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화적 공감능력이 국제고 학생의 난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Ethnocultural Empathy on Global High School Students' Acceptive Attitudes toward Refuge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연지

Advisor
모경환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2020. 2. 모경환.
Abstract
Our society is in conflict with refugees as many refugees from Yemen came to Jeju Island recently. The petition about the abolition of Refugee law drew the Minister of Justice response in the Cheongwadae petition board as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agreed in July 2018. Moreover, teachers are appealing for prejudice, stereotypes and exclusivity of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As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refugee claimants, our society, which youths will face, will be a society where they live with a small group such as refugee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as a member of society, young people will live in a society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contexts. They should be members of the society by using their ethnocultural empath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ethnocultural empathy on the students acceptive attitudes toward refugees and utilize the effect for education. This study categorized ethnocultural empathy as cognitive empathy which can recognize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s and discrimination from those differences and affective empathy which can feel the person's feelings in that discriminative situa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ethnocultural empathys effect on the accep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ccep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defined as follows. Acceptive cognitive attitude means whether thoughts and beliefs about refugees are acceptable. Also, acceptive affective attitude means whether people form a favorable feeling for refugees. Finally, acceptive behavioral intention means the intention to enga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verify this, hypotheses were set as follows.

■ Hypothesis 1. The higher the ethnocultural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cogn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1. The higher the cogni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cogn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2. The higher the affec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cogn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Hypothesis 2. The higher the ethnocultural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n affec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1. The higher the cogni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n affec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2. The higher the affec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n affec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 Hypothesis 3. The higher the ethnocultural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behavioral intention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1. The higher the cogni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behavioral intention toward refugees.
○ Sub-hypothesis 2. The higher the affec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behavioral intention toward refugees.

To verify the hypotheses above, this study surveyed 275 first-year students in three International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in November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was rejected as the cognitive factors of ethnocultural empath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ive cogn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However, the was adopted a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affective empathy, the more likely global high school students will accept a cogn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Both and were adopted a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ive affec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The was rejected and the was adopted as only the affective empath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refugees.
From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possible.
First, affective empathy rather than cognitive empathy affects cognitive attitude, which implies prejudice and stereotypes for refugees. Second,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of ethnocultural empath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attitude, which means emotional response to refugees. Third, it is not enough to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only when students can have vicarious experience of feeling in refugees situation can they have a degree of acceptiv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refuge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have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n education on refugees, it is necessary to use an educational method that utilizes emotional empathy to experience the feelings of refugee groups. Second, when students form attitudes toward refugees as members of a large group, the education is needed to allow students to examine more objective evidence to recognize differences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to understand refugees from their perspective.
최근 제주도에 예멘 출신의 난민이 대거 입국하면서 우리 사회가 난민을 둘러싼 갈등에 휩싸였다. 청원이 완료된 2018년 7월 기준으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서는 난민법 폐지 청원이 역대 가장 많은 국민의 동의를 받아 법무부 장관의 답변을 이끌어내었다.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이 청소년들의 난민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 배타적 태도에 대해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난민 신청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앞으로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은 난민과 같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소속집단과 함께 살아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문화적 공감능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적 공감능력이 난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적 공감능력을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인지적 공감은 문화적 배경의 차이와 그 차이에서 비롯된 차별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고, 정서적 공감은 해당 상황에서 그 사람이 느낄 법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으로 이루어진 문화적 공감 능력이 난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난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인지, 정서, 행동의도의 세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난민에 대한 수용적 인지태도는 난민에 대한 생각이나 신념이 수용적인지를, 정서태도는 난민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행동의도는 대인관계를 맺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의도로 조작화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주가설 1. 문화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인지태도를 취할 것이다.
○ 하위가설 1.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인지태도를 취할 것이다.
○ 하위가설 2.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인지태도를 취할 것이다.
■ 주가설 2. 문화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정서태도를 취할 것이다.
○ 하위가설 1.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정서태도를 취할 것이다.
○ 하위가설 2.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정서태도를 취할 것이다.
■ 주가설 3. 문화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행동의도를 가질 것이다.
○ 하위가설 1.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행동의도를 가질 것이다.
○ 하위가설 2.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하여 수용적인 행동의도를 가질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11월 인천‧경기 지역에 소재한 국제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1학년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적 공감능력의 인지적 영역은 난민에 대한 수용적 인지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은 기각되었다. 반면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난민에 대한 수용적 인지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는 채택되었다. 난민에 대한 정서적 인지태도에는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 와 모두 채택되었다. 난민에 대한 수용적인 행동의도는 정서적 공감능력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쳐, 은 기각되었고, 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의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인지적 공감과 달리 정서적 공감능력은 난민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의미하는 인지태도와 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난민에 대한 감정반응을 의미하는 정서태도에는 문화적 공감능력의 인지, 정서적 요인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그들의 처지에서 감정을 대리경험할 수 있어야 난민에 대한 수용적 행동의도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의 교육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된 난민을 주제로 한 교육을 할 때, 난민 집단의 감정을 경험해보는 정서적 공감을 활용한 교육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이 다수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난민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때, 보다 객관적인 근거를 검토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생긴 차이를 인식하고 난민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