other is the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visualization.
This study focuses on mental images as the readers immediate responses that contain their unique meaning. The mental images are created by students while appreciating the poetry and simultaneously begin to compose the whole meaning of the poetry. The attributes of the mental images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al images are formed by the readers perception and they can manipulate their own images. Second, mental images change constantly and exist in a dynamic states with figuration. This study assumes mental images as the beginning of the meaning construction and designs a poetry education to infer the meaning of text using visualization of mental images as a scaffolding.
Meanwhile, mental images have limitations that can be damaged or easily disappears in a mental stat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ress them in concrete form before disappearing. The visualization of the mental images help to reveal the mystery of the psychological realm and contribute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mental images. And visualization process promotes the formation of mental images that contain learners comprehension about poetry and provides a new way of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meaning of poetry by carrying the meaning of the mind realm.
The principle to appreciate of poetry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hole meaning about text through figurative images, the expression of the triggered psychology through abstract images, and the creation of new meanings through multimodal images'. They a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learners way of thinking and expression styles of images. The significance of reading poetry with visualization is that it can describe how inner images formed as students reponses. And visualization process encourages senses to understand and imagine about the whole discourse of text. In addition, it can enhance the ability to compose meaning by focusing on imag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cusing on how students use visualization as a scaffolding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has planned detaile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poetry appreciation using visualization, focused on mental images.
The aspects of poetry appreciatio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ental images were observed in three types. First, learners tended to synthesis by accumulating images while expressing the perceived object figuratively. Second, in expressing subjective impressions abstractly, learners attempted to express their thoughts clearly by converting obscure objects into forms or colors and using them as a scaffolding. Third, they transformed the contents or performed extended imagination beyond the text while in multimodal expressing as self-statement the meaning of the text.
Based on the asp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quality level of learners performance are as follows. In figurative visualization of perceived image, learners too tended to stay in the information as foreground, in which case they did not achieve a synthesis of meanings. Next, in abstractive visualization of subjective impressions, learners schema created by themselves were not related to text. In this case, students did not try to ensure validity. Finally, in multimodal visualization about expanded meaning, there were cases the learner imaged those are not related to the text or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ego prevented the fusion of horiz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bove aspects, this study proposes the education contents that meaning composition based on images, connecting between images and context, and image creation for new and deep meanings. Also, designed teaching methods that guided discovery learning for expansion of perceptional phases, training to generate questions for metacognition of self-interpretation, and inner dialogue to lead imagination about self-attendance on t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has proved that learners can use their own mental images to compose meaning and they possess literary abilities.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has suggested learners can acquire a way to actively participate in appreciation of poetry by creating a scaffolding using their own images by themselves.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해 시를 감상하는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미지의 시각화란, 감상 과정에서 형성된 학습자의 심상을 가시화한 것이며, 이를 통한 시 감상은 심상의 속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시각화와 시각화에 대한 언어 표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이미지는 학습자 특유의 의미 체계인 심상이다. 시 감상 과정에서 학습자의 심상은 생성됨과 동시에 세계로의 의미 구성을 시작한다. 심상의 특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심상은 주체의 사고로부터 비롯되고 주체는 심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동적인 것으로 존재하며 형상을 동반한다. 본고에서는 심상을 의미 구성의 출발점으로 보고, 심상의 시각화를 비계로 텍스트에 대한 의미를 구성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습자의 심상은 손상되기 쉬우므로, 심적인 상태에서 사라지기 전에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심상의 시각화는 내적 과정의 신비화에서 탈피하여 심상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것은 심상의 형성을 추동하고, 내적인 영역의 의미를 운반함으로써 이를 비계로 새로운 이해의 방식, 의미 구성의 방식을 제공한다.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의 원리로는 이미지의 존재방식을 표현의 측면에서 고려하여, 구상적 이미지를 통한 텍스트 내적 세계의 재현, 추상적 이미지를 통한 촉발된 심리의 표현, 복합양식적 이미지를 통한 새로운 의미의 창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 감상은 심적인 대상을 가시화함으로써 내적 이미지의 형성 과정을 구체화하고, 이미지의 표현을 통해 텍스트 세계에 대한 체험을 실현하며, 이미지를 중심으로 주체적 의미 구성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고등학생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감상 과정에서 심상의 시각화를 비계로 의미를 구성해가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의 양상을 단일양식과 복합양식의 범주로 살펴보았다. 단일양식으로의 시각화는 크게 구상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이미지의 구상적 표현 양상에서 학습자는 지각한 이미지를 축적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내적 탐구로서 의미망 구축을 시도하였다. 주관적 인상의 추상적 표현의 양상에서는 막연하거나 모호한 대상을 형태나 색채로 전환하고 이를 비계로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한 시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복합양식으로의 시각화에서 학습자는 새로운 표현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텍스트의 장면을 묘사하여 자신의 서술을 확장하거나, 연상을 통해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자유로운 상상 활동을 통해 텍스트 내 자아가 참여함으로써 드러나는 새로운 의미의 발견을 도모하였다.
이상의 양상에서 학습자 수행에서의 질적 차이를 분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심상을 구상적으로 시각화할 때에는 자신이 전경화한 정보에 머물러 텍스트에 대한 전체로서의 의미 구축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심상을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은 학습자의 주관적 인상을 뚜렷하게 표현하기 위해 자신만의 도식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문제는 텍스트로부터 그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유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상을 복합양식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은 기존의 것을 확장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인데, 그 내용이 텍스트와의 관계를 상실하거나 지나친 자아의 개입으로 전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이미지에 기반한 의미 구성, 이미지와 텍스트 맥락 간 관계 형성, 심화된 의미 해석으로서 이미지 창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지각국면의 확장을 위한 발견학습, 자기 해석의 메타적 인지를 위한 질문생성, 텍스트 내부로의 상상 유도를 위한 내적 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에 대한 의미 구성 능력을 지닌 존재라고 보았다. 이에 심상을 가시화함으로써 스스로 비계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시 감상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1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